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법상정소”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마련하게 하였다. 즉, 「공법절목」은 장차 정액 세법인 공법을 수립함에 있어서 그 최초의 기준을 마련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1436년 윤6월 이를 기준으로 구체적인 공법의 내용을 논의하기 위하여 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그 구체적인 규모는 전혀...
  • 공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거하는 전세제도로의 개혁을 꾀한 것이다. 세종 초부터 공법 논의가 일어나고, 1430년(세종 12) 그 구체적 논의로서 전국적으로 위로는 고관부터 아래로는 농민까지 17만 인에게 문의한 바 있었다. 1436년에는 ()를 설치, 1444년 공법...
  • 전제상정소준수조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43년(세종 25) 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를 설치하고 그에 대한 수칙을 구획한 책. [내용] 1책. 4주단변(四周單邊) 유계(有界). 1653년(효종 4) 9월 호조에서 간행하였다. 일찍이 ()를 두고
  • 공법(貢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하고자 하였다[『세종실록』 18년 5월 22일].(태깅 오류 『세종실록』 이하 생략) 이후 이를 추진할 ()를 설치하여[『세종실록』 18년 윤6월 15일] 구체적인 보완책을 강구한 다음, 1437년 7월에 최초의 정액 수세법(定額收稅法)인 공법을...
    상위어전세(田稅) | 관련어전분6등(田分六等), 연분9등(年分九等)
  • 아문(衙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도감·국장도감·가례도감·노비변정도감·도성수축도감, 의례상정소·, 가례색·육전수찬색·전운색, 실록청·언문청·진휼청·산실청 등이 있었다. [변천] 조선시대의 아문은 1392년(태조 1) 개국과 함께 고려시대 말의 관제를 계승하여, 중앙에 도평의사사(都評議...
    동의어관아(官衙), 관청(官廳) | 관련어경아문(京衙門), 외아문(外衙門), 직계아문(直啓衙門), 육조속아문(六曹屬衙門), 정일품(正一品) 아문(衙門)~종육품(從六品) 아문(衙門), 정무아문(正武衙門), 예우아문(禮遇衙門), 당상아문(堂上衙門)~참상아문(參上衙門), 상치아문(常置衙門), 임시아문(臨時衙門)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1436년(세종 18)에 공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설치했던 임시 기구. 과전법에서 국가적인 법제로 정착되었던 상·중·하의 3등전품에 따른 양전제와 전세제도는 제도 자체의 운영 과정에서 많은 결함이 드러났다. 이에 1444년 다시 결부제를 바탕으로 하고, 전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