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무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44)
- 공무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의정부 아래 내무‧외무‧탁지‧법무‧학무‧공무‧군무‧농상 등 8아문을 설치하여 아문관제에 따라 7월 20일부터 직무를 관장하게 되면서 공무아문이 발족되었다. 공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공조와 전우국(電郵局)‧광무국(鑛務局)의 사무를 포함하였으며, 직제의 구성...
- 공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조는 1418년 세종의 즉위로 육조의 서열이 정해질 때 마지막 관서로 내려오다가, 1894년 공무아문(工務衙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듬 해 다시 농상아문과 합쳐 농상공부로 개편되었다. 『고려사(高麗史)』이칭별칭동관(冬官)|수부(水府)|예작(例作)
- 우부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원은 1인으로 옹제(饔提)를 겸임하도록 규정하였으며, 법무아문(法務衙門)ㆍ공무아문(工務衙門) 등을 방망(房望)하도록 하였다. 『고종실록(高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 역체국(驛遞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체국 역체국 驛遞局 갑오개혁(甲午改革), 공무아문(工務衙門), 우편사무(郵便事務) 참의(參議), 주사(主事) 전신국(電信局), 우체사(郵遞司), 우정총국(郵征總局), 전우총국(電郵總局), 농상공부(農商工部) 통신국(通信局) 체신과(遞...상위어갑오개혁(甲午改革), 공무아문(工務衙門), 우편사무(郵便事務) | 하위어참의(參議), 주사(主事) | 관련어전신국(電信局), 우체사(郵遞司), 우정총국(郵征總局), 전우총국(電郵總局), 농상공부(農商工部) 통신국(通信局) 체신과(遞信課), 통신원(通信院)
- 서상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1894년 갑오경장 이후 군국기무처회의(軍國機務處會議)에 회의원이 되고 그 해 공무아문참의(工務衙門參議)를 역임하였다.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이칭별칭 윤성(允成)
고서·고문서(3)
- 전 공무아문 역체국 기구 판매금을 보낸 대로 영수했다는 조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농상공부대신 제43호 조회를 받아, 전 공무아문 驛遞局 器具 판매금 500元을 돌려보낸 대로 영수했다는 내용.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전 공무아문 역체국 기구 판매금 500원(엽전 2,500량을 교환)을 돌려보내니, 이를 받고 영수증을 보내달라는 조회 제43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대한제국 최초의 농상공부 엽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소인난 중앙에 태극 표기를 하고 무궁화와 함께 대한제국 우표를 한자와 한글로 표기하고 있다. 1907년 7월 2일로 추정되는 제물포 소인이 찍혀있다. 대한제국 농상공부는 1895년 을미개혁때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합쳐 1910년까지 존속했다. 대한제국, 최초엽서...자료명대한제국 최초의 농상공부 엽서 | 발행처대한제국 농상공부 인쇄국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
- 淸國戶籍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졍부에셔난 로이경향에 호젹법을졔졍고 외국법을고모시기로 졍무소와 공무아문과 경무쳥에령칙야 상의케△…△게재일1906년 5월 1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주제어사전(5)
-
공무아문 / 工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국내 일체의 공작, 교통, 체신, 건축, 광산 등의 사무를 관장하였던 중앙관청. 공무아문은 공조와 전우국, 광무국의 사무를 포함. 직제구성은 대신 1인, 협판 1인을 두고, 그 아래 총무국, 내외공사문서 및 물포의 운전체수 등을 맡은 역체국, 그리고 전신
-
우부승선 / 右副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승선원의 관직. 1894년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이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1인으로 옹제를 겸임하도록 규정하였으며, 법무아문, 공무아문 등을 방망하도록
-
농상공부 / 農商工部 [역사/근대사]
1895년 농, 상, 공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행정기관. 관제 개편에 따라 설치된 7부의 하나이다. 갑오경장 때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합한 관아로서 농업·상업·공업 및 우체, 전신, 광산, 선박, 해원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농상공부관제'와 분과 규정이 그 뒤
-
농상아문 / 農商衙門 [역사/근대사]
해 7월 20부터 직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는데, 농상아문은 1895년 4월 1일 공무아문과 합하여 농상공부로 개편되었다.
-
우정총국 / 郵政總局 [역사/근대사]
지되었다. 이후 1893년에 전우총국으로 이어졌고, 1894년에는 공무아문역체국, 1895년에는 농상공부통신국, 1900년에는 통신원 등으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