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노비” 에 대한 검색결과 1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1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신공(身貢)을 바치던 외거노비. [내용] 조선시대의 노비는 크게 ()와 사노비(私奴婢)로 나뉘었다. 는 다시 그들의 의무 내용에 따라 선상노비(選上奴婢, 또는 立役奴婢)와 납로 구분되었다. 즉,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리 나라 전통적 신분 사회에서 왕실과 국가 기관에 소속, 사역되었던 최하층 신분. [내용] 흔히 ‘공천(公賤)’이라고도 하였다. 중에서도 내수사(內需司) 소속의 노비는 내노비 또는 왕실의 노비라는 뜻에서 ‘궁노비(宮奴婢...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신공(身貢)을 바치던 외거노비.
    정의조선시대 신공(身貢)을 바치던 외거노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pgong nobi | MR표기napkong nob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 및 중앙과 지방의 국가기관에서 사역되던 노비.
    정의왕실 및 중앙과 지방의 국가기관에서 사역되던 노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ongnobi | MR표기kongnob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납노비(貢納奴婢), 수(收) 신공(身貢), 여공(餘貢) 사회사회구성원/천민 개념용어 조선 문숙자 [정의] 소속 관서나 주인집에 인신의 예속 없이 신...
    동의어공납노비(貢納奴婢), 수공노비(收貢奴婢) | 관련어신공(身貢), 여공(餘貢)

고서·고문서(21)

  • ○유배지의 거처는 성주(星州) 동문 밖에 있는 거을호음(巨乙乎音)의 집이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6_355_030 1546년2월 ○유배지의 거처는 성주(星州) 동문 밖에 있는 거을호음(巨乙乎音)의 집이다. 1546년 2월 1일 무자, 맑고 따뜻함. 2월 큰달 신묘 ○유배지의 거처는 성주(星州) 동문 밖에 있는 거을호음(巨乙乎音)...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612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상서(上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상서는 이전에 순상이 옮겨 속하게 한 를 다시금 확인하여 내려주길 청하는 한편, 영천군에서의 원속 의 분방병 차출은 부당하니 이를 시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글이다. 옥산서원에서는 이전의 판결에 따라 장차 서원 곁에 거주하는 약간 명을 서원에 가짜로...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추쇄도감의궤하(推刷都監儀軌下)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에는 임진왜란 이후 최초로 시행된 노비추쇄(奴婢推刷)의 절차와 과정, 논의 사항, 노비 쟁송(爭訟)에 대한 판결 등이 구체적으로 남아 있다.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와 신분제 연구뿐만 아니라 국가의 () 관리 체제, 국가재정 운영 등과 관련한 연구에도 유용한 자료...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611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상서(上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공궤하고 서원에 불을 땔 수도 없게 되었다고 했다. 이에 특별히 가까운 고을에 소속된 몇 사람을 보내어 제사와 사환을 하게 해주거나, 묘지기가 없으므로 서원 인근에 사는 시노비()를 임시로 소속시켜 서원을 수호토록 해주길 바랬다. 이외에도 원속인은 수군과...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추쇄도감의궤상(推刷都監儀軌上)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가의 () 관리체제, 국가재정 운영 등에 관련된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1)

  • 18세기 후반 濟州 地域 의 存在樣態-대정현 몇 개 마을 호적중초의 사례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동전, 게재일 : 2007
    01466 김동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18세기 후반 濟州 地域 의 存在樣態-대정현 몇 개 마을 호적중초의 사례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주제어사전(12)

  • / [역사/조선시대사]

    우리 나라 전통적 신분 사회에서 왕실과 국가 기관에 소속, 사역되었던 최하층 신분. 조선시대 건국 초기에는 가 주로 사사(寺社)에서 몰수된 노비로 충당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때로는 관노비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 / 納 [역사]

    조선시대 신공을 바치던 외거노비. 조선시대의 노비는 크게 와 사노비로 나뉘었다. 는 다시 그들의 의무 내용에 따라 선상노비와 납로 구분되었다. 즉, 16세 이상 60세까지의 가운데 선상노비는 매년 일정 기간 동안 소속 관서에 무상으로 노역에

  • 공포 / 貢布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외거 가 신역 대신 노비공으로 매년 국가에 바치던 베. 국가기관에 징집·사역되는 선상과 기타 잡고의 경우를 제외한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가 그 대상이 되었다. 조선 전기는 사섬시에서, 후기는 호조에서 관장하였다.

  • 도목장 / 都目狀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지방에 거주하는 의 총괄장부. 는 사노비와 달리 국가에서는 3년마다 이들에 대한 호적을 정리하여 속안을 작성, 다시 20년마다 정안을 마련하여 의정부·형조·장례원·사섬시·본도·본읍에 비치하고, 수령·관찰사 등 지방관에게 이들에 대한 관리를 책임지

  • 공역 / 貢役 [역사/조선시대사]

    입역 또는 납공의 의무. 중에 한 가호에서 3구 이상이 공역을 지고 있을 때 그 부모에게 면역의 혜택을 주는 법은 1432년(세종 14) 9월에 왕명으로 군민의 군역에 준하여 강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