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곰보타령” 에 대한 검색결과 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련시켜서 재치있게 사설을 엮은 곡이다. 심지어 물고기들조차도 중의 얽은 얼굴을 그물로 알고 도망친다는 우스개의 내용으로 끝맺는다. 건드렁거리는 듯한 가락을 볶는타령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이「」은 원래『청구영언』의 장형시조(長型時調)에서 파생되어 나온 노래...
  • 이범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놀이」를 배워 30여년간 연행하다가 1973년 11월 「송파산대놀이」 팔먹중ㆍ샌님의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특히, 재담에 뛰어나 ‘옴중의 ’ㆍ‘취발이 천자풀이’ㆍ‘샌님재담’을 원형대로 재현하였다. 후계자로 이병옥(李炳玉)ㆍ함완식(咸完植)을 두었다. ...
  • 휘모리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휘모리잡가에는「」‧「생매잡아」‧「만학천봉」‧「육칠월흐린 날」‧「한잔부어라」‧「병정타령(兵丁打令)」‧「순검타령(巡檢打令)」‧「비단타령」‧「맹꽁이타령」 등이며 음악적 특징이나 창법은 12잡가와 공통된다.
  • 경기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되었는 바, 휘몰이잡가는 주로 중부경기도의 전문 소리꾼들이 소리판의 파장에 흥겹게 부르던 소리로, 그 내용이 익살스럽고 장형시조적인 가사를 촘촘히 엮으며 빠른속도로 휘몰아쳐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기생타령」‧「만학천봉」‧「맹꽁이타령」‧「병정타령」...
  • 무쌍신구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잡가에 드는 노래말들을 싣고, 이어 <맹꽁이타령>‧<>‧<성주풀이> 등 모두 74편의 노래말을 수록하고 있다. 뒤를 이어 차례의 표기 없이 우조‧초중대엽‧이중대엽‧삼중대엽‧초수대엽‧이수대엽‧삼수대엽 등 34종의 가곡 곡목에 의하여 작품을 싣고, 끝으로 <장진주>...

고서·고문서(33)

  • 00382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28] 칠팔월 쳥명일에 얼고 검고 기기 바둑판 장긔판 곤우판 갓고 멍셕 덕셕 방셕 갓고 쳘등 덕셕 고셕 갓고 암장이 발등 갓...
    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00537 잡가 특별대증보신구잡가(特別大增補新舊雜歌) 12010 1916 南宮楔 漢城書館 南宮楔 金重煥 三十錢 [27] 칠팔월 쳥명일에 얽고 검고 기기 바둑판 장긔판 곤우판 갓고 멍셕덕석 방석 갓고 쳘등 고석 갓...
    구분잡가 | 편저자南宮楔
  • 04462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50] 七八月 淸明日에 얽고 검고 기기는 바둑板 將碁板 곤우板 갓고 멍셕 덕셕 方席갓고 쳥둥덕셕 고셕갓고 음장이 발등갓고 雨雹 마진 재덤이갓고 中和殿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03285 잡가 신구시행잡가 12052 [18] 칠팔월(七八月) 청명일(淸明日)에 얽고 검고 기기 바둑탄(板) 쟝긔판(將棋板) 곤우판(板)갓고 멍셔(席) 덕셕(席) 방셕(方席)갓고 철등 덕셕 고셕(古石)매 갓고 암쟝(匠)이 발등갓고 우...
    구분잡가
  • 03584 잡가 심청전 13022 [53] 七八月 淸明日의 얼고 검고 기기난 바둑판 장긔판 고누판갓고 멍셕덕셕 방셕갓고 쳘등덕셕 고셕갓고 장니 발등갓고 진젼기동 신젼마루 연쥭젼 좌판갓고 한랑의포 관역판갓고 남긔 안진 암니 잔등갓고...
    구분잡가

구술자료(2)

  • 박상옥 휘모리잡가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케이스에는 \"박상옥 Ⅱ 휘모리잡가\"라고 적혀있다. 소리를 하기 전 많이 불리는 서도잡가의 순서로 육칠월 맹꽁이타령 바위타령 만학천봉 병신타령 생매잡아 한잔보라 등이 있다고 논하고 있다. 녹음연대는 미상이다. 2) 음질 중 서도소리 휘모리잡가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상옥
  • 김혜란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동창이 바람아 푸른산중 수양산가 춘면곡 추풍감별곡 수양산가 선소리산타령 장대장타령 소춘향가 집장가 제비가 출인가 적벽가 육칠월 맹꽁이 민요 1997-08-30 미상 30:39 14:34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혜란

주제어사전(3)

  • / ─打令 [예술·체육/국악]

    휘모리잡가. 주로 경기도 지방에서 불리는 익살스러운 노래이다. 멍석·덕석·어레미(굵은 채)·분틀밑(국수틀밑)·구리석쇠 등 생활주변의 여러 가지 얽어맨 사물들을 칠팔월 청명일(淸明日)에 시냇가로 내려오는 몹시 얽은 중의 얼굴과 관련시켜서 재치있게 사설을 엮은 곡이다.

  • 맹꽁이타령 / ─打令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잡가(雜歌). 여러 종류의 맹꽁이를 해학적으로 늘어놓은 노래로, 「바위타령」·「」·「기생타령」 등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휘몰이잡가의 하나이다. 1910년대노익형(盧益亨)이 펴낸 『증보신구잡가(增補新舊雜歌)』를 비롯하여 박승엽(朴勝燁)편 『무쌍

  • 무쌍신구잡가 / 無雙新舊雜歌 [문학/고전시가]

    ·「」·「성주풀이」 등 모두 74편의 노래말을 수록하고 있다. 뒤를 이어 차례의 표기 없이 우조·초중대엽·이중대엽·삼중대엽·초수대엽·이수대엽·삼수대엽 등 34종의 가곡 곡목에 의하여 작품을 싣고, 끝으로 「장진주」·「권주가」·「파연곡」을 싣고 있다. 우조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