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골아가리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골아가리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로서 ‘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라고 부름. [개설] 골아가리토기는 집자리‧조개무지‧무덤유적에서 출토된다. 토기의 입술부분을 시문구로 눌러 톱날과 같이 하거나 골을 내어 무늬 효과를 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형...이칭별칭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각선구연토기(刻線口緣土器)|각선(문)토기(刻線(文)土器)|주름진 무늬토기
- 안산선부동지석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물은 석기류로 돌검〔一段柄式石劍〕‧돌화살촉〔有莖式石鏃〕‧반달돌칼〔長舟形半月形石刀‧魚形半月形石刀〕 등이 있고, 토기류로는 평저형(平底形) 민무늬토기와 약간의 붉은간토기가 있다. 민무늬토기에는 지석묘 유적에서는 드물게 골아가리토기〔口...
- 춘성대곡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점, 반달칼파편 1점 등의 석기류와 골아가리토기 등 민무늬토기와 붉은간토기조각들이 수습되었다. 『팔당(八堂)‧소양댐수몰지구유적발굴종합조사보고(昭陽댐水沒地區遺蹟發掘綜合調査報告)』(문화재관리국, 1974) ...
- 승주우산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골아가리토기편 등의 토기류가 있다. 이러한 유물로 보아 곡천고인돌군의 연대는 기존의 전라남도지방 고인돌보다는 이른 시기로 보고 있다. 「우산리(牛山里)곡천고인돌」(이융조 외, 『주암(住巖)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水沒地域...
- 충주조동리선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ㆍ골아가리토기ㆍ구멍무늬토기 등의 토기류와 돌도끼ㆍ화살촉ㆍ반달돌칼ㆍ돌낫ㆍ그물추ㆍ갈돌ㆍ갈판ㆍ발화석ㆍ돌망치ㆍ뗀석기 등의 석기류, 굽은 구슬ㆍ옥 등의 치레걸이가 출토되었다. 또한 밀을 중심으로 한 많은 양의 낟알도 검출되어 먹거리문화와 농경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칭별칭조동리선사유적 | 연계항목충주조동리선사유적(忠州早洞里先史遺蹟)
주제어사전(2)
-
골아가리토기 / 孔列文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로서 ‘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라고 부름. 골아가리토기는 집자리·조개무지·무덤유적에서 출토된다. 토기의 입술부분을 시문구로 눌러 톱날과 같이 하거나 골을 내어 무늬 효과를 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형은 소형의 바리부터 대형의 항아리까지 있
-
노포동고분 / 老圃洞古墳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 집자리[住居址] 및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보이는 벽구는 영남지방 전기 청동기시대 집자리의 한 특징이다. 골아가리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표지적(標識的) 유물이며,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