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골매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20)
- 입향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해안지역의 촌락에 가면 동제(洞祭)의 신(神)을 ‘골매기’라고 하면서 이들 골매기를 마을을 창건한 사람이며 마을의 수호신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들 골매기에는 고유명사가 있는 것이 원칙이어서 ‘김씨 할배’니 ‘이씨 할매’니 하여 성씨가 붙어 있다. 촌락사회에서는 매년...
- 고삼장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동해안 지방 무악(巫樂)에 사용되는 장단. [내용] 오구굿의 골매기굿‧문굿‧초망자굿‧시왕타인굿에 사용되고, 별신굿의 문굿‧세존굿‧대신굿에서 “나무야 나무야 나무가 왔구나.” 하는 염불요(念佛謠)에서 쓰인다. 중모리와 비슷하나 중모...
- 거리굿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다루는 능력을 재확인했다. 그런 다음 귀신과 왕래할 수 있도록 귀신문(천왕문)을 여는 과정이 행해진다. 이 연행단락까지는 여러 귀신을 접대하기 위한 도입부로 볼 수 있다. 귀신문을 연 이후 본격적으로 귀신들이 드나든다. 이후 주무는 영정부정할매, 세존수부, 골매기수부할...대분류거리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강릉강문동짐대백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골매기서낭당과 여서낭당인 죽도서낭당(또는 해당), 그리고 진또배기서낭에 각각 제사를 지낸다. 이 세 곳의 위치는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마을 서쪽으로 100m쯤에 골매기서낭당이 있고, 여기서 100m 정도 되는 죽도 바로 밑에 여서낭당이 있다. 그리고 두 서낭당 중간...
- 지신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지신을 모시는 굿거리. [내용] 일명 ‘지신풀이‧터굿‧터대감굿‧안당굿‧골매기청좌굿’으로도 불린다. 지신은 ‘터주’라고도 하는데, 집터와 마을 또는 나라의 터를 맡아보며 집안과 마을 또는 나라의 액운을 걷어주고 재복(財福)을 준다고 믿어...
구술자료(21)
- 골매기 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무가를 끝내고 더 하지 아니하려는 제보자에게 간단한 골매기 풀이라도 해달라고 간청하여서 들은 것이다. 골매기 풀이란 대개의 굿에 부정굿거리 다음에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올리는 골매기굿거리에서 부르는 것이다. 시간이 정오가 넘고 더 이상 구연하지 아니하려고 하여...조사일시1984-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산시 달동 | 제보자유필종
- 경상도 거제 죽림별신굿_골매기굿-무악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의 총칭이다.분야무악 | 지역경상도
- 경상도 거제 죽림별신굿_골매기굿-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의 의식 절차를 일컫는 말이다.분야무의 | 지역경상도
- 경상도 거제 죽림별신굿_골매기굿-무가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판에서 무당이 구연하는 사설이나 노래를 뜻한다.분야무가 | 지역경상도
- 경상도 영덕 병곡오구굿_골매기굿-무악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의 총칭이다.분야무악 | 지역경상도
주제어사전(2)
-
골매기 / 골매기 [종교·철학/민간신앙]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방의 마을수호신. 고을(洞, 邑, 郡)과 막(防), 그리고 명사형 어미 '이'의 복합명사로, 골매기 서낭님, 골매기 할베라고도 하는데, 마을의 창건신, 시조신 등의 관념을 갖고 있다.
-
동해안별신굿 / 東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남부 동해안일대에 전승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부산 동래로부터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남부 동해안지역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굿이다. 이 지역에는 마을마다 골매기당이라는 마을 수호신을 봉안한 당(堂)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풍요와 다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