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곤룡포” 에 대한 검색결과 2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2)

사전(14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왕과 왕세자의 평상 집무복인 상복(常服)으로 착용된 단령포(團領袍). 여름에는 사(紗)로, 겨울에는 단(緞)으로 만들었다. 를 착용할 때는 익선관(翼善冠)을 쓰고, 옥대(玉帶)를 띠며, 검은 녹피화(鹿皮靴)를 신었다. 깃은 둥근 단령이며, 가슴과 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왕이 집무 시에 입던 정복(正服). [내용]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의 무늬를 금으로 수놓은 원보(圓補)를 붙인 옷으로 용포(龍袍)‧망포(蟒袍)‧어곤(御袞)이라고도 한다. 즉, 를 입고 익선관(翼善冠)을 쓰고 옥대(玉帶)를 띠고
    이칭별칭용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정복(正服).
    정의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정복(正服).[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ollyongpo | MR표기kollyongp’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곤복(袞服), 곤의(袞衣), 곤포(袞袍), 망포(蝄袍), 어곤(御袞), 용포(龍袍) 단령(團領), 원령(圓領), 자적용포(紫的龍袍), 황룡포(黃龍袍), 흑룡포(黑龍袍)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
    동의어곤복(袞服), 곤의(袞衣), 곤포(袞袍), 망포(蝄袍), 어곤(御袞), 용포(龍袍) | 관련어단령(團領), 원령(圓領), 자적용포(紫的龍袍), 황룡포(黃龍袍), 흑룡포(黑龍袍)
  • 부용문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황제의 상복(常服)인 황색 운보문사(雲寶紋紗) () 1점과 에 부착된 용문보(龍紋補). [개설] 대한제국 시기(1907~1910) 황제용 황색 로서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무늬가 수놓인 원형의 용문보(龍紋補)가 부착...
    이칭별칭고종황룡포

고서·고문서(4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릉현(穆稜县) 공화향 공화촌 5 2 , 딸, 아침, 문제풀이, 시험제도, 과거, 세...
    대표표제어곤룡포 | 성씨
  • 龍飛御天歌 卷第十 第一百一十二章 29 王事.爲․커시․니。行陣․조․샤∘不解甲:이。․현․나․리신․:알․리 爲는 去聲이니 下同이요 行은 胡郞切이라 莽龍衣․애∘寶玉帶․샤。․이․들∘닛․디:마․쇼․셔 袛爲王事棘이러니 行陣日隨逐하사 幾日不解甲고 棘은 訖力切이요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3072016202307_001 李太王實錄資料 11 자료제25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33 0001 147 1895년 8월 1일(음력) 고종이 翼善冠에 를 입고서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4092016202409_001 李太王實錄資料 21 자료제20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3 0001 22 1871년 4월 6일(음력) 고종이 翼善冠에 를 입고...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22662016202266_003 李太王實錄資料 11 자료제283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33 0001 106 1893년 1월 1일(음력) 고종이 翼善冠에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2)

  • 내었다. 착한 남자가 큰 파를 들고 궁궐로 찾아갔다. 아내가 남자를 보고 웃자, 황제가 자신의 와 남자의 허름한 옷을 바꿔 입자고 제안하였다. 바꿔 입자마자, 남자가 황제인 척하며 진짜 황제를 쫓아내었다. 까마귀, 물병, 초상화, 왕, 옷, 웃음, 변신, 우렁각
    국가베트남 | 제보자웬태휴 [베트남,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황제가 아내를 웃게 하는 사람에게 큰 상을 내리겠다고 공고를 냈다. 남편이 큰 파를 들고 궁궐로 찾아간다. 아내가 남자를 보고 웃자, 황제가 자신의 와 남자의 허름한 옷을 바꿔 입자고 제안하였고, 바꿔 입자마자 남자가 황제인 척하며 진짜 황제를 쫓아내 죽였다.
    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주제어사전(11)

  • / [생활/의생활]

    왕이 집무 시에 입던 정복.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의 무늬를 금으로 수놓은 원보를 붙인 옷이다. 를 입고 익선관을 쓰고 옥대를 띠고 화를 신은 것이 왕의 시무복이다. 왕이 정복으로 를 입은 것은 1444년(세종 26)부터인데, 그때 명나라는 처음 익선관

  • 부용문보 / 付龍紋補 [생활/의생활]

    황제의 상복(常服)인 황색 운보문사(雲寶紋紗) () 1점과 에 부착된 용문보(龍紋補). 대한제국 시기 황제용 황색 로서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무늬가 수놓인 원형의 용문보(龍紋補)가 부착되어 있어 '부용문보'라는 명칭으로 지정되었다.

  • 세자복 / 世子服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세자의 정복 조선시대의 세자복은 대례·제복인 면복과 조복에 해당하는 원유관·강사포와 공복·상복으로서의 익선관· 및 관례 전에 착용하는 책복이 있다. ≪국조속오례의보≫ 서례에 보이는 바로는 장복 곧 곤복을 착용할 때에는, 머리를 쌍동계로 하고 그 위에 공정책을

  • 익선관 / 翼善冠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세자가 시무복인 에 쓰던 관 형태는 모체가 2단으로 턱이 지고 앞보다 뒤쪽이 높으며 뒤에는 매미날개 모양의 소각 2개가 윗쪽을 향해 달려있다. 모 위에는 앞면의 청사변이 뒷면의 두 절각 사이를 얽게 되어 있다. 겉감은 자색의 사 또는 나로 만든다

  • 고종황제어진 / 高宗皇帝御眞 [예술·체육/회화]

    고종이 일월오봉도 병풍을 배경으로 용상에 앉아 정면을 향하여 있는 초상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 이 어진은 익선관과 노란색 를 착용한 고종이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를 배경으로 붉은색 용상(龍床)에 앉아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전신교의좌상(全身交倚坐像)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