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곡호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6)
- 곡호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1년(고종 18) 이후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軍禮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된 취주악대. [내용] 중앙을 비롯한 각 지방의 대대단위의 부대에 두었다. 연대본부에는 부교(副校) 3인, 곡호수(曲號手) 30인, 고수(鼓手)...
- 진위대(鎭衛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대본부(大隊本部), 중대부(中隊部), 곡호대(曲號隊), 활빈당(活貧黨), 의병(義兵)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고종~순종 왕현종 1900년(고종 37) 1907년(순종 1) 원수부(元帥府) [정의] ...상위어원수부(元帥府), 지방군대(地方軍隊) | 하위어수원(水原), 청주(淸州), 대구(大邱), 광주(光州), 원주(原州), 황주(黃州), 평양(平壤), 북청(北靑) | 동의어진위대대(鎭衛大隊) | 관련어지방대(地方隊), 육군편제강령(陸軍編制綱領), 대대본부(大隊本部), 중대부(中隊部), 곡호대(曲號隊), 활빈당(活貧黨), 의병(義兵)
- 친위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副官) 1인, 무기주관(武器主管) 1인, 기관(旗官) 1인이, 각 대대에는 대대장 1인, 향관(餉官) 2인, 부관‧정교(正校) 각 1인, 부교(副校) 3인이 소속되었다. 중대에는 중대장 1인, 소대장 4인, 정교‧부교‧참교(參校) 각 1인, 곡호대(曲號隊) 부교 1...
- 군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작되면서 서양식의 곡호대(曲號隊:나팔수로 편성된 부대)가 편성되었고, 1896년 이후에는 창가조의 군가가 생기게 되었다. 그 뒤 1902년 8월 15일에는 <대한제국애국가>가 제정되어 군대에서 불렸으나 러일전쟁까지도 마땅한 군가는 없었다. 민족항일기에는 한국 독립군이...
- 지방대(地方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의 14곳에 정원 413인을 둔 지방대가 설치되었다. 지방대 군인은 장교인 ‘대대장, 대대장 부관, 향관(餉官), 중대장, 소대장’, 하사인 ‘정교, 부교, 참교’, 그리고 병졸, 곡호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대장의 월급은 77원 15전으로, 대략 쌀 6~8섬에...상위어군부(軍府), 원수부(元帥府) | 관련어진위대
고서·고문서(9)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分晝夜, 拳腳桿棒, 或使用兵器, 威嚇殺傷, 刦取財物者, 不分首從律處斷, 依《刑律名例》第六條, 各處斬刑”云矣。 依原擬律處辦何如?○又奏: “準平理院‘濟州民擾事件審理, 被告吳大鉉, 今年陰曆三月十七八日間, 以大靜鄕長, 被衆民勒脅, 爲稅弊釐正事起擾狀頭, 轉成敎人輩, 是非相鬪,...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以救濟一道生靈云。 廟堂, 曾因本道狀啓, 旣而近萬斛許貸, 覆啓允下, 萬石之外, 今難加請, 而本道事勢, 萬分切迫, 不可無別樣顧濟之道, 江都米三萬石, 自惠廳取用, 而分付本道, 趁秋成卽捧輸納於江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許貸, 覆啓允下, 萬石之外, 今難加請, 而本道事勢, 萬分切迫, 不可無別樣顧濟之道, 江都米三萬石, 自惠廳取用, 而分付本道, 趁秋成卽捧輸納於江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51 B00715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2月 13日_009 ... 若蒙廟堂, 許令惠廳, 收用江都米二萬石, 而本道收米, 使之待秋退捧, 庶可以救濟一道生靈云。 廟堂, 曾因本道狀啓, 旣而近萬斛許貸, 覆啓允下, 萬石之外, 今難加請, 而本道事勢, 萬分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普通學校學徒用修身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인 줄은 조곰도 알지 못 ᄒᆞ얏더니 父親이 밧갓으로브터 도라와셔 櫻花ᄅᆞᆯ 보려고 ᄯᅳᆯ에 나아가니 櫻花나무가 너머지고 ᄭᅩᆺ이 ᄯᅡ에 흐터진 지라 크게 怒ᄒᆞ야 婢僕들을 모도이고 嚴責ᄒᆞ거ᄂᆞᆯ 와싱돈이 이 말을 듯고 卽時 父親의 압으로 나아가 告호대. 이바님 뎌 櫻...서명普通學校學徒用修身書 | 자료명第八課 華盛頓 一
주제어사전(1)
-
곡호대 / 曲號隊 [예술·체육/국악]
1881년 이후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된 취주악대. 중앙을 비롯한 각 지방의 대대단위의 부대에 두었다. 서양식 군대 훈련방법의 채용으로 인한 별기군 창설 이후 일본의 고대(鼓隊) 혹은 고적대(鼓笛隊)를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본격적 서양식 군악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