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곡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5)
사전(202)
- 곡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40년(태조 23) 곡주로 개칭하였고,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 1018년(현종 9) 지군사(知郡事)를 각각 두었다. 1393년(태조 2)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이라 하여 곡산부(谷山府)로 승격시켰고, 1413년(...이칭별칭십곡성(十谷城)|덕돈홀(德頓忽)|곡성(谷城)|고곡(古谷)|진서현(鎭瑞縣)
- 한산소곡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되어 있다. 충청남도문화재대관(충남도청, 1997) 한산 소곡주 / 제조과정 한산 소곡주 / 제조과정연계항목한산소곡주(韓山素穀酒)
- 월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우 등으로 보아 현행 도드리장단에 해당될 듯하다. 같은 『삼죽금보』에 실린 가사 「춘면곡(春眠曲)」의 거문고보 중 제7마루의 서두에 월곡조(月曲調)라는 주(註)가 덧붙여져 있는데, 이 부분의 선율이 월곡과 거의 같은 선율로 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춘...
- 김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가 해상에서 조난당하자, 김준이 고주사(告奏使)가 되어 당나라에 갔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소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곡주나 고구마주 따위를 끓여서 얻는 증류식 술. 燒酒四鐥, 이운근(李雲根), 35-4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097)
- 九月五日,復遊金谷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120 九月五日,復遊金谷作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축집람(告祝輯覽)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吉祭卜日及告祝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ws_00031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附】吉祭 吉祭卜日及告祝說 吉祭卜日及告祝說 이익(李瀷, 1681~1763) 吉祭卜日及告祝說 DRAC_5:1:2:1 謹按, 《士虞記》: “是月也, 吉祭, 猶未配.” 夫吉祭, 本當行於踰月, 而禫適...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洪巡按妻獄判詞 鬼告酒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70 欽欽新書 卷三 ITKC_MP_0597A_1370_020_0020 洪巡按妻獄判詞 鬼告酒楻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유정희(柳鼎熙) 윤고주리서(輪告州里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구술자료(2)
- 구곡주에 실을 꿴 아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대제씨의 이야기 2편이 끝나자 자기가 할 차례라며 이 이야기를 해주었다. 점심식사를 하라고 집에서 연락이 왔으나 이야기 내기를 하고 있는 중이라서 못간다고 하면서 술을 마셔서 점심을 안 먹어도 된다고 했다. 제보자는 조사자 일행이 점심을 못 먹고 있는 것이 미안...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 제보자이차문
- 생사를 초월한 탈출과 운명적인 만남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면 그때만 해도 곡주 술 빼는데. 그 곡주 빼는데다 쌀을 팔았어. 받았다고 주드라고. 그 중 반을 내가 나눴어. 동장님 반하고 나 반하고 반씩 나눕시다. 아녀 아녀 우리는 여기서 사는 사람이니까 그게 큰 도움이 안 되지만 지금 자네한테는 도움 되지 않느냐. 쪼금도 부담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0일
기초학문(1)
- 중국의 시민권 제한정책과 농민공의 동화: 북경과 주강삼각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자, 게재일 : 2001BR&metaDataId=4b76f6dc19523c520119762a76742c1f 중국의 농민공 동화 패턴 연구- 北京과 珠江三角洲 지역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31)
- 穀主凍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 인쳔항에 곡식실은일척이 도박얏 그 셔산오 곡식쥬인이명은 셔울사으로 곡식임 한아토업고 공 이명만잇고로 항경무셔에셔 그 곡졀을 샤문즉 공등의 쇼답이 션야오길에셔 에 불이져 곡쥬이인은 셔울쟝으로 긔질이약야 모다 얼어쥭고 공등만 ...게재일1907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朝鮮米穀株式會社仁川支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朝鮮米穀株式會社仁川支店) 인천 - 朝鮮米穀株式會社仁川支店 濱町 1 - 주식회사 정미업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朝鮮米穀株式會社仁川支店)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趙定鎬(西鮮米穀株式會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趙定鎬(西鮮米穀株式會社) 진남포 趙定鎬 西鮮米穀株式會社 碑石里 177 - 주식회사 미잡곡무역 - - - 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趙定鎬(西鮮米穀株式會社) | 지역진남포 | 품목- | 영업종목미잡곡무역 | 자료출처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 吉谷源吉(吉谷酒造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谷源吉(吉谷酒造場) 전주 吉谷源吉 吉谷酒造場 大正町 2 - - 청주양조 - 58 -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吉谷源吉(吉谷酒造場)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청주양조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統治의重大性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513 1930 1 19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朝鮮統治의重大性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사설 정치 직접자료 1권 朝鮮米移入統制, 米穀調査委員會, 朝鮮民族性, 論評의自由 A19300119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22)
- 김주현;金主炫;금곡주현;金谷主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619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07면 김주현;金主炫;금곡주현;金谷主炫 전남 고흥군 풍양면 한천리 본과 제19회 194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희철;朴嬉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98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6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박희철;朴嬉哲 전남 나주군 동강면 곡주리 614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춘발;李春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53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4면 이춘발;李春發 경북 양곡주식회사 달성지부 제11회 193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잔섭;金殘爕;豊山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762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2면 김잔섭;金殘爕;豊山元 대구부 원정 慶北양곡주식회사 제15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재연;林在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812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3면 임재연;林在淵 해주부 황해도양곡주식회사 제15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7)
-
곡주 / 谷州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곡산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 또는 德頓忽, 谷城, 古谷)이었는데,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자 757년(경덕왕 16) 진서현(鎭瑞縣)으로 고치고 영풍군(永豊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곡주로 개칭하였고, 995년(성
-
상납전곡작전사논보 / 上納錢穀作錢事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하급 관아에서 미상의 상급 관아에 올린 백성들로부터 체납된 세금 및 환자곡의 수납 곤란을 호소하면서 그 변통을 요구한 논보. 그 변통방안으로 돈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과 환자곡을 곡식으로 납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논보'는 하급관아에서 상급관아에 대해
-
치생요람 / 治生要覽 [경제·산업/산업]
조선 중기 강와(强窩)가 지은 식품과 농사에 관한 책. 필사본. 상하 2권 1책. 상권에는 각종 음식을 비롯하여 소곡주(小麯酒) 등 15종의 술과 솔잎·느릅나무 껍질 등 18종의 구황식품(救荒食品), 식초, 각종 장(醬) 종류 등의 가공 및 이용법을 풀이하고 있다.
-
구촌집 / 龜村集 [종교·철학/유학]
662수, 권2에 서(書) 51편, 권3에 기(記) 16편, 권4에 서(序) 16편, 발 4편, 명(銘) 1편, 고축(告祝) 6편, 제문 24편, 권5에 잡저 21편, 권6에 행장·가장 21편, 권7에 전(傳) 1편, 유사 4편, 묘지갈 3편, 묘표 3편, 천장(薦狀)
-
김해평야 / 金海平野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김해시의 낙동강 삼각주(三角洲)에 발달된 퇴적평야. 김해평야는 낙동강 삼각주상에 형성된 평야이다. 낙동강 삼각주는 구포 부근까지 들어왔던 만(灣)이 낙동강의 토사로 메워져 형성된 지형이다. 낙동강은 토사유출량이 많고, 하구의 대조차(大潮差)가 1m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