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곡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2)
사전(73)
- 곡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체언의 굴절(屈折). 단어들의 어형변화를 굴절이라 하는데, 그 중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체언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내용]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어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일이 굴절이므로, 곡용은 명사 어간에 곡용어...
- 角勇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5_D_0064 角勇 인간관계 張保臯, 鄭年 羅史 D_09_02_14 대동운부군옥 9권 2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2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雙角龍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O0_D_0029 雙角龍茶 음식 기타 東山, 淸讌閣, 蜀山 郭輿 風雅 D_06_02_51 대동운부군옥 6권 2장 5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2장 5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고타니 뉴쇼(小谷龍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3 인물 고타니 뉴쇼(小谷龍沼) 고타니 뉴쇼 小谷龍沼 ? ? 에도시대 전-중기의 한시인(漢詩人). 소곡용소(小谷龍沼). 이름은 도라(虎), 자는 세이조(淸藏).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유형분류인물
- 목각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나무로 만든 각진 필통. 前懇雨傘及木角筩 留念下惠至望, 이인소(李寅.), 5-11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12)
- 廣告用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廣告用語辭典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廣告用語辭典 尹秉德 編著 知識産業社 서울 1986 초판 광고; 마케팅; 홍...대표표제어廣告用語辭典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신문방송학 | 소분류광고/홍보학
- 三獻卒哭用剛日之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l_00100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卒哭 三獻卒哭用剛日之義 三獻卒哭用剛日之義 이익(李瀷, 1681~1763) 答尹幼章別紙 DRAC_4:1:7:3 按, 《禮》: “葬日虞 虞: 《예설유편》에는 ‘及’으로 되어 있다. 《禮記》ㆍ《星湖...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주요都市(도시)에間諜申告用電話(간첩신고용전화) "113을돌려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주요都市(도시)에間諜申告用電話(간첩신고용전화) "113을돌려라"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대표표제어주요都市(도시)에間諜申告用電話(간첩신고용전화) "113을돌려라"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신고, 북괴
- 歲月日,時無易,百穀用成,乂用明,俊民用章,家用平康。日月歲,時旣易,百穀用不成,乂用昏不明,俊民用微,家用不寧。【《史》云:“歲日月,時毋易,又乂皆爲治,俊皆爲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90_0330 歲月日,時無易,百穀用成,乂用明,俊民用章,家用平康。日月歲,時旣易,百穀用不成,乂用昏不明,俊民用微,家用不寧。【《史》云:“歲日月,時毋易,又乂皆爲治,俊皆爲畯。”】 ...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盤庚作,惟涉河以民遷,乃話民之弗率,誕告用亶。其有衆咸造,勿褻在王庭。【馬本,亶作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30_0010 盤庚作,惟涉河以民遷,乃話民之弗率,誕告用亶。其有衆咸造,勿褻在王庭。【馬本,亶作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0)
- 러시아어 곡용론 연구: 곡용식의 공시적 패턴과 통시적 추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성호06162 최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러시아어 곡용론 연구: 곡용식의 공시적 패턴과 통시적 추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유형논문
- 국어 고유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미혜, 게재일 : 200924976 남미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국어 고유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러시아어의 곡용에서 어미 이형태의 분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성호, 게재일 : 200401693 최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러시아연구소 2004 러시아어의 곡용에서 어미 이형태의 분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러시아어 명사 곡용의 통시적 추이 :접사패턴의 동기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성호, 게재일 : 200505917 최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05 러시아어 명사 곡용의 통시적 추이 :접사패턴의 동기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러시아어 곡용 :어간변이와 어미변이와의 상호계면현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성호, 게재일 : 200606046 최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러시아문학회 2006 러시아어 곡용 :어간변이와 어미변이와의 상호계면현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9)
- 金相淳(金谷桶屋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相淳(金谷桶屋 ) 수원 金相淳 金谷桶屋 池野町 375 - - 통 류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相淳(金谷桶屋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통 류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十三警視新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웅곡용 평남 보자관 향뎐 황도 보자관 시여시 강원도 보자관 도뎐문지죠씨등 십삼인은 모다 경시를 피명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視 增田彰 任光州警視 宮川武行 任晋州警視 小川吉太郞 任大邱警視 永谷隆志 任咸興警視 松下平助 任鏡城警視 高橋淺水 任寧邊警視 關谷勇 任平壤警視 向田幸藏 任海州警視 柴與巿 任原州警視 嶋田文之助 以上八月十七日게재일1907년 8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강원인민보_1947_1219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어린 것들에 젓꼭지를 물리며 도구의 손질에 여념이 없는 그들의 모습은 갸륵하고도 씩씩한 북조선의 농촌 여성을 유감없이 상징하는 거룩한 자태이었다. 이윽고 12시 30분이 되자 경기는 시작되엇다. 먼저 곡용가마니 남녀경기로서 남자부 30조 여자부 4조로서 17분 30초가...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219_03 | 날짜1947년 12월 19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1940년1월_경제월보_288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급 통제에 관한 건(件) 폭리행위 등 취체규칙 금(金) 사용규칙 조선 소운송업령(小運送業令) 시행규칙 가격 등 통제령 시행규칙 중(中) 개정 [잡록] 곡용사두입(穀用四斗叺) 및 염용입(鹽用叺) 공정가격(公定價格) 경성 및 부산 미곡시장 최고가격 조선산(朝鮮産) 인조섬유...대표표제어1940년1월_경제월보_288호 | 지역경성 | 키워드중일전쟁, 텅스텐, 수연광, 운모, 소작료, 미곡배급, 폭리행위 | 연월일1940년1월 | 자료명경제월보
기타자료(8)
- 대곡용훈;大谷龍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81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47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42년 10월 말 현재);9) 예과생도;(13) 이과 1학년 갑류 1조 대곡용훈;大谷龍勳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곡용호;金谷龍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724 남한 전남 강진농업학교 2-02 제3회 졸업기념 1941 7면 금곡용호;金谷龍皓 제3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강진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곡룡문;金谷龍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985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24면 금곡룡문;金谷龍文 목포부 죽동 170 제17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생곡룡우;生谷龍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13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33면 생곡룡우;生谷龍雨 경성부 누하정 119-5 제18회 194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용월;金用鉞;금곡용월;金谷用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121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4면 김용월;金用鉞;금곡용월;金谷用鉞 경성부 창신정 131-83 제7회 192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곡용 / 曲用 [언어/언어/문자]
체언의 굴절(屈折). 단어들의 어형변화를 굴절이라 하는데, 그 중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체언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어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일이 굴절이므로, 곡용은 명사 어간에 곡용어미가 결합하여 그 곡용어미가 담당하는 문법
-
곡용어미 / 曲用語尾 [언어/언어/문자]
체언의 통사적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체언에 결합하여 곡용에 관여하는 문법 요소.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체언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활용이 용언의 어간과 어미의 결합으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곡용 역시 체언이 어간이 되어 문법범주를 나타내
-
어미 / 語尾 [언어/언어/문자]
어형변화(語形變化)를 가지게 되는 단어에서 어간(語幹)을 제외하고 어말(語末) 위치에 오는 형태소(形態素, morpheme). 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용어미는 체언(곡용어간)에 붙고 활용어미
-
굴절 / 屈折 [언어/언어/문자]
단어의 문법적인 기능·역할·관계 등의 양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단어에 어미를 붙이거나 어형을 변화시키는 형태론적인 절차. 체언의 굴절을 곡용(曲用)이라 하고 곡용에 쓰이는 어미를 곡용어미라 부르며, 용언의 굴절을 활용(活用)이라 하고 활용에 쓰이는 어미를 활용어미라 부
-
부사어 / 副詞語 [언어/언어/문자]
문법에서 다른 요소를 꾸며주는 수식어의 하나로서 용언(用言)의 내용을 한정하는 문법성분. 부사어가 형성되는 과정에는 두 가지가 있어서, 그 첫째는 용언어간에 부사형 어미 ‘·게’가 결합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체언이 처격(處格)·여격(與格)·조격(造格) 등의 형태로 곡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