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추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6)
사전(135)
- 고추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추측되나, 고추장은 고추의 도입 이후에 개발된 것이다.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760년경에 간행된 ≪증보산림경...
- 순창고추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순창 에서 제조되는 특유한 맛의 고추장. [내용] 고추장의 빛깔이 연홍빛이고, 달거나 맵거나 짜지 않으며 산뜻하고 시원하면서도 알싸한 독특한 맛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유명하다. 조선시대에...
- 고추장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추장에 물을 조금 붓고 고기‧파‧두부 등을 썰어 넣고 끓인 찌개. [내용] 반상차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찌개로 두부고추장찌개‧생선고추장찌개 등이 있다. 고추장찌개는 조선 중기 이후에 고추가 재배되고 고추장이 개발된 뒤에 만...
- 두부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부를 주머니에 넣어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서 오래 묻어두었다가 꺼내 먹는 반찬. [내용] 두부장은 장의 형태상 합장(合醬)에 속하는 것으로 문헌에 나오기 시작한 것은 『증보산림경제』부터이다. 이 때의 두부장은 장맛을 돋구기 위하여 넣은...
- 닭갈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양념고추장에 재워 둔 닭갈비를 양배추‧고구마‧당근‧파와 함께 볶는 음식. [연원 및 변천] 춘천 닭갈비의 역사는 1960년대 말 선술집에서 숯불에 굽는 술안주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김영석(金永錫)씨가 중앙로에 돼지구이를 팔다...이칭별칭춘천닭갈비
고서·고문서(60)
- (풍속) 평안북도 선천‧의주 풍속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평안북도 선천․의주 등지를 조사하여 정리한 자료이다. 약 3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한문혼용체로 작성하였다. 1926년(대정 15) 4월 1일 작성하였다. 조사원은 촉탁 김돈희(金敦熙)이다.분류민속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1868년 이세보(李世輔)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8년 1월 18일 보은 돈촌에 거주한 경평군 이세보가 순창 마동에 누군가에게 보낸 편지이다. 새해가 인사와 고추장을 보낸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는 내용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효자 전주이씨가
- 방송공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반갚던것, 요전, 계림, 몇번, 려행사, 찾아가, 헛물, 타향, 누구, 조선말, 하겠습니까, 답답, 민족음식, 고추장, 저, 우리음식, 중국, 보급, 생각, 손, 내미는바, 고추장, 조선김치, 포장판매, 소개대표표제어방송공사 | 성씨박
- 1870년 정직조(鄭稷朝)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70년에 2월 9일에 한양의 남부 공동에 사는 정직조가 임실현 구고면 암포리에 사는 박인환에게 보낸 서찰이다. 서찰의 내용은 안부를 묻는 것과 보내준 물건을 잘 받았으며, 고추장을 구해달라는 것이다. 또한 부탁한 일에 대해서는 임실현감에게 연통하겠다는 것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6138 B046138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年 9月 27日_008 ○又以刑曹言啓曰, 因臺疏罪人泰淵子侄, 絶島散配事, 命下矣。 移文京兆, 考出帳籍, 知委五部, 使之修成冊以來, 而卽接南部成冊, 則罪人泰淵子範中, 査出以來, 全羅道濟州牧大靜縣定配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6)
- 고추장 좋아하는 삼부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설이야기만 하니까 청중들이 가만이 앉아 듣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분위기를 좀 바꾸어야겠기에 김재복씨에게 재미있는 고담이나 하나 하시라고 졸랐다."[조사자:그 머십니까 그것은 무엇에 대헌 이얘깁니까? 대개.][제보자:삼부자의 이종이요.][조사자:예. 삼부자.][...조사일시1980-11-28 |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군 나산이면 | 제보자김재복
- 이성계와 순창 고추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월 11일 제보자와의 면담 후 약속을 다시 잡아 제보자를 만났다. 조사자가 알고 있는 인물 설화들을 예로 들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1월 13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인계면 도룡리 산 206-3번지 도사마을 경로당 | 제보자양정욱
- 이성계와 순창 고추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차 조사 후에 다시 연락을 하여 2차 면담을 하였다. 인사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12일(토) | 조사장소순창군 팔덕면 장안리 526-1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박태호
- 어른은 둘인데, 애는 셋인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비리고 가자고 그랬다고. [청중 : 다 내버리고 간 사람 있어.] 애 내버리고 간 사람이 많아. 가다보며는 허연 미밥을 하-나 싸가지고가서 획 내비려서 그양 허 옇게 자빠진 것도 있고. 고추장갖다 확 내버려서 허고. 숟갈도 하고. 그러니 정(正)바랬어. 우리 그 대조사지역강원 평창 | 조사일2014년 5월 20일
- 도시처녀를 시골새댁으로 만든 전쟁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러 간 부모의 부재로, 가장이 되다. 그때 우리 친정아버지가 통장을 봤다고. 친정아버지가 통장을 봤는데 아 인민군들이 들어오더니 뭐 뭐어디가서 장 받아와라 뭐 된장 받아와라 고추장 걷어와라, 된장 얻어와라. 그냥 댕금 사방 얻 어오라는 거야. 아 그래서 통장을 볼 때조사지역강원 횡성 | 조사일2013년 8월 8일
신문·잡지(25)
- 警顧出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고문관 환산즁쥰씨 홍슈군셩를 근거디로삼고잇데 소위의병이창궐야 약간파송슌샤헌병이 능히진압슈 업다 급보를인야 작일에 부하관리륙칠인을령솔고 당디로 하거얏 그졍형을시찰야 진압방을 운동 예뎡이라더라게재일1906년 5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도라지_1995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고추장 냄새 구용기 44 봄풀 외1수 조룡남 53 콩나물 외1수 최화길 53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5
- 승리를위하여_1950_072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5 김명덕 전선협조위원회 함남도 전선협조위원회에서는 도내 16개 시 군 인민들의 정성으로 이루어진 샤쯔 수건 밀수가루 간장 고추장 고사리과자 편지 기타 무려 25만 여점에 달하는 위문품을 전선에 보내여 왔다. 흥남지구 녀성 로동자들로부터 보내 온...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0_0725_01 | 책임주필김명덕
- 은하수_1988_07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김파 단시 9수-나의 족속, 혈액분석, 이상기후, 락화, 고추장 타는 냄새, 강화의 지석, 그리움, 사랑새, 새들의 신앙 김파 10 애정변주곡-특별부부의 이야기 양재림 12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8
- 장백산_1990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5 고추장 유인형 86 고향떠나 50년 정판룡 89 그리운 고향, 그리운 사람들 리승호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0
주제어사전(8)
-
고추장 / ─醬 [생활/식생활]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는 고추가 일본에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말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된 최초의
-
고추장찌개 / ─醬─ [생활/식생활]
고추장에 물을 조금 붓고 고기·파·두부 등을 썰어 넣고 끓인 찌개. 반상차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찌개로 두부고추장찌개·생선고추장찌개 등이 있다. 고추장찌개는 조선 중기 이후에 고추가 재배되고 고추장이 개발된 뒤에 만들어진 음식이다. ≪조선요리제법≫·≪간편
-
매운탕 / [생활/식생활]
생선을 주재료로 하여 고춧가루 또는 고추장으로 아주 맵게 조미하여 만든 찌개. 매운 맛은 고춧가루·후춧가루 등이 주도하고 고추장은 조미료의 역할을 하는데, 그 비율은 정해져 있지 않고 자유롭게 배합한다. 만드는 법은 물고기를 토막쳐서 넣고 내장 중에서 먹을 수 있는
-
생채 / 生菜 [생활/식생활]
섞은 초장이나, 또는 고추장도 같이 섞은 초고추장에 무치는 초채와 겨자장에 무치는 겨자 초채가 있으며, 실백과 불린 쌀을 닭국물에 갈아서 끓인 되직한 실백즙이나, 닭국물 대신 참깨와 같이 갈아서 끓인 깨즙으로 무치는 것도 있다.
-
추어탕 / 鰍魚湯 [생활/식생활]
미꾸라지를 넣고 양념하여 얼큰하게 끓인 국. 만드는 법은 미꾸라지를 푹 고아서 걸러낸 것과 닭국물을 함께 섞어서 간장·고추장·후춧가루로 간을 하여 배추 데친 것과 갓·파를 넣고 다시 푹 끓인다. 두부를 조금 썰어넣고 끓여도 좋다. 다른 방법은 두꺼운 냄비에 참기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