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창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민족독립운동
연구성과물(26)
사전(8)
- 고창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2(고종 29)∼?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함경북도 경원 출신.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달냐워스토크대학을 졸업하고 러시아군 장교로 종군하였다. 1917년 12월 러시아에 있는 한족 단체들이 전로한족회중앙총...
- 윤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高昌一)과 같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강화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파리로 향하였다. 2월에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하였으나 소련의 국내사정이 혼란하여 이를 피해 시베리아와 소련의 북부, 노르웨이ㆍ영국을 거쳐감으로써 강화회의가 끝난 9월에야 프랑스에 도착하여 소기...
- 민족통일총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李允榮), 노농부(勞農部)에 고창일(高昌一)‧장자일(張子一)‧전진한(錢鎭漢), 선전부에 홍성하(洪性夏)‧장석영(張錫英)‧김선량(金善亮), 청년부에 김철수(金喆壽)‧김효석(金孝錫)‧김산(金山)‧박용만(朴容萬), 부녀부에 박현숙(朴賢淑)‧박승호(朴承浩)‧임영신(任永信)‧황...
- 민중동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일 김약수‧고창일(高昌一)‧서세충(徐世忠)‧이순탁‧김상덕(金尙德)‧임의택(林義澤)‧송남헌(宋南憲) 등 31명이 민중동맹결성준비위원회를 구성한 뒤, 그 해 12월 22일 서울 천도교 강당에서 대의원 800여명이 모여 결성대회를 열고, “우리는 일치단결하여 좌우합작을 지...
- 조선공화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의장을 신숙(申肅)으로 하여 정부를 세우기 위한 헌법을 제정하고, 1923년 6월 2일 비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무위원으로 김규식(金奎植)‧한형권(韓亨權)‧윤해‧고창일(高昌一)‧원세훈(元世勳)‧신숙‧도인권(都寅權)‧김철(金徹)‧지청천(池靑天)‧최동오(崔東玝)‧...
신문·잡지(3)
- 통일평론_1979_16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高創一 58 特輯 朝鮮の文化遺産-高句麗壁畵古墳と遼陽 池容九 68 榮光と汚辱の足跡をたどつて 金成奎 80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9
- 통일평론_1979_16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と民族意識-同化敎育のはざまで 金昌根 82 特輯 世代がわりと民族意識-民族意識について考える 高昌日, 趙博, 高壽惠, 成明壽, 高福順 92 特輯 世代...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9
- 투사신문_1948_1226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는 흉계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매국노 리승만은 소위 내무장관에 신성모라는 자와 사회부장관에 주명 높은 리윤영과 외무부장관 대리에 고창일 등을 임명한다고 발표하였다.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26_01 | 책임주필한효
기타자료(15)
- Declaratio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rea 숙명여자대학교 선언문.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내각의 장관들로부터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고창일 외무부 장관 본인이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 헌장의 의무를 전적으로 받아들이고 유엔 회원국이 되었을 때 이를 지킬 것을 선언하는...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Chang Il Koh, Acting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 The question of Ad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United Nation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엔 회원국의 첫 신청 내용을 적시. 한국의 첫 신청은 고창일 외무부 장관이 1949년 1월 유엔 사무총장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으로 이루어짐. 1949년 안전보장이사회가 검토한 내용을 명시. 안전보장이사회는 409회 410회 회담이 2월 15일부터 16일 양일간 이어졌...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The problem of Ad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United Nation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고창일 외무부 장관이 1949년 1월 유엔 사무총장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으로 이루어짐. 또한 북한 외무부장관도 사무국에 전보로 회원국 신청을 함. UN membership, summary review, consideration, membership app...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Rhee sent letter to chairman UNTCOK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ul Joseph E.Jacobs Secretary of State 숙명여자대학교 이승만 대통령은 8월 18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자문으로 장면, 장기영 그리고 고창일을 의장에게 임명하여 보냈음. ...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oseph E.Jacobs | 수신자Secretary of State
- Appoint representatives of the government to consult with the UNTCOK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외무부장관 장택상이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의장에게 발송한 서신. 장면, 장기영, 고창일을 외교부 대표단으로 임명해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와 유엔 안보군 설치 및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협상 논의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함. Preside...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Chang Taik Sang, Foreign Minister of the Korean Government | 수신자the Chairman of the Commission
주제어사전(1)
-
고창일 / 高昌一 [역사/근대사]
1892-미상. 독립운동가. 함경북도 경원 출신.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달냐워스토크대학을 졸업하고 러시아군 장교로 종군하였다. 1917년 12월 러시아에 있는 한족단체들이 전로한족회중앙총회(全露韓族會中央總會)로 통합되자 이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1919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