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창군읍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고창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湖南邑誌)』 고창군읍지 고창군읍지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 읍지. 채색 지도가 있는 사본. 규장각...
- 고창읍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은 여자들의 성벽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이는 한해의 재앙‧질병을 가시게 하는 기양의식(祈禳儀式 :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이다. 新增東國輿地勝覽 輿地圖書 高敞郡邑誌 文化財大觀‧史蹟篇 下‧(文化財管理...연계항목고창읍성(高敞邑城)
- 고창군(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輿地勝覽)』 『대동지지(大東地誌)』 『고창군읍지(高敞郡邑誌)』 『지방행정구역요람』(행정자치부, 2003) 『지방행정구역연감』...
고서·고문서(1)
- 고창군읍지(高敞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3)에 편찬된 전라도 고창군의 읍지이다. 고창군은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고수면, 충청남도 아산면의 일부 지역을 포괄하는 작은 고을이었다. 읍치는 고창군 읍내리에 있었다. 전국적으로 읍지를 간행해 올리라는 칙령에 의해 편찬되었다. 고창의 옛 이름...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1)
-
고창군읍지 / 高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 읍지. 1책. 채색지도가 있는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때 편찬된 필사본인 『고창현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지(城池)·도리(道里)·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