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창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4)
사전(188)
- 고창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 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있는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때 편찬된 필사본인 『고창현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
- 고창군(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위 35°18′∼35°34′에 위치한다. 면적은 607.69㎢이고, 인구는 6만 328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3개 면, 557개 리가 있다. 군청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다. [자연환경] 노령산맥이 내장산...
- 일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신라의 세혜현(勢兮縣, 또는 泥兮)이었는데, 경덕왕이 일계현(日谿縣)으로 고쳐 고창군(古昌郡: 지금의 안동시)의 영현으로 하였다. 세(勢)는 날〔日〕과 같은 표기인데, 날이 ‘나...이칭별칭세혜현(勢兮縣)|이혜(泥兮)
- 고사부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고쳐 관찰사를 두었고,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승격되기도 하였다. 고려 충렬왕 때 영광군에 속하기도 하였으나 다시 복귀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일부는 부안군과 고창군에 편입되고 나머지는 모두 정읍군에 병합되었다. 현재의 고부면 관청리와 고부리...이칭별칭고사주(古四州)|고부군(古阜郡)|영주군(瀛州郡)
- 무장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영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무장현(지금의 고창군 무장면)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영조 연간에 『여지도서(輿地圖書)』를 편찬할 때 무장현에서 부본(副本)으로 작성한 두 편의 기록 중에서 『여지도서』에 수록되지
고서·고문서(311)
- 고창군읍지(高敞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3)에 편찬된 전라도 고창군의 읍지이다. 고창군은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고수면, 충청남도 아산면의 일부 지역을 포괄하는 작은 고을이었다. 읍치는 고창군 읍내리에 있었다. 전국적으로 읍지를 간행해 올리라는 칙령에 의해 편찬되었다. 고창의 옛 이...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897년 고창군수(高敞郡守) 보고서(報告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97년 9월 3일에 고창군수정윤영이 전라북도관찰사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고창군수는 관찰사의 감결에 의거하여 의송을 보내는 자는 원장두를 먼저 쓰고 그 도착한 일자와 결정한 개개의 내용을 써 주라고 한 감결이 이날 오시에 도착하였다고 보고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보고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武裝間諜(무장간첩) 射殺(사살) 全北高敞郡(전북고창군)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武裝間諜(무장간첩) 射殺(사살) 全北高敞郡(전북고창군)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대표표제어武裝間諜(무장간첩) 射殺(사살) 全北高敞郡(전북고창군)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사살, 무장간첩, 교전, 밀파, 괴뢰, 북한
- 전북 고창군 당산리 해안, 간첩 2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전북 고창군 당산리 해안, 간첩 2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대표표제어전북 고창군 당산리 해안, 간첩 2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전북 고창군 화룡리 해안, 간첩 3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전북 고창군 화룡리 해안, 간첩 3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대표표제어전북 고창군 화룡리 해안, 간첩 3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구술자료(150)
- 전라북도 고창군_삼단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15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삼단 소리 삼단 소리 구수네 논매기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구수네 1988.4.21 素88-4-21B 최기준 최기준(1914년생.남.토민.호적명은 최만규) 이소라 이소라 삼장소리 류 멕받형 (선후창) 1.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구수네 | 녹음날짜1988.4.21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고창군_에야 뒤여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16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에야 뒤여 소리 에야 뒤여 소리 1. 뒤여 소리 2. 돌머리 소리 3. 옹골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 대촌 1989.5.24 素89-5-24②B 한동석 한동석(193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뒤여 소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후포리 대촌 | 녹음날짜1989.5.24 | 가창방식1. 멕받형 (선후창) 2, 3. 선입후제창
- 전라북도 고창군_남월 초벌매기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17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남월 초벌매기 소리 남월 초벌매기 소리 어야 아데 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 남월 1989.5.24 素89-5-24②A 김대철 김대철(1930년 영광군 영광읍 신월리 출생.남.24세때 남월 이주. 논매기소리는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 남월 | 녹음날짜1989.5.24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고창군_호무질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18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호무질 소리 호무질 소리 오헤로 호무질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 와석 1988.4.19 素88-4-19①A 선영관 선영관(1926년생.남.부안군 행안면에서 3세 때 와석 입촌) 이소라 이소라 오헤로 호무질소리 류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 와석 | 녹음날짜1988.4.19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고창군_우루루루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19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우루루루 소리 우루루루 소리 무삼베끼는 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칠곡 1988.4.19 素88-4-19②A 김석윤 김석윤(191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무삼 삼장 류 멕받형 (선후창) 에야 - , 어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칠곡 | 녹음날짜1988.4.19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기초학문(1)
- 섯구덩이를 이용한 자염생산방식 고찰-전북 고창군 심원면 검당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오, 게재일 : 200826290 박종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8 섯구덩이를 이용한 자염생산방식 고찰-전북 고창군 심원면 검당마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5)
- 高守處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나남도 고창군슈 쟝명샹씨가 공젼을 람봉은 젼보에 긔얏거니와 씨의 상이 변명무디가되야 평리원에셔 필경오월 금옥에 쳐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郡付南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남도 문의군은 츙쳥북도로 이속고 젼라남도 홍덕 무쟝 고창군은 젼라북도로 부속고 젼라북도 구례군은 젼라남도로 부속고 강원도 울도군은 경상남도로 부속얏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柳訴張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항셜을 들은즉 젼라남도 고창군슈 장명상씨가결셰 량머리에 두푼식가렴 엿다고 군민 류장규씨등의 평리원소장 사건을 인야 감옥셔에구류 엿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義兵의殺死日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쟝셩군에셔 소위 의병이라칭쟈 십여명이 돌입야 그곳 우편국 일인무원일명을 살고 일쟝야료다가 고창군등디로 발향얏다 도관찰의 뎐보가 도착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十一仍任二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상 쥬야 부평군슈 셩보영 삭영군슈 박용관 쳥쥬군슈 리회복 홍쥬군슈 최홍△ 고창군슈 김규현 거졔군슈 한응규 담셩군슈 윤슌 단쳔군슈 리현 희쳔군슈 리태직 슌텬군슈 신경균 풍덕군슈 박쥰우 졔씨 포폄에 치젹이 즁에 거고로 면관치 아니고 삼△군수 김완과 려...게재일1902년 8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79)
-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창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창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고창군교육규칙2호)고창군장학위원에관한규칙제정공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창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 (고창군조례174호)고창군교육연수원설치조례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창군조례174호)고창군교육연수원설치조례제정 (고창군조례174호)고창군교육연수원설치조례제정 교육 문헌 교원 재교육 교육행정 지방교육행...범주1교원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창군수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 (고창군교육규칙제13호)고창군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창군교육규칙제13호)고창군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제정 (고창군교육규칙제13호)고창군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제정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전라북도 고창군교육청 관리과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연구과제(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6)
-
고창군 / 高敞郡 [지리/인문지리]
은 607.72㎢이고, 인구는 6만 46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3개 면, 563개 행정리(189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다.
-
고창군읍지 / 高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전라북도 고창군 읍지. 1책. 채색지도가 있는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때 편찬된 필사본인 『고창현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지(城池)·도리(道里)·관
-
고창분청사기요지 / 高敞粉靑砂器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조선전기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250호. 전라북도 고창군 수동리에 있는 분청사기 가마터로, 부안면에서 선운사로 가는 도로에서 약 200m 남향한 구릉 위 작은 저수지의 경사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고창 분청사기 요지는 조선시대
-
고관상 / 高館相 [종교·철학/유학]
1884-1948.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공보(公甫)이고, 호는 유연당(悠然堂) 또는 담우(淡友)이다.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신림면(新林面) 왕림(旺林)에서 태어났다. 장령(掌令) 고직(高直)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매헌(梅軒) 고
-
유금필 / 庾黔弼 [종교·철학/유학]
?~941년(태조 24). 고려 전기의 무신. 태조를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워 개국공신이 되었다. 929년 견훤이 고창군(古昌郡)을 포위·공격하자 많은 장수들이 진군을 망설였다. 그러나 유금필은 홀로 결사적인 태도로 임해 저수봉(猪首峰)으로부터 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