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지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1)
사전(63)
- 고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창고‧묘‧정자 등을 지키는 사람. [내용] 관아의 창고를 지키는 사람에서 생겨나 묘지기‧산지기‧정자지기 등으로 분화되었다. 조선사회에서 고지기는 신분상 노속이었다. 대개 동리 밖에 거주하면서 동리 안에 있는 특정 친족집단의 공유
- 고지기([庫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지기 고지기 [庫子] 창고지기 관속(官屬) 고직(庫直) 관노비(官奴婢), 창고(倉庫) 정치행정/관속 직역 대한민국 조선 태조~순종 김덕진 [정의] 조선시대에 각종 창고를 지키고 재물 출납을 맡...상위어관속(官屬) | 동의어고직(庫直) | 관련어관노비(官奴婢), 창고(倉庫)
- 건량고직(乾糧庫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07 제도 건량고직(乾糧庫直) 건량고직 乾糧庫直 먼 길을 가는 데 지니고 다니기 쉽게 만든 양식을 지키는 고지기. 원래의 사행 인원 중에서, 특히 반전직(盤纏直) 중에서 뽑아 건량고직으로 정하였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유형분류제도
- 고직(庫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63 제도 고직(庫直) 고직 庫直 일공(日供) 등 사행 중 필요한 물건을 지키는 사람. 고지기 ∙ 창고지기 ∙ 고자(庫子) ∙ 색고직(色庫直)이라고도 한다. 고직은 원래 관아의 창고를 살피고 지키는 사람을 이르던 말이었다. 고...유형분류제도
- 김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관리. [내용] 국보인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보관하던 천존고(天尊庫)의 창고지기로 근무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693년(효소왕 2)에 화랑인 부례랑(夫禮郎)이 화적에게 붙잡혀간 직후 천존고에 보관중이던 피...
고서·고문서(209)
- 경자년 고지기(雇地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회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문계(文契) 고지기(庫直) 여종(汝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영암 장암 남평문씨
- 朴(박)대통령,報告(보고)받고指示(지시) 武裝間諜船(무장간첩선)침투 注視(주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朴(박)대통령,報告(보고)받고指示(지시) 武裝間諜船(무장간첩선)침투 注視(주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대표표제어朴(박)대통령,報告(보고)받고指示(지시) 武裝間諜船(무장간첩선)침투 注視(주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간첩선, 격침, 생포
- 卷耳【楊愼云:“陟岡者,文王陟之也。馬玄黃者,文王之馬也。僕瘏者,文王之僕也。金罍ㆍ兕觥者,冀文王酌以消憂也。蓋身在閨門,而思在道途也。曾與何仲默說及,仲默大稱賞,以爲千古之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80 詩經講義補遺 ITKC_MP_0597A_0480_030_0070 卷耳【楊愼云:“陟岡者,文王陟之也。馬玄黃者,文王之馬也。僕瘏者,文王之僕也。金罍ㆍ兕觥者,冀文王酌以消憂也。蓋身在閨門,而思在道途也。曾與何仲默說及,仲默大稱賞,以爲千古之奇。...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62년 억시(億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62년에 김 아무개가 사혈원에 있는 전답을 창고지기 억시에게 판매하는 내용의 토지계약문서이다. 억시는 자기 전답을 사들인 것이 아니라 고지기로서 낙정소의 전답을 사들인 것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구술자료(1)
- 함평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선후창. 후렴구(이카이카이카이카) 가사(자기로자기로 뚜그러주소/어느사람도 잘들어온다) 9) 곡명미상(20:09): 선후창. 후렴구(시릉시릉 옳고지기야) 10) 곡명미상(21:03): 선후창. 후렴구(오구로구나 에헤/오후오후 에이야 에디/ 여기와라 여기/~) 11) 곡명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천학실
신문·잡지(5)
- 조선출판경찰월보 045호 별나라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상 - 나는 주인의 창고지기를 했었다. 어느 날 쥐를 잡으려다가 잘못해서 유리접시를 하나 깨뜨렸다. 주인은 나를 죽이려고 했다. 가난한 철호(哲鎬)가 말렸지만 주인은 소유권을 주장해서 듣지 않았다. 주인은 몰락했지만 철호는 동지의 ## 힘을 빌려 공평한 생활을 하게...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45호 별나라 | 출판물명별나라 제7권 제4호
- 조선인민군_1951_0923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리춘백 조선인민군신문사 양욱 원춘동 동무소속구분대 전투원들이 그리높지 않은 ○○고지 부근일대를 방어할때였다. 이고지는 비록 높지는 않으나 고지기슭으로 수송도로가 끼여있는 만큼 전략상으로 보아 중요한 지점으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적들은 이 고지를...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3_03_01 | 책임주필리춘백
- 조선인민군_1951_0930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곳 포수들의 억센 투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 적보병들의 날뛰는 추악한 광태를 눈앞에 본 포수들은 격분하여 포를 더욱 민속하게 움직여 적을 사격하였다. 묘준수 유춘화동무는 적의 폭격속에서도 묘준경과 방향기 고지기돌개에서 눈과 손을 떼지않고 계속 적을 살피며 묘준하고...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30_03_01 | 책임주필리춘백
- 조선인민군_1951_0920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리춘백 조선인민군신문사 유수창 중국인민지원부대 금화에서 ○○에 이르는 도중에 있는 무명고지는 나무가 무성한 높은 산봉우리였다. 『북진』을 기도하는 미제침략군들은 반드시 이 무명 고지기슭에 놓인 도로를 걸쳐서야 ○○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0_03_01 | 책임주필리춘백
- 조선인민보_1950_07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며 고지뒷면방사에도 약1개 대대의 병력을 집결하고 있었다. 그리고 고지기슭에는 대구경포 6문과 기타 포로써 포진지를 구축하고 완강강한 방어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진대성중대장은 적의 정황을 옳게 판단하고 중기 한 개 분대를 우측고지에 음밀히 우회배치하여 놓았다. 오전...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730_02
기타자료(3)
- 사신을 보내 쯔쿠시길(筑紫道)로 오라고 명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금 이후로 구례(舊例)에 따라 쯔쿠시길(築紫道)로 내조해야 한다”고 하였다. (『續日本紀』 32 光仁光仁天皇 宝龜4年 6月 戊辰) 【원문】 (六月)戊辰 遣使宣告渤海使 烏須弗曰 太政官處分 前使壹萬福等所進表詞驕慢 故告知其狀罷去已畢 而今能登國司言 渤海國使 烏須弗等所進表函...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쯔쿠시길(筑紫道)로 오라고 명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3년(癸丑/신라 혜공왕 9/발해 문왕 37 大興 37/唐 大曆 8/日本 寶龜 4)
- 사신을 보내 축자도로 오라고 명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慢 故告知其狀罷去已畢 而今能登國司言 渤海國使 烏須弗等所進表函 違例無禮者 由是不召朝廷 返却本鄕 但表函違例者 非使等之過也 涉海遠來 事須憐矜 仍賜祿幷路糧放還 又渤海使取此道來朝者 承前禁斷 自今以後 宣依舊例從筑紫道來朝 (『續日本紀』 32 光仁光仁天皇 宝龜 4年 6月 戊辰) (廣...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축자도로 오라고 명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3년(癸丑/신라 혜공왕 9/발해 문왕 大興 37/唐 代宗 大曆 8/日本 光仁天皇 寶龜 4)
- 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能自通使聘 普通二年 王姓募名秦 始使使隨百濟奉獻方物 其俗呼城曰健牟羅 其邑在內曰啄評 在外曰邑勒 亦中國之言郡縣也 國有六啄評 五十二邑勒 土地肥美 宜植五穀 多桑麻 作縑布 服牛乘馬 男女有別 其官名 有子賁旱支齊旱支謁旱支壹告支奇貝旱支 其冠曰遺子禮 襦曰尉解 袴曰柯半 靴曰洗 其拜及行與高...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21년(辛丑/신라 법흥왕 8/고구려 안장왕 3/백제 무령왕 21/梁 武帝 普通 2/倭 繼體天皇 15)
주제어사전(5)
-
고지기 / 庫直 [사회/촌락]
창고·묘·정자 등을 지키는 사람. 조선사회에서 고지기는 신분상 노속이었다. 대개 동리 밖에 거주하면서 동리 안에 있는 특정 친족집단의 공유 재산을 관리하고, 심부름을 하면서 친족집단에 예속되어 있었으며, 대대로 세습되었다. 그들은 묘나 마을 또는 문중의 문물·공유 산
-
원주민란 / 原州民亂 [역사/근대사]
1885년 강원도 원주목(原州牧)에서 발생한 민란. 원주목민들이 환곡의 폐단을 시정해줄 것을 호소하기 위하여 모였다가 마침내 관아로 쳐들어가 판관, 이서의 집을 파괴, 창고지기를 불에 태워 죽이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서들도 별도로 무리를 지어 각 촌리로 나가 양반가
-
이력서 / 履歷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9) 3월 주전원에서 관장하는 양화실 원역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 청색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제목은 이력서라고 기록되었으나 이력서라기보다는 현황을 정리한 명단 정도로 이해된다. 문서에 따르면 양화실 소속 원역으로는 간사 2인, 감관 4인, 고지기 4
-
도리강관원놀이 / [문학/구비문학]
동해안 별신굿 중 열번째 거리인 천왕굿에 이어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무극(巫劇). 이 놀이는 여자무당은 참여하지 않고 남자무당에 의하여 연행되는데, 사또역을 맡는 무당, 고지기역·기생역을 맡는 무당, 도리강관·이방·황소·도사령·수노·기생오라비역을 맡는 무당 등 세 사
-
재지기 / 齋─ [사회/촌락]
그 관리인을 두게 되었다. 특히, 왕가를 비롯한 유명 문중에서는 유명한 선조의 묘소나 사당에 부속된 재실과 재지기를 두는 것을 상례로 하였다. 재지기는 고지기나 정자지기 등과 같이 노비의 신분이었다. 왕실의 재지기는 공노비였으나, 그 밖에는 사노비에 속하였다. 이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