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증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8)
사전(99)
- 고증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 청대의 고증학이 되었다. 고증학의 주류는 경학을 중심으로 하여 저장(浙江)의 서쪽에서 일어난 이른바 절서학파(浙西學派)였으며, 그 개조는 고염무(顧炎武)였다. 고염무는 명나라 말의 학풍에 대하여 “지금의 군자는 빈객‧문인 등 백 수십 인을 모아놓고 서...
- 고증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옛 문헌에서 확실한 증거를 찾아 실증적으로 연구하려고 하였던 학문. 조선 영‧정조 때 일어난 한국 실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학풍.정의옛 문헌에서 확실한 증거를 찾아 실증적으로 연구하려고 하였던 학문. 조선 영‧정조 때 일어난 한국 실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학풍.[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ojeunghak | MR표기kojŭng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 김정희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기백이 뛰어나서 일찍이 북학파(北學派)의 일인자인 박제가(朴齊家)의 눈에 띄어 어린 나이에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그의 학문 방향은 청나라의 고증학(考證學) 쪽으로 기울어졌다. 24세 때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이칭별칭 원춘(元春)|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실사구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청대 고증학파가 내세운 학문 방법론. [내용] ‘실질적인 일에 나아가 옳음을 구한다.’, ‘사실을 얻는 것을 힘쓰고 항상 참 옳음을 구한다.’로 풀이되고 있다. 본래 이 말의 출전은 ≪한서 漢書≫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 보이는데, 학문...
- 강이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應製詩)를 지어 올렸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이기설(理氣說)을 토대로 하는 당시의 보편적 학문성향을 탈피하고 고증학적(考證學的)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사실들을 구명(究明)하는 데 전념하여 전도가 촉망되었다. 그러나 179...이칭별칭 성륜(聖倫)| 중암(重菴)
고서·고문서(5)
- 1924년 배산유회(培山儒會)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행하며 5차례에 걸쳐 중국을 오가며 강유위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그는 강유위로부터 옛 것에 의탁해서 제도를 새롭게 고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시무관을 갖게 되고, 경전의 해석에 있어서도 경직된 고증학이나 성리학 대신에 경전의 숨은 뜻을 비교적 자유롭게 해석하는 것...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담진성 판결문(談振聲 판결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어 있고, 모든 항목을 변증설로 처리해 고증학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밝히고 있다. 중의 아편연변증설에서부터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아편 흡연이 크게 퍼지지 않은 것은 엄격한 쇄국정책과 아울러 아편 흡연을 서교(西敎)와 결부시켜 국금하였기 때문인데 임오군란을...제목담진성 판결문(談振聲 판결문) | 사건유형아편 제조 판매 | 소장처국가기록원
- 주역대전 : 兌卦_효사-초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1752년 정시 문과에 급제,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과 교리를 거쳐 1799년에는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임하는 영예를 누렸다. 두 차례에 걸쳐 연경에 다녀오면서 고증학을 수용‧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글씨도 진체(晉體)와 당체(唐體)에 뛰어나 많은 작품을...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거사시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사신의 임무는 辭令을 잘 수행하는 것, 임금의 명을 욕되게 하지 않는 것, 그 나라를 염탐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나, 지금은 평상시와 달라 經術文章도 중요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청나라의 학풍이 고증학으로 발달하여 정주의 학문을 무시하나, 학문의 도는 정주에 있으니 이를...분야문학 | 유형문헌
- 풍악록(楓樂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은 모두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 것입니다. 구암(久菴) 한백겸(韓百謙) 한백겸(韓百謙) : 1552-1615.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菴), 본관은 청주다. 실학의 선구자로서 실증적이며 고증학적인 방법으로 조선의 역사와 지리를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동국지리지』...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윤휴(尹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4)
-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와 신고증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869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와 신고증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오타 긴죠의 탈소라이학-고증학적 방법과 복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기원, 게재일 : 201239593 이기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오타 긴죠의 탈소라이학-고증학적 방법과 복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대회, 게재일 : 200409731 안대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4 李睟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청대 고증학의 개조 황종희-科擧之學 비판과 經學 제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1869 한국연구재단 한국양명학회 2012 청대 고증학의 개조 황종희-科擧之學 비판과 經學 제창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2
연구과제(1)
-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남옥 | 한국국학진흥원 | 2019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7)
-
고증학 / 考證學 [종교·철학/유학]
송명이학의 형이상학적 지향성에 반대하여 생겨난 청나라 때의 대표적 학풍. 실사구시를 내용으로 하는 실학의 필요성을 강조, 한·당나라의 훈고학을 계승하여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처럼 경학과 사학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방법이 발전하여 청대의 고증학이 되었다.
-
실사구시 / 實事求是 [종교·철학/유학]
청대 고증학파가 내세운 학문 방법론. ‘실질적인 일에 나아가 옳음을 구한다.’, ‘사실을 얻는 것을 힘쓰고 항상 참 옳음을 구한다.’로 풀이되고 있다. 본래 이 말의 출전은 ≪한서≫ 하간헌왕전에 보이는데, "수학호고 실사구시"에서 비롯되었다. 이 학문 방법론으로 제
-
이긍익 / 李肯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이이·김장생·송시열 등 서인계열의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파에 속했으며, 실학을 연구한 고증학파 학자였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로는《연려실기술》이 있다.
-
학강만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분야는 경학(經學)과 같은 유학사상인이다. 송대의 유학을 존숭하여 청대의 고증학을 비판하고 있다. 청나라의 학자들이 고증학을 실학(實學)이라 부르고 있는 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도리어 주경(主敬)과 구방(求放)하는 공부인 송유(宋儒)들의 학문태도를 실용(實用)으로
-
학강산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분야는 경학(經學)과 같은 유학사상인이다. 송대의 유학을 존숭하여 청대의 고증학을 비판하고 있다. 청나라의 학자들이 고증학을 실학(實學)이라 부르고 있는 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도리어 주경(主敬)과 구방(求放)하는 공부인 송유(宋儒)들의 학문태도를 실용(實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