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인돌” 에 대한 검색결과 6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1)

사전(4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자연석을 사용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매장시설을 만들고, 지상에 큰 돌을 윗돌[上石]로 놓아 덮개돌[蓋石]로 사용하고, 그것으로 동시에 유력자의 무덤임을 표지로 삼은 한반도 특유의 묘제(墓制). [개설] 은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에
    이칭별칭지석묘|석붕|돌멘
  • 대구이천동지석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옛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개설] 대구분지 가운데를 관통하면서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신천(新川)을 따라 축조된 많은 지석묘군 중의 한...
  • 대구진천동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 [개설] 1980년 영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견, 조사되었다. 유적이 있는 주변지역은 대구지방 떼가 분포된 곳으로, 낙동강
  • 고대리지석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고대리 에 있던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개설] 고대리 은 고대리1반 샛말에 한 떼가 있으며 또 한 떼는 샛말에서 서천 상류 쪽으로 약 500∼600m 떨어져 있는 고대리...
    이칭별칭양구공수리고대리지석묘군 | 연계항목고대리지석묘군(高垈里支石墓群)
  • 부여산직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산직리 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 [개설] 충청남도 기념물 제40호. 1991년과 1992년까지 2차례에 걸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산직리 지석묘의...
    연계항목부여산직리지석묘(扶餘山直里支石墓)

단행본(2)

  •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의 연구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
    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우장문(대지중학교)... | 출판사 : 학연문화사 | 출판일 :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1.우리나라 의 연구 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연구 왜 중요한가? (3) 의 연구 현황 (4) 연구의 필요성 (5)
  • 한국 상고문화 기원 연구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
    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박상빈(서울역사박물관), 박선미(서울시립대학교), 우장문(대지중학교... | 출판사 : 학연문화사 | 출판일 : 2013.10.31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고찰 (4) 정계옥 - 榮山江流域 初期石室墳과 北部九州地域의 石室墳 2. 유전자 (1) 오창석‧신동훈 - 고고학적 발굴현장에서 나오는 인간유체에서 추출한 고대 DNA 연구 3.

논문(7)

고서·고문서(120)

구술자료(1)

  •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어릴 때 고향 동네에 있는 고인돌 전설에 대하여 그 이야기가 사실임을 믿었었으나, 후에 학교에 다니면서 비로소 선사시대 유적임을 알았다면서, 고인돌에 대한 유래를 얘기해 주었다.*
    조사일시1979-05-13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1동 | 제보자김용규

기초학문(1)

  • 문화자본으로서 유적지의 가치평가와 지역문화정책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순복, 게재일 : 2010
    48894 서순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부학회 2010 문화자본으로서 유적지의 가치평가와 지역문화정책적 함의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13)

  • 중앙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내(영주-풍기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중앙고속도로 영주-풍기 구간 내 선형변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5개 지역에서 고분과 떼가 확인되었다. 발굴후에는 대룡산 떼와 사계리 떼, 사계리 고분, 수철리 분묘군, 그리고 창락리 분묘가 발굴되었다....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안동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경상북도
  • 맺음말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은 사적 416호로 지정된 제주시 삼양동 유적으로 주변에[는 3기의 군과 청동기 시대부터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유물산포지가 광범위하게 위치한다. 발굴조사 결과 탐라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합구식 옹관묘 1기와 토광묘로 추종되는 토광...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제주도
  • 광주 대쌍령리 유적 -성남~장호원 도로건설공사(2공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이 불가피한 4개 지점 장지리 유물 산포지, 양벌리 유물 산포지, 대쌍령리 추정 3기, 용수리 유물산포지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고자 우리 연구원에 의뢰하여 왔다.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산 2-8일대로 광주에서 이천으로 넘어가는...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현 경기문화재연구원)/(주)현대건설‧서울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경기도
  • 양양 국제공항 건설예정지역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오산리 신석기 유적 3.송전리 신석기 유적 4.수여리 청동기 유적 5.학포리 청동기 유적 6.상양헐치 청동기 유적 7.학포리 청동기유물 산포지 8.금강리 유적 9.수여리 유적 10.가평리 초기철기시대 유적 11.송전리 초기철기시대 유적 12.여운포리 초...
    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강릉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 성남~장호원간 도로개설(2공구)건설공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2구간에서는 유물 산포지 1, 추정건물지 1, 민묘 4기가 조사되었다. 조사 3구간은 유물산포지 1, 3기, 유교분묘 2지점, 민묘 9기가 찾아졌다. 조사 구간 내에는 신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각 조사지역의 지표조사 결...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현 경기문화재연구원)/(주) 현대건설‧동일기술공사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72)

  • / Dolmen [역사/선사시대사]

    자연석을 사용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매장시설을 만들고, 지상에 큰 돌을 윗돌[上石]로 놓아 덮개돌[蓋石]로 사용하고, 그것으로 동시에 유력자의 무덤임을 표지로 삼은 한반도 특유의 묘제(墓制). 은 청동기시대에 성행하여 초기철기시대까지 존속한 거석문화(巨石文化)의

  • 관산리 / 冠山里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의 무덤 또는 제의(祭儀) 시설의 하나. 북한 국보유적 제84호. 이 유적은 구월산 줄기의 한 능선인 봉화산 산마루에 있는 1호 을 중심으로 능선과 골짜기마다 떼를 지어 많은 이 자리한다. 장수마을과 갈촌마을의 못 옆 그리고 봉화산 밑의 묘골에

  • 광탄마을 / [역사/선사시대사]

    도 대충 다듬었으므로 매우 거칠다. 천개석의 너비는 약 4.4m, 길이는 약 2.7m, 지주석의 높이는 약 1.4m에 달한다. 이외 남강로동자구에는 기원전 3000년경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대성(黃岱城)이 있으며, 성안에는 북방식(오덕형) 무덤이 별견되었다

  • 경주방내리군 / 慶州坊內里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방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군[支石墓群]. 모두 6기의 이 산재하는데 덮개돌[上石]의 장축방향은 모두 북서-남동향이다. 가장 크기가 큰 덮개돌은 제2호 로서 화강암 재질의 장타원형이며 크기는 길이 250㎝, 너비 190㎝, 두께

  • 대전비래동 / 大田比來洞─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 구조형식은 개석식 지석묘이다. 가장 큰 구조적인 특징은 지석묘 축조를 위한 봉분형의 원형 성토부의 존재이다. 성토부는 계곡부의 제1.2호 지석묘에서 확인되었다. 매장주체부가 남아 있는 제1호의 경우, 층위상 성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