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인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3)
- 월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고인계(高仁繼)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권두에 홍상민(洪相民)의 서문이, 권말에 권두경(權斗經)‧채헌징(蔡獻徵)‧이휘재(李彙載)와 6대 손 유(裕), 7대 손 몽찬(夢贊) 등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 고인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4(명종 19)∼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선승(善承), 호는 월봉(月峯). 예문관직제학 거(距)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주부(主簿) 윤종(胤宗)이고, 아버지는 전력부위(展力副尉)...이칭별칭 선승(善承)| 월봉(月峯)
- 효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서원. [내용] 1685년(숙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량(宋亮)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김충(金沖)‧고인계(高仁繼)‧김광두(金光斗)를 추가...
고서·고문서(23)
- 월봉선생문집(月峰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5180 B045180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10月 30日_016 ... 設鞫得情。 上曰, 不允。 措辭見上 又啓曰, 請遲晩後, 物故人啓能, 亟施孥籍之典。 上曰, 不允。 措辭見上 又啓曰, 請令王府, 一依古典, 趾賊等凶種之年未滿者, 待其稍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496 B00549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卽位年 12月 25日_027 禁闥之願, 實難寇準壯鎖鑰之才, 所以數十行, 不免煩卿一出, 惟卿有天資通敏之職, 而濟之以儒術詞華, 勉世祿忠貞之規, 而輸之以誠意懃懇, 銅闈勸講, 慕古人啓沃之風, 瀛館擅譽, 得乃兄提撕之力...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法之無害者,守而無變,例之合理者,遵而勿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如無大利害,不必議更張。議更張,則所更之事未成,必鬨然成擾,卒未已也。” 趙克善其在郡邑,必昧爽而起冠帶視事,不喜紛更改革。曰:“凡作爲必須有漸。乍到任所,一切除弊,而後不能繼,則必有有始無終之患。宜先去泰甚,以至於無不盡,可也。” ○案 古人戒紛更者,爲有法可守也。今我郡縣所用,都非國法,凡賦役ㆍ...권차명牧民心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人事門1_毁譽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毁譽 退溪《答鄭子中書》云: “一投足、一開口之間, 不得譽, 則必得毁. 毁固可畏, 譽更可憂. 古人戒後進之言曰: ‘今日人主前得一奬, 明日宰相處得一譽, 因而自失多矣.’ 又曰: ‘富貴易得, 名節難保. 末俗易高, 險塗難盡.’ 難易之間, 正當明着眼, 審着脚, 庶幾不負所學也.” 此...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3)
-
고인계 / 高仁繼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예문관직제학 고거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큰아버지인 고성군수 고흥운에게 입양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는 피난 중에서도 입양
-
효곡서원 / 孝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량(宋亮)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김충(金沖)·고인계(高仁繼)·김광두(金光斗)를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
-
월봉집 / 月峯集 [종교·철학/유학]
고인계의 문집. 목판본, 서: 홍상민, 5권 2책. 7세손 고몽찬이 1856년에 후손 고택룡과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구본의 시 2책과 문 2책을 다시 교정하여 각각 1책으로 줄이고 부록까지 포함하여 5권 2책으로 재편하였다. 권수에는 홍상민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