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을” 에 대한 검색결과 4,8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05)

사전(2,7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통시대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과 그를 보좌하는 토박이 향리들의 통치거점. [내용] 오늘날에는 이라는 말을 거의 들어볼 수도 없고, 과 마을이 혼동되어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은 마을보다 큰 단위로 토착사회와 중앙권력이 만나는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옹고집을 내쫓은 원님이다. 가짜 옹고집을 진짜라 판결하여 위로하고, 진짜 옹고집을 가짜라 하여 매질하여 꾸짖은 후 쫓아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穴)에서 3인의 신인이 솟아 올라왔다. 첫째가 양을나(良乙那), 둘째가 나(那), 셋째가 부을나(夫乙那)였다. 이들은 사냥을 하며 살았는데, 하루는 검붉은색의 봉니(封泥)를 한 나무상자가 바다에서 떠와서 동쪽 해안에 닿았다. 그 속에서는 푸른 옷을 입은...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삼백육십 주 중 두 의 원이다. 정치가 좀 부족하여 직위에서물러나게 하려는 것을, 성종이 불러들여 종아리를 세 대씩 때리고 훈계한 뒤, 각자 로내려 보낸다. 그 다음 포폄부터는 상등의 평가를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43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 김 남자 충청남도 서천군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백구은의과대학 3 2 한, 황씨, 찾아주기,...
    대표표제어한고을 | 성씨
  • 011덕 묘지명덕묘지명 지석(확장).jpg [1면]  其詞曰■■■■■■■■■■美㦲器幹盛矣徽猷衣冠二域■令譽千秋宗標圖史代秀英謀■雄懷勝氣志潔清流其赳勞不■■■■■■■■■一■■■■憚耿心唯恪武蘊六韜仁深一■諾吐言蘭蕙傾心葵蒮生建龍■旌亡題麟閣其忽從朝露長偃■■■■■■二■■■■■...
    연대701 | 서체해서체 | 소재지洛陽의 개인수집가가 소장/洛陽 주변의 宜陽縣으로 귀향, 지하에 수장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증왕축사적(曾王丑事蹟)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완정집고의(浣亭集)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문 | 현소장처성주 명곡 벽진이씨 완석정 종택
  • 조선시대 역학서:1676_첩해신어(7)_로셔 두 참이도록 多人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첩해신어 480 1676_첩해신어(7) 로셔 두 참이도록 多人 1676첩해신어(7)004a.jpg 로셔 두 참이도록 多人 中의 격기 낟분  업고 이 밧긔 바다도 도 조브니 바든이과 가지니
    편명1676_첩해신어(7)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48)

  • 함열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당면 갈산리의 남궁완 제보자의 소개로 함열 노인대학 학장을 맡고 있는 제보자를 함열노인원(노인대학)에서 만났다. 두 분은 노인대학에 서 각각 농악과 시조를 가르치고 있어서 서로 잘 아는 처지라 제보자는 남궁완 제보자의 소개로 온 조사자를 적극적으로 도와주려 하였다...
    조사일시2011. 8. 21(일)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 545-101 (함열1길 23) 함열노인원 | 제보자류재진
  • 정의 기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송지준씨는 예전에 정의고을의 기생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특히 이 마을을 집중적으로 몇 개월 동안 조사했던 1973년에 기생이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 때의 조사결과는 金榮敦의 [旌義고을](民俗資料保護區域調査報告書 第五號, ...
    조사일시1981-05-12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 | 제보자송지준
  • 부모 원수 갚은 원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이판출
  • 원을 골려준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제보자는 옛날에 더 들었던 이야기라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구술했다.
    조사일시2009.02.07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내백리 내백마을 | 제보자한필순(여,78세)
  • 의 큰 지킴이 배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제보자에게 혹시 구렁이가 사람으로 변해서 사람을 잡아먹는 이야기는 없냐고 묻자 제보자는 망설임 없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사람 을 잡아먹은 이야기는 아니지만 뱀이 사람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준다는 것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말 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일시2011. 03. 26(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읍내 1리 노인회관 576-5번지 | 제보자조분이

기초학문(2)

  •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줄당기기를 통해 본 축제의 성격과 문화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양명, 게재일 : 2005
    29156 한양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속학회 2005 19세기 중엽, 義城縣의 줄당기기를 통해 본 축제의 성격과 문화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NGO의 전환적 위기와 미래의제 -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민현정, 게재일 : 2007
    03435 민현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빛미래사회연구원 2007 NGO의 전환적 위기와 미래의제 -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조사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450)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進化의 諸段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524 1930 2 9 56 11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 十二) 社會進化의 諸段階 四.檀君時代(七) 신문 조선일보 4면1단 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政治, 阿斯達 A1930020...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츙쳥 남도 각에 장마가 연여 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 남도 각에 장마가 연여 나리 쳔이 넘쳐 젼답이 슈침고 인명이 무슈히 상고 집들이 나가셔 마다 다  모양이라니 달도다 하물며 하날이 이 불샹 백셩을 엇지 이치 도라 보지 안고
    게재일1898년 8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쟝연 에 장산곳시란 물목시 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연 에 장산곳시란 물목시 잇 바다에 산이 나와 물이 바로 나려 가지 못고 물굽의가 져셔 소이 이 년로 그곳셔 파션 가 부지 기슈라 근일에 엇던 유지 친구 들이 농샹 공부에 인가를 엇어 셔양 긔계를 가져다가 그 바다로 버더 나온 산쥴기를 흐려 ...
    게재일1898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이번에 탁지에서 각에 샤판위원을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번에 탁지에서 각에 샤판위원을 보여 각군슈의 치젹과 공젼포흠 잇거슬 셰히 실야 올니게  그동안 샤판 위원들이 만히올아 왓△ 공젼 슈을 샹고즉 년 각도 각군에셔 탁지로 드러오 샹납이 통계야 륙여 만원 가량인 그즁에 걸과 업시 무 잡...
    게재일1898년 9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상 남도 각 에 여름 이후로 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 남도 각 에 여름 이후로 장마가 가장 심야 젼답 각곡이 다 삭고 기즁 거졔와 곤양과 삼가와 남과 웅쳔 등디에 버레가 겨 곡식을 만히 상 다고 관보에 반포 되엿더라
    게재일1898년 9월 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8)

  • 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0537 남한 경성 경성고등상업학교 1-04 경성고등상업고등학교일람 1926 81면 1. 졸업생;1) 제5회 졸업 (1925년) 70명 (イロハ순) 증;曾 (본적)경기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고등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0465 남한 경성 경성고등상업학교 1-04 경성고등상업고등학교일람 1923 90면 1. 생도;2) 제2학년 75명 증;曾 (본적)경기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고등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048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22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7) 제17회 73명(1921년 3월 졸업) 증;曾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9265 남한 경성 경성고등상업학교 1-04 白楊 - 창립제25주년기념호 1933―05―30 24면 회;會 경성부 용산구 한강통 2-357;(본적)경기 제5회 1925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고등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82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22면 1. 회원명부;1) 보통회원(갑종);(17) 제17회 73명(1921년 3월 졸업) 증;曾 경기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63)

  • / [사회/촌락]

    전통시대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과 그를 보좌하는 토박이 향리들의 통치거점. 오늘날에는 이라는 말을 거의 들어볼 수도 없고, 과 마을이 혼동되어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은 마을보다 큰 단위로 토착사회와 중앙권력이 만나는 향촌사회의 중심지 또는 그 관할구역을 말

  • 모둠놀이 / [생활/민속]

    서당의 학동들이 정해진 책의 글자와 자기가 아는 다른 글자를 맞추어, 두 자로 된 이름을 짓던 놀이. 문자유희의 한 가지이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린이가 둘러앉아 한문책의 글자수가 많은 쪽을 펼쳐놓고 제각기 이름이 될만한 글자를 한 자 찾아낸다. 거기에 자기

  • 강원도내열읍재실분등장계 / 江原道內列邑災實分等狀啓 [정치·법제]

    강원도관찰사가 국왕에게 올린 강원도내 열읍의 재실을 분등한 장계. 분등한 내용은 ①이천 회양 안협 등 3개 을 우심읍에, ② 금성 정선 통천 흡곡 등 9개 을 지차읍에, ③원주 영월 평창 홍천 등 14개 을 초실읍에 두었다. 그리고 도내의 부족재 54결에

  • 도동화 / 刀冬火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도동(道洞)으로 고쳐 임고군(臨皐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초기영천에 예속시켜 을 폐지하였다. 도동화의 ‘화(火)’는 땅ㆍ벌판ㆍ을 뜻하는 신라계의 지명 어미(語尾)이다.

  • 경상도 / 慶尙道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경상’이라는 지명은 고려 때 이 지방의 대표적 인 경주와 상주 두 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995년(성종 14) 전국을 10도로 나눌 때 상주 관할을 영남도(嶺南道), 경주·김주(金州 : 지금의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