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유전”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전까지 망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의식을 전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은 상례에서 반우(返虞) 이전 망자에게 음식을 준비하여 올리면서 사유를 아뢰는 의식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것으로 빈전에 있는 국왕에게 시호를 올리기 전에 그 사실을 아뢰는 이 있다. 의 진...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빈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진향(進香), 가칠(加漆), 상시(上諡) 등의 의식이 이곳에서 거행된다. 그리고 상시(上諡)나 계빈(啓殯)과 같은 중요한 절차나 변고가 있을 때에는 ()을 행하여 그 사실을 아뢰었다. 전(奠)이란 우제(虞祭) 이전에 고인에게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올리는 의식...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시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평용어의 현대적인 재해석을 해야한다. 그리고 중국시화와 한국시화의 비교를 통한 한국시화의 통 등을 찾아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 한편에서 성실히 진행되어야 단절 없는 한국비평문학사의 서술이 가능할 것이고, 현대시론에도 어느 정도 고전시론에 대한...
  • 민간의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의 형식을 이어온 것으로 볼 수 있는, 병마를 제거하기 위한 양병술(禳病術)이나 악마를 구축하기 위한 구귀법(驅鬼法) 중 샤먼적 무주(巫呪)의 마술방법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병마를 몰아내기 위하여 그들이 행사하고 있는 ‘굿’‧‘마지’‧‘풀리’ 등을 보면...

고서·고문서(44)

  • 77162 B0771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高宗實錄 十三年(1876) 一月 고종실록_11301002_001 ○初二日, 東萊府使洪祐昌以“十二月十九日, 日本使船七隻, 來泊黑巖前洋, 四隻發向江華, 三隻處。 而館守日人口陳書謄本上送”啓。 館守日人口陳書謄本: “我朝廷派辨...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例。 於戲棠舍布化, 踵祖武而觀風, 楓陛承綸, 體予意而圖報, 故玆敎示, 想宜知悉。 知製敎柳義養製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994 B014994 강화도 江華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宗實錄 十三年(1876) 一月 고종실록_11301002_001 ○初二日, 東萊府使洪祐昌以“十二月十九日, 日本使船七隻, 來泊黑巖前洋, 四隻發向江華, 三隻處。 而館守日人口陳書謄本上送”啓。 館守日人口陳書謄本:
    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事, 則我國亦豈無事乎? 藉令無外憂, 臾蕭墻之說。 將兵之臣, 宜各別惕慮。” 壽恒陳武將乏人, 令將臣培養成就。 又陳庶孽武弁鄭時凝、宋克悌之武藝才局, 請不拘常規, 差遣邊鎭邑及營將, 上許之。 諸將臣又請留儲江都、南漢軍餉, 以備緩急之用, 上面諭三大將, 以災異如此, 不無隱憂, 使...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699 중국 문집 황화집 001 기타 黃華集 권5 紀事 王政 政 本名南撤裏 因改名政 子遵仁 遵義 遵古 遵[金史循吏傳] 按高麗史[卷十六] [仁宗十三年二月辛丑] 金報哀使檢校右散騎常王政來 又案金史熙宗本紀[天會十三年正月己巳] 太宗崩 庚午 卽...
    국가중국 | 서명황화집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올리는 의식을 전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은 상례에서 반우 이전 망자에게 음식을 준비하여 올리면서 사유를 아뢰는 의식을 가리킨다.

  • 빈전 / 殯殿 [정치·법제]

    절차나 변고가 있을 때에는 을 행하여 그 사실을 아뢰었다. 전이란 우제 이전에 고인에게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올리는 의식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