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유어” 에 대한 검색결과 3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2)

사전(121)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정의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oyueo | MR표기koyu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
    정의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 | 문광부표기goyueo susa | MR표기koyuŏ s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알, 중심, 핵(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6636 알, 중심, 핵 아항 알 中心, 核, 核子 中心, 核에 대한 중심, 핵에 대한 청춘 2 1914 11 2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33면 인문학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문답(무름마즘)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8923 문답 마항 무름마즘 問答 한자어 문답에 대한 신조어한 . 한자어 문답에 대한 신조어한 . 무르마즘(問答)알고보니 문답 알고보니 청춘 13 1918 4 6...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예술감각] 이성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때판, 시국(판)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2223 때판, 시국 다항 판 時局 時局에 대한 시국에 대한 그 판(時局)은 엇다스랴 그 때판(시국)은 어땠으랴? 청춘 13 1918 4 64 개화...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사회과학 [예술감각] 형상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85)

  • 禮曹請上諡,宗廟閟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60_0130 禮曹請上諡,宗廟閟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
    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일본말 속의 한국말 : 韓日 비교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일본말 속의 한국말 : 韓日 비교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일본말 속의 한국말 : 韓日 비교사전 김세택 金世澤 기...
    대표표제어일본말 속의 한국말 : 韓日 고유어 비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전통향토)음식용어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식품조리과학; 한국어; ; 조리용어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641.595103 ㄴ293ㅇ
    대표표제어(전통향토)음식용어사전 | 대분류자연과학 | 중분류생활과학 | 소분류식품학
  • 없어져 가는 우리말 모음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언어사전; 한국어; ; 사어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8.0203-전834ㅇ [연세대]중앙도서관 [연세대]R 411.3 97교
    대표표제어없어져 가는 우리말 모음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우리 토박이말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우리 토박이말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우리 토박이말사전 한글학회 어문각 서울 2001 언어사전; 한국어; ...
    대표표제어우리 토박이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구술자료(1)

  • 뎅. 우리 한자 영향 받아서 한-베 글자도 있고. 한국은 뭐죠? 한-한 하고. 융티탄프엉: . [조사자1: , 외래어 있죠.] 백옥장: 우리 그런 거 다 있어요. 그러니까 똑같은 신인데 여러 표현하는 말 있어요. [조사자1: 오케이. 해주십시오.] 융티탄프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백옥장 [베트남, 여, 1982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

  • 불규칙적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원용, 게재일 : 2011
    34124 송원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1 불규칙적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국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미혜, 게재일 : 2009
    24976 남미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국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한국어교육에서 의 위상과 등급화 - 용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희정, 게재일 : 2010
    41183 서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어교육에서 의 위상과 등급화 - 용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개역 성경과 개역개정 성경 사이의 언어학적 변화: 한자어, ,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광철, 게재일 : 2016
    60729 박광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개역 성경과 개역개정 성경 사이의 언어학적 변화: 한자어, ,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

  • 論本報添載漢文一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供普天下同胞之任意翫讀에各有開悟야那邊是漢文折裹이오這邊是國文記載라體用이兼備고影響이相隨야如琢如磨에器無缺點고苟有苟完에屋無欠素니一紙轇갈이不有勝於十部皷吹耶아雖然이나漢文之學이至於四千餘年之久에因循腐敗야習於口耳而小適用古常而乏新知니今此新聞改良之際에添補以漢文者ㅣ得無近於...
    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기타

멀티미디어(100)

  • 한국어 의 역사_3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한국어 의 역사_3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한국어 의 역사_3주차_3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한국어 의 역사_3주차_4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한국어 의 역사_3주차_5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
    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주제어사전(9)

  • / [언어/언어/문자]

    국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외래어나 한자어에 상대되며, 순 우리말이라고도 부르는 단어들로서, 다른 나라 말에서 들여온 것이 아니라 예로부터 우리의 것인 단어들이다. 우리가 라고 생각하기 쉬운 부처[佛]·자[尺]·요[褥]·살[

  • 동의어 / 同義語 [언어/언어/문자]

    어떤 단어와 음성형태는 다르나 의미가 같은 단어를 일컫는 말. 국어의 동의어는 어휘의 계열에 따라서 일곱 가지 유형을 생각할 수 있다. 국어의 어휘에는 ·한자어·외래어의 세가지 계열이 있으므로, ① : , ② : 한자어, ③ 한자어 : 한자어

  • 동음어 / 同音語 [언어/언어/문자]

    음성형태는 동일하나 의미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단어. 동음어를 국어어휘의 계열에 따라 분류해보면, ① 끼리의 동음어, ② 와 한자어의 동음어, ③ 와 외래어의 동음어, ④ 한자어끼리의 동음어, ⑤ 한자어와 외래어의 동음어, ⑥외래어끼리의 동음어, ⑦

  • 국어음운론 / 國語音韻論 [언어/언어/문자]

    한자어를 로 바꾸었고 내용도 수정, 증보하였다. 1985년판은 샘문화사에서 간행되었다.

  • 궁중어 / 宮中語 [언어/언어/문자]

    특징인 한편 은어적(隱語的)인 경향도 있다. 예컨대 왕의 이불과 요는 ‘기수’와 ‘프디’, 피는 ‘혈(血)’이라 하여 와 한자어 계통의 이원적 구조 외에 몽고어계가 혼합되어 있다. 마누라(존칭)·수라(진지)·조라치(잡역부) 등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