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유명사” 에 대한 검색결과 1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1)

사전(7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특정한 대상이나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의 일종. [개설] 같은 명칭을 가진 집합에 속하는 어떠한 대상이라도 보편적으로 가리킬 수 있는 보통명사(普通名詞)와 대립된다. 대표적인 는 사람이름이며, 이밖에 땅이름‧산이름‧강이름‧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2690 가항 西國의人名地名其他의呼法이아즉歸定이업고 서양의 인명, 지명 기타 의 표기법이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 崔南善 自助論 新文館 1918 13 인문학...
    출전自助論[新文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소학지희(笑謔之戱)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기록에서 단 한 번 등장하는 것으로 적절한 용어가 아니다. 이 용어가 라면 다른 문헌에서 또 발견되어야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기록에서 광대(廣大)․서인(西人)의 주질(注叱), 농령(弄鈴), 근두(斤頭)와 같은 놀이를 ‘규식이 있는 놀이(有規式...
    대분류우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가야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대 가야의 언어. [내용] 가야 제국(諸國)이 위치했던 낙동강 하류는 본래 변한(弁韓) 12국이 있었던 곳으로, 그 언어에 관한 주된 자료로는 ‘伽倻‧加耶’‧‘加羅’‧‘駕洛’ 등으로 표기된 국명을 비롯한 들을 들 수 있다.
  • 보통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명사의 한 종류. 명사를 쓰이는 범위에 따라, 단일한 사물에 대해서 적용되는 부류와 여러 사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눌때, 앞의 것을 라 하고 뒤의 것을 보통명사라고 한다. [내용] ‘사람‧책‧학생‧가족(家族)‧...

고서·고문서(45)

  • 성경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성경 사전 인문학 기독교신학 기독교일반 성경 사전 Potts, Cyrus A 조선예수교서회 경성 1937 기...
    대표표제어성경 고유명사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기독교일반
  • 성경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성경 사전 인문학 기독교신학 기독교일반 성경 사전 저자: 박재역 생명의말씀사 서울 2009 기독교; 성경;
    대표표제어성경 고유명사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기독교일반
  • 인명ㆍ지명사전 : 성경에서 나오는 (인명, 지명, 기타)의 우리말과 중국어 비교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명ㆍ지명사전 : 성경에서 나오는 (인명, 지명, 기타)의 우리말과 중국어 비교 인문학 기독교신학 기타기독교신학 인명ㆍ지명사전 : 성...
    대표표제어인명ㆍ지명사전 : 성경에서 나오는 고유명사(인명, 지명, 기타)의 우리말과 중국어 비교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기타기독교신학
  • 만물유래사전 : 흔히 쓰는 1,500가지 ㆍ문화어 뜻풀이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만물유래사전 : 흔히 쓰는 1,500가지 ㆍ문화어 뜻풀이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만물유래사전 : 흔히 쓰는 1,500가지 ...
    대표표제어만물유래사전 : 흔히 쓰는 1,500가지 고유명사ㆍ문화어 뜻풀이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쏘련, 명사, 정황, 남조선, 영어, 알아보기, 힘듬, 중국, 교포, 성원, 민족문화, 통일, 남북조선, 어문, 문화, 조선어, 조선어법, , 연구, 부탁, 선생님, 미안, 요구, 제출
    대표표제어중국 | 성씨

기초학문(7)

  • 불어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재연, 게재일 : 2008
    26109 전재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08 불어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함안 성산산성 목간 속의 표기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8736 한국연구재단 수선사학회 2008 함안 성산산성 목간 속의 표기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삼국지].위서.동이전의 표기자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9968 한국연구재단 구결학회 2011 [삼국지].위서.동이전의 표기자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이개어 사전에서의 처리에 관한 연구- 불한사전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이정, 게재일 : 2014
    47776 김이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프랑스학회 2014 이개어 사전에서의 처리에 관한 연구- 불한사전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가네미기본(兼右本) 『일본서기』에 보이는 한국계 의 성점(聲點)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미현, 게재일 : 2016
    65168 박미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어문학회 2016 가네미기본(兼右本) 『일본서기』에 보이는 한국계 의 성점(聲點)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

  • 地關係の國語讀みに就て 安龍伯 70 광고1 皇軍慰問竝滿支敎育視察團 7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보통명사와 』에서는 보통명사와 의 차이를 보이고 를 구체적으로 인명(人名) 국명(國名) 지명(地名) 산 강명 등 특정한 것에만 쓰이는 명사임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삐오네루 부르죠아 푸로레타리아 등 외래어와 혼돈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 포하고 조선의 지리상 들을 취소하였고 성명까지도 일본성명으로 개정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조선은 일제의 식민지로 또는 반쏘전략기지로 화하였던 것이다. 독일 팟쇼 강점자들이 평화의 나라 쏘련을 침공할 때 일제는 조선과 만주의 유력한 군사기지에 만반의 전쟁준비를 갖고...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527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3)

  • (특집부록) 생물술어급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부록) 생물술어급집 (특집부록) 생물술어급집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영남교육
  • 며 또한 자복사는 특정지역의 특정사찰을 지칭한 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분포했던 보통명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촌리 사지도 세종 6년 이전에 이 지역에 있었던 자복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촌리 자복사가 조선초에 창건되었을 가능성은 없다. 왜냐면 「갑인년조...
    발행연도1997 | 발굴기관경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백제 蓋鹵王이 北魏 孝文帝에게 보낸 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小石山北國’을 로 보지 않고 ‘小石山 북쪽 海中’으로 번역한 경우도 있다. 에서 10여 구의 시체를 보았고, 동시에 의복, 기물, 안장, 굴레 등을 얻었는데, 이를 살펴보니 고구려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후에 들으니 이는 바로 황제의 사신이 우리나라로 오다가...
    대표표제어백제 蓋鹵王이 北魏 孝文帝에게 보낸 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11)

  • / [언어/언어/문자]

    특정한 대상이나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의 일종. 같은 명칭을 가진 집합에 속하는 어떠한 대상이라도 보편적으로 가리킬 수 있는 보통명사(普通名詞)와 대립된다. 대표적인 는 사람이름이며, 이밖에 땅이름·산이름·강이름·나라이름·바다이름·사건이름·상점이름·회사이

  • 보통명사 / 普通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의 한 종류. 명사를 쓰이는 범위에 따라, 단일한 사물에 대해서 적용되는 부류와 여러 사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눌때, 앞의 것을 라 하고 뒤의 것을 보통명사라고 한다. ‘사람·책·학생·가족(家族)·국민·물·불·평화·이상(理想)’ 등은

  • 가야어 / 伽倻語 [언어/언어/문자]

    고대 가야의 언어. 가야 제국(諸國)이 위치했던 낙동강 하류는 본래 변한(弁韓) 12국이 있었던 곳으로, 그 언어에 관한 주된 자료로는 ‘伽倻·加耶’·‘加羅’·‘駕洛’ 등으로 표기된 국명을 비롯한 들을 들 수 있다. 특히, 『삼국유사』 권2에 초록되어 있는 「

  • 구결체이두 / 口訣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광의의 이두의 관점에서 구결을 이르는 말. 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이두, 구결, 표기가 있다

  • 서기체이두 / 誓記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한 이두를 이르는 말. 이두 발달 단계의 초기에는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서와 같이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의 어순으로 배열한 표기 방법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