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40)
사전(2,123)
- 추담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고유(高裕)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35년(헌종 1) 후손 문겸(文謙)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만인(李晩寅)의 서문과, 권말에 문겸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
- 고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가에 경조사(慶弔事)나 중대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 종묘와 사직 등의 신에게 아룀. 고유제(告由祭) 절차 중의 한 의식(儀式)으로, 국가의 경조사가 있을 때 종묘와 사직에 신하를 보내어 그 사실을 아뢰는 일을 말한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시일(時日)조에는 나라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고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탐라(耽羅).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조기(兆基)는 아들이다. [생애] 1057년(문종 11) 우습유(右拾遺)로 있었으나 간성(諫省)에는 맞지 않다는 중서...
- 고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2(경종 2)∼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 상주출신. 한익(漢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석(師錫)이고, 아버지는 규서(奎瑞)이며, 어머니는 김익남(...이칭별칭 순지(順之)| 추담(秋潭)
- 고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삿집이나 나라에서 어떠한 일이 생겼을 때 가묘(家廟)나 종묘(宗廟)에 그 사유를 고하는 의식. [내용] 고유는 4례(四禮) 즉, 관혼상제 중 제례의 사당봉사의식(祠堂奉祀儀式)에 속하는 것으로, 그 고하는 내용에 따라 출입고(出入告)와...
단행본(7)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鶴皐遺稿 鶴巖集 鶴庵集 寒溪集 寒水齋集
- 고문서집성 105 - 공주 안동김씨 김상헌, 진주류씨 류충걸 후손가 -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장), 정순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과 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02.28.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류씨 류충걸 후손가 고문서 公州 安東金氏 金尙憲 後孫家 古文書 1. 證憑類 2. 明文‧文記類 3. 書簡‧通告類 4. 置簿‧記錄類 5. 詩文類
- 고문서집성 99 - 영해 무안박씨 충효당편 -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역사 | 유형단행본‧통고류(書簡‧通告類) 7. 치부‧기록류(置簿‧記錄類) 8. 시문류(詩文類) 9. 서화류(書畵類)
- 고문서집성 109 - 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종가 고문서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1.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3. 牒‧關‧通報類 4. 證憑類 5. 明文‧文記類 6. 書簡‧通告類 7. 置簿‧記錄類 8. 詩文類
- 고문서집성 97 - 동래정씨 동래부원군 정난종 종택편 -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2.26분야역사 | 유형단행본3. 첩‧관‧통보류(牒‧關‧通報類) 4. 증빙류(證憑類) 5. 명문‧문기류(明文‧文記類) 6. 서간‧통고류(書簡‧通告類) 7. 치부‧기록류(置簿‧記錄類) 8. 시
논문(3)
- 고조선 복식양식의 형성과 장식기법의 고유성 [고조선 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연구 | 상명대학교]저자 : 박선희 | 게재정보 : 백산학보 84호, 게재일 : 2009.08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여수시 인문지리콘텐츠 연구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이문성 | 게재정보 : 한국학연구
- 청동기시대 기후와 식료자원 분포에 대한 이해: 고고유적 출토 生態資料 해석을 바탕으로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金範哲 | 게재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고서·고문서(4,983)
- 고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유 김 남자 베이징시(北京市) 102중학 외어조 4 3 고유, 문화, 전통, 찬란, 역사, 유산, 보존, 서울, 이름, 우...대표표제어고유 | 성씨김
- 고유(高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4 B025664 고유 高維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人物 新羅 高厚 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情慷慨涉躐書使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官) 高適(兆基之孫爲本州...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유(高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5 B025665 고유 高維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人物 ... 401]高適(兆基之孫爲本州留總管) 本朝 高得宗(登第官至漢城判尹鄭以吾撰星主高氏家傳高麗太祖統三之初星主高自堅王子梁具美世一朝見未有筮仕王國而大顯者高維始賓貢靖王乙酉首中南省明年丙戌李作挺榜中第三人官至...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유(高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6 B025666 고유 高維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學校 ... 臺之傍得幽靜爽塏之地別立數楹令學長聚貢生及童蒙而敎訓之夫是役也今敎授李君義英實監掌程督閱月有奇而告成乃於秋丁釋菜之日會三邑之宰曁州之耆老而落之凡工匠之役于是者皆令供饋焉酒一行乃諗于諸生曰所謂明倫者講明彝倫也傳曰三代...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유(高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7 B025667 고유 高維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學校 ...金良弼詩誰憂斯學向頽傾致使黌堂得再成蜀郡幸霑文子化袁州忻見祖君營一源道理堪憑討萬古彝論可繼明莫謂海邦褊且遠定應聲譽達天庭 ○校生之數過於州額而志學者少雖有讀書者鹵莾滅裂講論文義則茫然不能容喙誠可矝惻 朝廷復設敎授新降...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1)
- 고유와 좌수 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영식씨가 머슴이 주인 딸 얻은 이야기를 끝내자 제보자도 하나 하겠다면서 이 이야기를 했다. 머슴 이야기를 듣고 기억해 냈던 모양이다.*조사일시1983-08-02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 제보자박태지
- 머슴살이하다 부사가 된 고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가 잠시 중단되었다. 조사자가 사돈집에 가서 생일을 두 번 얻어먹은 이야기를 했더니, 제보자가 이 이야기를 들고 나왔다. 점차 이야기판이 무르익어 가자 기다란 이야기가 계속되었다.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대각
- 경상남도 남해군_상사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도미솔라도` t6g. v1,8. (메,받); 각각 3소박4박 1마디씩. ♩. = 55~67 (남해 02) 상사소리.jpg (남해 02) 상사소리.mp3 * 두헤 류는 서부 남해군 지역의 고유한 논매기소리로 보인다. * [남해 2]처럼 받음녹음지역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율도리 고순 | 녹음날짜2004.10.2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양산시_저리여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65. (양산 19) 저리여 소리.jpg (양산 19) 저리여 소리.mp3 * 저리여소리는 옛 양산군 정관면 방면의 고유한 논매기소리이다.녹음지역경상남도 양산시 서창동 명동마을(옛 웅상면 명곡리) | 녹음날짜1991.10.1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남해군_두헤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장단 곡 ♪=150 (남해 04) 두헤소리.jpg (남해 04) 두헤소리.mp3 * 두헤 류는 서부 남해군 지역의 고유한 논매기소리로 보인다. 1은 재녹음한 내용이고, 2는 첫녹음한 내용이다. * “에이여로 상사디야”도 있다고 하였다. 가락녹음지역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 녹음날짜1988.4.12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01)
- 불어고유명사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재연, 게재일 : 200826109 전재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08 불어고유명사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불규칙적 고유어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원용, 게재일 : 201134124 송원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1 불규칙적 고유어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韓國 固有漢字의 比較的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영삼, 게재일 : 199908024 하영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중국어문학회 1999 韓國 固有漢字의 比較的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세션2. [철학]고유섭의 한국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14505 한국연구재단 세션2. [철학]고유섭의 한국미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654051090165893c229b06e6 2017년유형논문
- 국어 고유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미혜, 게재일 : 200924976 남미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국어 고유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432)
- 一人姑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외부에셔 쥬쳥공관으로 뎐훈기를 셔긔 김균졍도 즉시환국라 엿시니 참셔관 박영씨만 아즉잇셔 무를리졍고 회국터이더라게재일1905년 3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顧留叅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쥬츌쥬 참령 구연하씨가 다른 진위로 이입이 되는고로 군 인민등이 원류기를 구참령이 갈녀가면 셩이 부지치 못다 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와 自然性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002 1935 10 16 5 1 安 在 鴻 안재홍 民世漫評(日) 社會와 自然性 客觀環境과 歷史傳統 신문 조선일보 석간 1면 5단 사설 역사 직접자료 1권 歷史固有文化 A19351016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장광고셜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장라거슨 만이고 만이팔어야거시라 그런고로 셔양이나 일본갓셔 아모리젹은 장를 시작더도 우션 가가집에 현판이나 문표를 유표이고 광고를 소상이거드면 매거시 월△이나은고로 장쳐노코 광고아니 이가업고 셔양셔 대상부△들의 일년리익이 십만원이면...게재일1899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高有日(國境物産株式會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有日(國境物産株式會社) 신의주 高有日 國境物産株式會社 彌勒洞 132 - 주식회사 곡물 - 44 비료,중개업,맥분,사탕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대표표제어高有日(國境物産株式會社)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멀티미디어(464)
-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 등의 민속 신앙, 해학과 풍자 의식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이 문화유산에 어떻게 반여오디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주차. 한민족의 역사와 한국어 2주차. 한국어의 어종과 한국어 3주차. 한국어 고유어의 역사 4주차. 한국 한자어의 역사 5주차. 한국어 속 외래강의자김태우 | 주차한국어 고유어의 역사_3주차
연구결과보고서(1)
-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05)
- 고유건;高柳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2145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3면 1. 강습과 주소록;1) 1조 고유건;高柳健 전라남도 광주 학강정 62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유강;高游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056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6면 1. 제12. 졸업생;33) 상과 제2회 졸업생 (1924년 3월 23일) 26인 고유강;高游綱 부천군 읍내;(원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유섭;高裕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463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0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1) 철학과;b. 1930년 3월 졸업(11명);(ㅁ) 미학, 미술사 전공 고유섭;高裕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유섭;高裕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10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7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1) 철학과;b. 1930년 3월 졸업 고유섭;高裕燮 (본적)강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유섭;高裕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4229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예과 1-17 경성제국대학예과일람 1926 92면 2. 생도 씨명 (1926년 8월 31일 조사);2) 文科 2학년 B조 (35명) 고유섭;高裕燮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6)
-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원길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2016 | 국내 | 충남
-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용현 | 동국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한국 연극의 정체성과 그 미래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미원 | 한국예술종합학교 | 2023 | 국내 | 서울
-
한국의 민간 점속-: 소발굽점에서 토정비결까지 民占의 역사와 문화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박미라 | 한서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나경수 | 전남대학교 | 2012 | 국내 | 광주
주제어사전(253)
-
고유 / 告由 [사회/가족]
사삿집이나 나라에서 어떠한 일이 생겼을 때 가묘나 종묘에 그 사유를 고하는 유교의식. 고유는 4례(四禮) 즉, 관혼상제 중 제례의 사당봉사의식(祠堂奉祀儀式)에 속하는 것으로, 그 고하는 내용에 따라 출입고(出入告)와 유사고(有事告)로 나눌 수 있다. 고유를 포함한 모
-
고유 / 高裕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9). 1743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병조좌랑·창녕현감·경상도사·안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지방관으로 있을 때 토지·소송 문제 등을 잘 처리하였고, 1796년에 청백리에 추천되었다.
-
고유명사 / 固有名詞 [언어/언어/문자]
특정한 대상이나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의 일종. 같은 명칭을 가진 집합에 속하는 어떠한 대상이라도 보편적으로 가리킬 수 있는 보통명사(普通名詞)와 대립된다. 대표적인 고유명사는 사람이름이며, 이밖에 땅이름·산이름·강이름·나라이름·바다이름·사건이름·상점이름·회사이
-
고유섭 / 高裕燮 [예술·체육/회화]
항일기의 미술사학자(1905∼1944). 호는 우현(又玄). 경성제국대학 미학연구실의 조수로 근무하면서 고대 미술품 조사와 연구에 힘썼다. 1933년 개성부립박물관 관장으로 부임해 박물관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우리 미술사 연구에 주력했다. 주요 논문은 대부분
-
고유어 / 固有語 [언어/언어/문자]
국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외래어나 한자어에 상대되며, 순 우리말이라고도 부르는 단어들로서, 다른 나라 말에서 들여온 것이 아니라 예로부터 우리의 것인 단어들이다. 우리가 고유어라고 생각하기 쉬운 부처[佛]·자[尺]·요[褥]·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