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원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2)
- 고원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民族正氣의 審判(革新出版社, 1949) 대한체육회사(대한체육회, 1970) 체육한국인(체육부, 1985) 친일파 99인(반민족문제연구소, 1993) 고원훈(1881-?)
- 대의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45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친일 정치단체. [내용] 일제 중의원 의원이던 박춘금(朴春琴)을 당수로 하였으며, 위원으로는 김사연(金思演)‧김동환(金東煥)‧고원훈(高元勳)‧손영목(孫永穆)‧이성근(李聖根) 기타 제1급 친일분자로 모두 20...
- 이병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致昊)‧고원훈(高元勳)‧박흥식(朴興植)‧김연수(金䄵洙) 등 50여 명이 흥아보국단준비위원회(興亞報國團準備委員會)를 조직하였을 때 경기도 대표로 참여하여 상임위원이 되었다. 이듬해 5월 부민관(府民館)에서 개최된 징병제실시기념대강연회에서는 <통치사(統治史)에 획시...
- 신용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업에 종사하다가 1942년 이후에는 일본군인 수송을 맡아 일본군의 침략전쟁을 뒷받침해주었다. 뿐만 아니라 김연수(金秊洙)‧고원훈(高元勳)과 함께 조선항공공업회사를 창설하여 비행기를 생산, 일본군에 헌납하기까지 하는 등의 친일행위를 계속하였다. 1945년 광복 직...
- 이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결성을 위한 발기인으로 참석하였다. 장두현(張斗鉉)ㆍ고원훈(高元勳) 등과 같이 창립준비위원 10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조선체육회 창립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체육회 창립총회에서 첫 이사진 8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임되었으며, 조선체육대회의 첫 번째...
고서·고문서(9)
-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8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8日))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설치, 한방의생 양성 일본어 CJA0003123 도행정에관한철 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국가기록원 전라북도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8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8日)) 회의록 1935년 03월 09일 高元勳(도지...대표표제어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8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8日)) | 건명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 회의년월1935년 03월 | 회의일09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도립공업학교, 어항설치, 한방의생 양성
- 제3회전라북도회회의록(제7일)(第三回全羅北道會會議錄(第7日))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국가기록원 전라북도 제3회전라북도회회의록(제7일)(第三回全羅北道會會議錄(第7日)) 회의록 1935년 03월 08일 高元勳(도지사) 久永麟一(1번), 姜東曦(2번), 文袁泰(3번), 金英武(4번), 洪鍾轍(5...대표표제어제3회전라북도회회의록(제7일)(第三回全羅北道會會議錄(第7日)) | 건명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 회의년월1935년 03월 | 회의일08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도세부과규칙, 특별소득세, 전라북도립의원, 저포, 저마검사규칙, 수입증지규정, 견검정수수규정, 삼림조합(해산), 전라북도채, 간이생명보험, 도립중학교, 고산천제언수축, 갑종상업학교, 도립고등보통학교, 의무교육, 농사시험장, 섬진강가교
- 도회 회의록 관계 부분 발췌(제8일)(道會 會議錄 關係 部分 拔萃(第8日))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錄 關係 部分 拔萃(第8日)) 회의록 1934년 03월 08일 高元勳(도지사) 출석의원 24명 (검수자) 제2호 의안 이하 일괄 처리 1934 1 1155 1155 1. 제목 1934년 3월 8일...대표표제어도회 회의록 관계 부분 발췌(제8일)(道會 會議錄 關係 部分 拔萃(第8日)) | 건명제1차궁민구제사업계속연기및지출방법변경의건(전라북도)(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4년 03월 | 회의일08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3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3日))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第3日)) 회의록 1935년 03월 04일 高元勳(도지사) 久永麟一(1번), 姜東曦(2번), 文袁泰(3번), 金英武(4번), 嚴仁涉(6번), 辻護一郞(7번), 申基準(8번), 朴明奎(9번), 林鳳周(10번), 寺井政次郞(11번), 佐竹龜(12번), 朴...대표표제어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3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3日)) | 건명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 회의년월1935년 03월 | 회의일04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궁민구제사업, 도로경진회, 이간도로, 등외도로, 적성교, 섬진강교, 동진강 개수공사, 세제정리, 부역철폐론
- 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4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4日))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4日)) 회의록 1935년 03월 05일 高元勳(도지사) 久永麟一(1번), 姜東曦(2번), 文袁泰(3번), 金英武(4번), 嚴仁涉(6번), 辻護一郞(7번), 朴明奎(9번), 林鳳周(10번), 寺井政次郞(11번), 佐竹龜(...대표표제어제3회 전라북도회 회의록(제4일)(第三回 全羅北道會 會議錄(第4日)) | 건명제3회도회회의록송부의건(전라북도) | 회의년월1935년 03월 | 회의일05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농사시험장, 농촌진흥, 황등, 임익수리조합, 특용작물, 공동판매제도, 사방사업, 사방사업 부정사건, 농용림, 어촌진흥, 수산시험장, 우솔조합
신문·잡지(15)
- 태극학회축사[太極學會祝詞]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태극학회축사[太極學會祝詞]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2호 太極學會祝詞 1907.07.24. 文藝 312 426 고원훈(高元勳) 대한제국 태극학회에 대한 축사 태극...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가을 느낌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가을 느낌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3호 秋感 1907.08.24. 文藝 338 462~464 고원훈(高元勳) 대한제국 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든 생각들에 대한 글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한별팔절(恨別八絶)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한별팔절(恨別八絶)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6호 恨別八絶 1907.11.24. 文藝 425~426 575~577 고원훈(高元勳) 대한제국 이별을 한(恨)하는 절구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낙동친목회학보_1908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신년사-시일야 고원훈 1 논설-인류난 유단합적 천성 김기환 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08
- 수문수견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에 참석했던 고원훈은 자신의 의견이 단 하나도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라고 강조함. 조선총독부의 장헌식이 조선인으로서의 최대의 성공이라고 칭송했음에도 고원훈은 끝내 자신의 성공을 부인함. 또한 신일본주의를 주창하는 국민협회 내에서도 일본의회에 조선 참정권 부여와 관...대표표제어수문수견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개벽사 | 출처개벽 제31호 | 키워드조선 참정권 운동, 국민협회, 신일본주의, 고원훈, 장헌식
기타자료(2)
- 고원훈;高元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99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3면 고원훈;高元勳 전주군 전주읍 선만척식 관사 1910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원훈;高元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4751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면 고원훈;高元勳 전북 전주군 전주읍 선만척식 관사 1910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고원훈 / 高元勳 [역사/근대사]
1881-미상. 민족항일기의 정치인·체육인. 1881년 3월 경상북도 문경군 양면 신전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7월 일본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과를 졸업하고, 1911년 8월 조선총독부의 경부(警部)로 채용되었고, 1913년 5월 보성전문학교 교수, 1922년에
-
대한체육회 / 大韓體育會 [예술·체육/체육]
우리나라 아마추어 스포츠의 종합적 통할기관. 1920년 6월 16일 ‘조선체육회’ 창립을 위한 발기인회가 고원훈(高元勳)·이동식(李東植)·장두현(張斗鉉)·변봉현 등 47인이 시내 명월관에 모인 가운데 열렸고, 10인의 창립준비위원을 선출하였다.같은 달 26일 창립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