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운당필기”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체재는 제3‧4권은 1792년(정조 16)에서 1793년, 제5‧6권은 1793년에서 1801년(순조 1)까지의 일들이 연대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문학‧예술‧역사‧지리‧풍속‧언어 등의 문화 전반에 대한 역사적 고증과 고찰이 상당한...
  • 유득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集≫‧≪ ≫‧≪앙엽기 盎葉記≫‧≪사군지 四郡志≫‧≪발해고 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 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 특히 ≪경도잡지≫는 조선시대 시민 생활과 풍속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서적이며, ≪발해고≫는 그의 학문의 깊이와 사상을 규명하는 데 있...
    이칭별칭 혜보(惠甫), 혜풍(惠風)| 영재(?齋), 영암(?庵), 고운당(古芸堂)

고서·고문서(2)

기초학문(1)

  •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윤조, 게재일 : 2007
    24536 김윤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2007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

  •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필기류 작품. 4권 2책. 한문필사본. 『』의 체재는 제3·4권은 1792년(정조 16)에서 1793년, 제5·6권은 1793년에서 1801년(순조 1)까지의 일들이 연대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문학·예

  • 유득공 / 柳得恭 [역사/조선시대사]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경도잡지(京都雜志)』·『영재집(泠齋集)』·『()』·『앙엽기(盎葉記)』·『사군지(四郡志)』·『발해고(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