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예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3)
- 고예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예진 1875(고종 12)∼1952. 독립운동가.이칭별칭 수문(秀文)| 송천(松川)
- 송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일제강점기의 유학자 고예진(高禮鎭)의 시문집. [내용] 13권 4책. 신활자본. 1963년 족손인 만상(萬相)ㆍ좌상(佐相)ㆍ광은(光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손자인 용식(龍植)의 서문과 권말에 만상ㆍ좌상ㆍ광은...
- 우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경규(金慶奎)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9년 김경환(金暻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고예진(高禮鎭)‧김창희(金昌熙)의 서문, 권말에 김경규의 손자 김창우(金昌雨)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고서·고문서(4)
- 당의 발해 사신 고례진(高禮進)에 대한 물품 하사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4-12-77 『冊府元龜』 卷976 外臣部 褒異3 발해 당의 발해 사신 고례진(高禮進)에 대한 물품 하사 814년 원화(元和) 9년 11464쪽 3884쪽 11296쪽 당에서 발해의 사신 고례진(高禮進) 등 37명에게 인덕전에서 연회를 열고 물품을 하사한 기록이다....권차『冊府元龜』 卷976 外臣部 褒異3 | 연도814년 | 기사해제당에서 발해의 사신 고례진(高禮進) 등 37명에게 인덕전에서 연회를 열고 물품을 하사한 기록이다.
- 발해의 당에 대한 조공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4-10-275 『冊府元龜』 卷972 外臣部 朝貢5 발해 발해의 당에 대한 조공 814년 원화(元和) 9년 11417~11418쪽 3856쪽 11250쪽 발해가 814년 정월 당에 사신 고예진 등을 보내 조공한 사실을 전하는 기사이다. 九年正月 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권차『冊府元龜』 卷972 外臣部 朝貢5 | 연도814년 | 기사해제발해가 814년 정월 당에 사신 고예진 등을 보내 조공한 사실을 전하는 기사이다.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堂上, 亦當考例進參, 而如嚴璹之人, 必知故事矣。 承旨副學, 皆兼春秋, 承旨除守廳或入侍, 皆進參, 可也。 上曰, 典獄署褒貶, 亦使今日內, 追磨勘爲之, 可也。 上曰, 申大升, 不得往東萊云乎? 命善曰, 以申砬之孫, 故不得見倭人云矣。 上曰, 徐有大事, 大不善矣。 命善曰, 渠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問 李龐億聞其父喪,三日留家,成服而往,世方誚之。未知於禮如何。【男學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000_020_0300_2015_022_XML 022 答 滄江能於萬死餘生之中,不爲俗論所撓,獨行古禮眞是拂家子弟,可悲可愛也。玆錄古今諸文,以明之。 〈奔喪〉篇曰:“父母之喪,見...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타자료(4)
- 발해 사신이 당에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원화) 9년 정월 발해사신 고례진(高禮進) 등 37명이 조공하고 금과 은으로 만든 불상 각 1구씩 바쳤다. (『冊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 【원문】 (元和)九年正月 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朝貢 獻金銀佛像各一 (『冊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이 당에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憲宗 元和 9/日本 嵯峨天皇 弘仁 5)
- 발해 사신이 당에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원화) 9년 정월 발해사신 고례진(高禮進) 등 37명이 조공하고 금과 은으로 만든 불상 각 1구씩 바쳤다. (『冊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 【원문】 (元和)九年正月 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朝貢 獻金·銀佛像各一 (『冊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이 당에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元和 9/日本 嵯峨 弘仁 5)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원화) 9년 2월 기축일(11)에 인덕전(麟德殿)에서 발해사신 고례진 등 37명을 불러 만나보고 연회를 베풀고 차등있게 하사품을 내려주었다.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宴享 3) 【원문】 (元和)九年二月己丑 麟德殿召見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 賜宴有差 (...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元和 9/日本 嵯峨 弘仁 5)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원문】 (元和)九年二月己丑 麟德殿召見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 賜宴有差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宴享 3)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憲宗 元和 9/日本 嵯峨天皇 弘仁 5)
주제어사전(2)
-
고예진 / 高禮鎭 [역사/근대사]
1875-1952.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수문(秀文), 호는 송천(松川). 전라북도 고창 출신.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된 뒤 형제인 용진(龍鎭)·석진(石鎭)이 최익현(崔益鉉)과 거사할 것을 계획하자 거기에 가담하였다. 1906년 4월 무성서
-
송천집 / 松川集 [종교·철학/유학]
일제강점기의 유학자 고예진의 시문집. 13권 4책. 신활자본. 1963년 족손인 만상·좌상·광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1에 시 500여수, 부 2편, 표 1편, 권2에 서 144편, 권3에 잡저 15편, 권4에 서 39편, 권5에 기 44편, 권6에 발 6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