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영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61)
- 高令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734 高令臣 인물 法不必改, 政府, 公卿, 新法, 祖宗之法, 但守, 勿失 麗史 D_10_04_27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2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高令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482 高令臣 인물 參知政事, 淸儉, 自守 睿宗 麗史 D_03_04_54 대동운부군옥 3권 4장 5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4장 5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高令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168 高令臣 인물 少孤, 力學, 屬文, 登第, 諫議大夫, 議論慷慨, 屈撓, 公卿, 新法, 祖宗, 改作, 參知政事 松京 文宗, 令臣, 良敬 D_05_04_06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고영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045(정종 11)∼1116(예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개주(開州). 아들은 식(湜)이다. [생애]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1097년(숙종 2) 우찬선대부(右贊善大夫), 1099년 이부낭중추밀원...이칭별칭 양경(良敬)
- 開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166 開城 인물 參知政事, 世稱 高麗, 高句麗 高令臣 D_05_04_06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1)
- 고령신씨칠세사적(高靈申氏七世事蹟)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全羅道庄土文績_제36책 : 全羅南道靈光郡所在庄土高永辰提出圖書文績類 1. 帖文 高相辰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3043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36책 : 全羅南道靈光郡所在庄土高永辰提出圖書文績類 36-001 1. 帖文 高相辰處 도장차첩문기 1 81.7x48.2 한지, 圖署(내수사) 1장, 81.7x48.2cm(가로x세로), 한...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36책 : 全羅南道靈光郡所在庄土高永辰提出圖書文績類 2. 內需司屯監高相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3046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36책 : 全羅南道靈光郡所在庄土高永辰提出圖書文績類 36-002 2. 內需司屯監高相辰 소지 1 50x80.4 한지, 圖署(內需司), 내수사 당상의 押과 題音 1장, 50x80.4cm(가...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34 B00483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5年 1月 28日_013 ○領右相啓曰, 臣等之意, 先遣大臣, 與胡差相見, 而彼若不許, 則更無餘地, 姑令申景禛·張維相接曰, 國王聞差官之來委, 遣宰臣, 待於江外云云, 彼若終不肯, 則不可使渠含怒, 須率入江都, 使大...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勞黃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十七 傷寒門 勞黃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11 勞黃 聖惠方論曰夫勞黃者由脾藏中風風與瘀熱相搏故令身體發黃額上黑微汗出手足熱薄暮發膀胱急四肢煩小便自利名爲勞黃也聖惠方【鼈甲散】治勞黃手足煩熱肢節疼痛小腹拘急時有虛汗 鼈甲一兩半塗醋炙令黃去裙襴柴...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1)
- 하사관_1968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98 병과 하사관 고봉일 100 대민 지원 고영신 101 투쟁 윤완신 10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기타자료(2)
- 고영신;高泳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636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20周年 紀念寫眞帖 1930―04 3면 고영신;高泳信 진안군 龍潭面 雲橋 제4회 1915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영신;高泳信;고본영신;高本泳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4198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15면 고영신;高泳信;고본영신;高本泳信 제4회 1915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고영신 / 高令臣 [종교·철학/유학]
1045(정종 11)∼1116(예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아들은 고식이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1097년(숙종 2) 우찬선대부, 1099년 이부낭중추밀원우승선을 역임하였다. 그 뒤 1101년 어사중승으로 동북면병마사가 되고 이어 형부시랑우간의대부에 올랐
-
구봉영당 / 九峰影堂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에 있는 조선후기 신숙주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숙주(申叔舟)의 영당이다. 순종 때경기도 양주에서 이곳으로 옮겨 영당을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고령신씨(高靈申氏) 종중의 소유로 해마다 봄·가을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건물구조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