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양송포호미걸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1)
- 고양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64호)가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일산서구 덕이동의 송포백송(松浦白松, 천연기념물 제60호)이 있고, 일산서구 일산동에 일산밤가시초가(草家, 경기도 민속자료 제8호)가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무형문화재로는 주교동에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는 고양송포호미걸이(경기도...
구술자료(2)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4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된 김현규와 그의 문하생 조경희(현 전수조교)의 대담으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상 김현규 조경희 이무기제 무속음악 2000-07-18 미상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현규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4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된 김현규와 그의 문하생 조경희(현 전수조교)의 대담으로 가치가 있다. 3) 음질 상 김현규 조경희 이무기제 무속음악 2000-07-18 미상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경희
주제어사전(1)
-
고양송포호미걸이 / 高陽松浦호미걸이 [생활/민속]
경기도 고양시 송포에서 칠석(七夕) 전후로 행해지던 민속놀이. ‘호미씻이’·‘공굴(共屈)’·‘공회(公會)’·‘백중놀이’·‘두레놀이’·‘머슴놀이’·‘술메기’로도 불린다. 이 놀이는 농기에 호미를 걸어둠으로써, 한 해의 농사를 마감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풍년을 기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