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3)
- 고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 있던 서원. [내용]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진극순(陳克純)‧황신구(黃信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가, 후일 진준(陳遵)‧한양오(韓養吾)‧진위(陳...
- 고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3) 고암서원 묘정비 전북 정읍시 상평동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 지방유림이 송시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考巖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7...
- 허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매우 부끄럽게 생각하였으며, 또 친구 임진부(林眞怤)에게 준 시 300구절에서는 모두 시대를 한탄하고 나라를 걱정하였다. 고암서원(古巖書院)에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창주집』이 있다. 『효종실록(孝宗實錄)』 ...이칭별칭 덕휘(德輝)| 창주(滄洲)
- 송우암수명유허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봉하려 하자, 그 부당함을 주장하다가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 뒤 서울로 압송 도중 정읍에서 사약을 받게 되었다. 6년 뒤인 1695년 무고함이 밝혀져 유림의 발의로 고암서원(考巖書院)을 세웠으며, 1731년(영조 7) 유허비를 세웠다. 1925년 퇴폐한 비각을...연계항목송우암수명유허비(宋尤庵受命遺墟痺)
- 노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시와 글씨에 능하였다. 삼가의 고암서원(古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입재고』가 『광주노씨세고』 중에 수록되어 전한다. 『선조실록(宣祖...이칭별칭 공신(公愼)| 입재(立齋), 만세(晩歲), 죽천(竹泉)
고서·고문서(11)
- 1826년 고암서원(考巖書院)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 1866년 고암서원(考巖書院) 통문(通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6년 11월에 전라도 정읍의 고암서원 유생들이 연명하여 남원향교에 보낸 통문이다. 정읍의 유림들은 남원 견소곡방 출신인 박동묵의 효행을 전해 듣고 남원의 유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효자표창을 건의하도록 촉구하였다. 견소곡방은 오늘날 남원시 대강면 평촌리에 해당하...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1823년 고암서원제유(考巖書院諸儒) 품목(稟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 1823년 고암서원(考巖書院) 다사(多士) 품목(稟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 1741년 고암서원(考巖書院) 송수화(宋秀華) 등 서목(書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서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주제어사전(3)
-
고암서원 / 高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 있던 서원. 1694년(숙종 20) 지방유림의 공의로 진극순(陳克純)·황신구(黃信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가, 후일 진준(陳遵)·한양오(韓養吾)·진위(陳偉)·한상기(韓尙箕)의 위패를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
-
고암서원 / 考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 6월 지방유림이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같은 해 9월 ‘考巖(고암)’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785년(정조 9)에 송시열의 수제자인 권상하(權
-
노파문집 / 蘆坡文集 [종교·철학/유학]
에 시 101수, 권4에 제문 12편, 통문(通文) 1편, 묘비문 3편, 상량문 2편, 권5는 부록으로 만장(挽章) 51수, 제문 13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상량문 3편, 고암서원봉안문(古巖書院奉安文)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