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시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3)
- 고시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1∼1953.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일명(一鳴). 황해도 안악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고향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27년 일본으로 건너가 쥬쿄상업학교(中京商業學校)를 마치고 1931년 중국 상해(上海)로...
- 공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월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총사령부 참모로 임명되어 충칭(重慶)에서 복무하였다. 11월 다시 시안(西安)에서 3개 지대로 편성될 때, 제2지대장 겸 징모2분처(徵募二分處) 주임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그 뒤 나태섭(羅泰燮)‧고시복(高時福)‧유해준(兪海濬)‧지달수(池達洙)‧이...이칭별칭 학은(鶴隱)
- 황포군관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호(李根浩)・나월환(羅月煥), 10기생; 왕중량(王仲良, 羅泰燮)・고일명(高一鳴, 高時福)・왕형(王衡, 安椿生)・왕신호(王信虎)・조동윤(趙東潤)・노태준(盧泰俊, 李無雄)・김동수(金東洙)・한대원(韓大源)・김고두(金高斗)・왕자인(王子仁)・이의흥(李義興)・김동일(金東一)・진...
고서·고문서(10)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3950 B05395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5年 10月 12日_012 絶島定配之命, 噫, 煥億之前後負犯, 固是覆載之難容, 而況四字註釋之凶言, 旣發於湖囚之招, 則論以獄體, 不可不設鞫得情, 而今此定配之命, 遽下於獄事未究竟之前, 臣等憂憤所激, 不得奉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오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의, 꼭, 찾아, 1945년, 주소, 번호, 함경남도, 흥남주, 흥정, 저의, 이름, 고시복대표표제어오빠 | 성씨고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2188 B06218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6月 17日_005 ... 也賣國也, 卽其伎倆。 禹鼎之魑魅莫逃, 魯觀之斧鉞可懼。 虺蜮射射, 固是覆載間之所不容, 草薙禽獮, 那免劓殄滅之無遺育。 天地之德好生, 縱軫一縷之特貸, 神人之憤未洩, 實合三尺之快...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殊失邊臣之體, 故曾請從重推考, 其推考時覆啓, 便是防塞回下, 以此辭緣, 傳說於倭人, 則必無更待回下之言, 而今此狀啓, 又以爲, 又欲得朝廷回下而歸, 不可謂無據者, 非但不成說話, 其終不能自當防塞之狀, 益可該然。 我國邊臣之言, 亦然, 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749 B07274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2月 13日_019 地, 遽以上稟朝廷之意, 說於倭人, 必欲使更塞之言, 出於朝廷者, 殊失邊臣之體, 故曾請從重推考, 其推考時覆啓, 便是防塞回下, 以此辭緣, 傳說於倭人, 則必無更待回下之言, 而今此狀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3)
- 고시복;高時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4402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19면 5. 제5회 졸업생(50음순) 고시복;高時復 제5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시복;高時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24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3면 고시복;高時復 경북 문경군 山陽面 薪田里 1933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시복;高時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494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5면 고시복;高時復 경북 문경군 山陽面 薪田里 1933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고시복 / 高時福 [역사/근대사]
1911-1953. 독립운동가. 일명 일명(一鳴). 황해도 안악 출신. 고향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27년 일본으로 건너가 쥬쿄상업학교(中京商業學校)에 입학하고 1931년에 졸업한 뒤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김구(金九)가 비밀리에 조직한 한
-
공진원 / 公震遠 [역사/근대사]
2지대장 겸 징모2분처(徵募二分處)주임위원으로 임명되었다. 나태섭(羅泰燮)·고시복(高時福)·유해준(兪海濬)·지달수(池達洙)·이욕해(李慾海) 등을 이끌고 쑤이위안성(綏遠省)의 바오터우(包頭)를 근거지로 전방공작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교포가 많은 허베이(河北) 지방의 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