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성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고성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9년(고종 6) 8월 경상도 고성 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전 현령 윤석오(尹錫五)가 호적정리를 향리에게 일임하자, 향리들은 농간을 부려 호적이 문란해지므로 그에 대한 불만으로 민...
- 고성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1년(고종 28) 여름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민란. [내용] 이 난은 군민 장응조(張應祚)가 향임(鄕任) 최가(崔家) 등에게 돈을 빌려주었으나 돌려받지 못하자, 승려 기월(機越)과 서울사람 박일원(朴一源) 등과 더불어 ...
- 이현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를 사찰하도록 하였는데, 그 결과 통제사들의 죄가 드러나 중신인 그를 다시 삼도수군통제사에 특별히 임명하였다. 그러나 1869년 호포전(戶布錢)을 걷기 위하여 작성한 호적에 향리들의 부정이 있어 일어난 고성민란으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형조판서ㆍ판의금부사를 거쳤...이칭별칭 백형(伯衡)
- 이원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42(헌종 8)∼?.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경원(景元). 아버지는 예조판서 삼현(參鉉)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867년(고종 4) 유학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이칭별칭 경원(景元)
주제어사전(2)
-
고성민란 / 固城民亂 [역사/근대사]
1869년 8월 경상도 고성에서 일어난 민란. 전 현령 윤석오(尹錫五)가 호적정리를 향리에게 일임하자, 향리들은 농간을 부려 호적이 문란해지므로 그에 대한 불만으로 민란이 일어났다.
-
고성민란 / 高城民亂 [역사/근대사]
1891년 여름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민란. 이 난은 군민 장응조가 향임(鄕任) 최가(崔家) 등에게 돈을 빌려주었으나 돌려받지 못하자, 승려 기월(機越)과 서울사람 박일원 등과 더불어 받지 못한 돈을 군민들에게 토색하여 충당하려는 데서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