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산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44)
- 고산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 이 책의 편목을 보면, 권1에는 오칠언(五七言)의 고시‧율시‧절구‧회문(回文)‧집고(集古) 등 250편이 실려 있고, 권2에는 <병진소 丙辰疏> 등 16편의 소(疏...
- 고산유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중기의 문신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시문집.정의조선 중기의 문신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시문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osan yugo | MR표기Kosan yu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곤학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書) 8편, 서(序) 1편, 기 1편, 발 1편, 제문 9편, 고문(告文) 2편, 행장 1편, 권5는 부록으로 서(序) 1편, 제문 2편, 만사 10수, 묘지 1편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고산유고(高山遺稿)』로 시 15수, 제문 3편, 행장 2편 등이 있다. ...
-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에 있는 『고산유고』 등 관련 목판. [개설]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인 고산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시문집과 연보 등의 목판이다. 윤선도는 20세에 승보...연계항목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海南孤山遺稿木板一括)
- 일모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2년(인조 20)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윤선도가 56세 되던 해인 1642년에 유배지인 영덕에서 돌아와, 문소동(聞簫洞)‧금쇄...
주제어사전(21)
-
고산유고 / 孤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윤선도의 시문집. 6권 6책. 목판본.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
-
산중속신곡 / 山中續新曲 [문학/고전시가]
1645년(인조 23)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연시조.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 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산중신곡」을 지은 3년 뒤에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金鎖洞)에서 창작되었다. 「추야조 秋夜操」와 「춘효음 春曉吟」 각 1수로 구성되어 있다.
-
곤학재집 / 困學齋集 [종교·철학/유학]
1편, 제문 9편, 고문(告文) 2편, 행장 1편, 권5는 부록으로 서(序) 1편, 제문 2편, 만사 10수, 묘지 1편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고산유고(高山遺稿)』로 시 15수, 제문 3편, 행장 2편 등이 있다.
-
만흥 / 漫興 [문학/고전시가]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작자가 금쇄동(金鎖洞)에서 산중의 생활을 읊은 「산중신곡(山中新曲)」 9편 가운데 첫번째 편으로, 모두 6수로 되어 있다. 1798년(정조 22)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재판(再版)한 작자의 문집 『고산유고(孤山
-
야심요 / 夜深謠 [문학/고전시가]
는 『고산유고 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ᄇᆞ람 분다 지게 다다라 밤 들거다 블 아사라, 벼개예 히즈려 슬ᄏᆞ지 쉬여보쟈, 아ᄒᆡ야 새오거든 내 ᄌᆞᆷ와 ○와스라.” 산속 생활의 한적함과 밤의 안식을 순우리말로 노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