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사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3)
사전(238)
- 고사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 [내용] 학명은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이다. 고사리는 전세계에 큰 군락(群落:집단)을 만들어 자생하는 생활력이 왕성한 식물로서,
- 고사리성(高沙里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사리성 고사리성 高沙里城 고산리성(高山里城), 고산리보(高山里堡) 건주여진(建州女眞), 어유소(魚有沼), 이극균(李克均), 이천(李蕆) 정치외교/외교사안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박정민 ...동의어고산리성(高山里城), 고산리보(高山里堡) | 관련어건주여진(建州女眞), 어유소(魚有沼), 이극균(李克均), 이천(李蕆)
- 고사리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사리를 꺾으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고사리를 꺾으면서 부르는 민요. 부녀요(婦女謠)의 하나로 ‘고사리 꺾는 소리’라고도 한다. 황해도의 신계, 경상북도의 영덕‧영양, 충청남도의 보령, 전라북도의 장수지방을 비롯해서 전국적으로 퍼져
- 고사리꺾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사리 꺾는 동작을 모방한 놀이.정의고사리 꺾는 동작을 모방한 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osari kkeokgi | MR표기kosari kkŏk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비고사리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鶴山里) 일대에서 열리는 민속놀이. [내용] 현지에서는 ‘괴비고사리놀이’라고 한다. 이 놀이는 남도의 <강강술래>와 같이 원무(圓舞) 형태의 춤이라는 점이 주목되며, 그것도 나무하러 갔던 초동들...
고서·고문서(341)
- 고사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사리 최 남자 충청남도 청양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철력현(铁力县) 공농향 인민정부 3 3 고사리, 외삼촌, 리씨...대표표제어고사리 | 성씨최
- 고사리나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548 창가 兒童敎育歌曲集 22171 1938년 明文堂 明文堂 明文堂 朴翰柱 五拾錢 고사리나물 〈mn〉오선보있음〈/mn〉 〈#5〉 [ 一 ] 순아 순아 순아 고사리 꺾으러 가자 고봉산에 올라가 앞치마로 한 치마 어서 해오자 ...구분창가 | 편저자明文堂
- 고사리나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634 창가 尹石重 童謠集 22076 1932 尹石重 新舊書林 尹石重 朴翰柱 80錢 고사리나물 〈d〉1931〈/d〉 〈mn〉오선보 있음〈/mn〉 〈#12〉 [ 一 ] 순아 순아 순아 고사리 꺾으러 가자. 구봉산에 올라가 앞치...구분창가 | 편저자尹石重
- 고사리나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670 창가 尹石重 童謠集 22076 1932 尹石重 新舊書林 尹石重 朴翰柱 80錢 고사리나물 〈d〉1931〈/d〉 〈mn〉오선보 있음〈/mn〉 〈#12〉 [ 一 ] 순아 순아 순아 고사리 꺾으러 가자. 구봉산에 올라가 앞치...구분창가 | 편저자尹石重
- 전북 김제 진봉 고사리, 간첩 2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전북 김제 진봉 고사리, 간첩 2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회...대표표제어전북 김제 진봉 고사리, 간첩 2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구술자료(93)
- 고사리 꺾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2-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제보자박연악
- 고사리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머니들 민요 부르는 것을 구경와서 듣고만 있던 제보자에게 옆에 앉은 사람이 ‘고사리 타령’을 잘 한다고 해 보라고 하니까, 처음은 수줍은 듯 거절하다가 불렀다. 일종의 ‘나물캐기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조사일시1982-02-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제보자우영자
- 고사리 꺾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 고사리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원이지
- 고사리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물 캐는 노래를 불러달라고 하니 고사리 노래를 불러주었다. 그러나 앞부분은 기억이 잘 났지만 뒷부분은 가사가 기억이 나지 않아 중간 부분까지만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1. 20(수) | 조사장소부산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마을 화전경로당 | 제보자정장금
신문·잡지(65)
- 개성신문_1952_0505_06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월 5일 39 김명호 개성시 개성신문사 인민민주주의 국가인민들로부터 보내준 정성어린 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전재 고아들- 고사리 같은 손에 새 옷을 받아들고 기뻐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에서도 우리는 평화와 자유를 지켜 일어선 전 세계 민주진영의...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05_06 | 날짜1952년 5월 5일 | 책임주필김명호
- 경화_1970_06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요채집-고사리 꺽기 노래 조일봉 41 고적순례-만옥정 (2) 성한경 42 신입회원 소개 45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교육주보_1966_7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주간교육칵테일 2 고사리손을 얼게하지 말라 3 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평북로동신문_1948_011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09 김봉훈 평북노동신문사 선우수 김용순, 최히고 초산군 녀맹 초산군 녀맹에서는 보안대원에게 1947년을 승리적으로 마감하는 세모와 새해의 건투를 축복하기 위하여 선물로서 보손 150족 닭 230수 고사리 산채 6관 세탁물 84점을 세탁 제...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115_04 | 책임주필김봉훈
- 강원인민보_1947_111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947년 11월 18일 341 서창동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신 이천군 이천군여맹에서는 여맹운영사업기금을 조성하기위하여 지난 5월부터 군내전여맹원이 궐기하여 틈틈이 고사리 채취운동을 전개한바 이천면 여맹원을 위시로 한 전맹원은...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118_03 | 날짜1947년 11월 18일 | 책임주필서창동
멀티미디어(3)
- 18세기 중반 고사리[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400_18세기_중반_고사리[蕨] 경제_1400_18세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울산공업지구 설정 및 기공식이 1962년 2월 3일 울산군 대현면 고사리 정유공장 대지 앞 식장에서 열렸다.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의 기공발파와 함께 시작된 이 행사에는 박정희 의장을 비롯해 송요찬 내각수반, 김유택 경제기획원장, 이병철 경제인협회장, 칼 빙거 서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2년 2월 14일 | 제작주한미공보원
- 물 (도판48) 범자문암막새 2014-12-08_0.557461_(도판48) 범자문암막새.jpg h2-0167_3 유물 (도판46) 균정고사리문암막새 2014-12-08_0.7553369_(도판46) 균정고사리문암막새.jpg h2-016제목미륵리사지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3)
- (교단정담) 고사리 손들의 기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정담) 고사리 손들의 기쁨 (교단정담) 고사리 손들의 기쁨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영실 | 사료철명강원교육
- (초대석) 고사리학교사자평분교를 찾아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초대석) 고사리학교사자평분교를 찾아보고 (초대석) 고사리학교사자평분교를 찾아보고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낙인 | 사료철명교육경남
- (선행미담사례) 고사리 손의 온정 (신사국)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선행미담사례) 고사리 손의 온정 (신사국) (선행미담사례) 고사리 손의 온정 (신사국)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생생활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영의 | 사료철명수도교육
- 평산중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296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평산중식 전라북도 옥구군 회현면 고사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윤호;崔允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804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35호 1932―12―25 76면 2. 명륜학원 1932년도 제3회 입학허가자 명부 최윤호;崔允鎬 김제군 진봉면 고사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2)
-
고사리 / [과학/식물]
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 학명은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이다. 고사리는 전세계에 큰 군락(群落:집단)을 만들어 자생하는 생활력이 왕성한 식물로서, 아시아지역에서는 매우 오래 전부터 식용되
-
고비고사리놀이 / [생활/민속]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鶴山里) 일대에서 열리는 민속놀이. 현지에서는 ‘괴비고사리놀이’라고 한다. 이 놀이는 남도의 <강강술래>와 같이 원무(圓舞) 형태의 춤이라는 점이 주목되며, 그것도 나무하러 갔던 초동들이 묘 주위를 돌면서 놀이와 더불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
-
고사리꺾기놀이 / [생활/민속]
고사리 꺾는 동작을 모방한 놀이. 주로 봄·가을, 특히 추석에 많이 행해지는 전국적인 집단놀이이다. 여자어린이와 처녀들 외에 간혹 남자어린이도 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팔월 한가윗날 달 밝은 밤에 처녀들과 아낙네들이 모여 강강술래와 더불어 이 놀이를 한다. 손에 손을
-
변산일엽 / 邊山一葉 [과학/식물]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에 속하는 상록 다년초. 전라북도 부안의 변산반도와 경상북도의 울릉도, 강원도의 대성산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를 비롯하여 고지대의 일부 계곡에서 자생하고 있는 희귀식물이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
도기 바퀴장식 뿔잔 / 陶器車輪飾角杯 [예술·체육/공예]
가야시대의 이형토기. 보물 제637호. 높이 18.5㎝, 너비 24㎝.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밑이 벌어진 높은 굽다리 위에 U자형의 각배(角杯)를 얹어놓았다. 각배의 등 양쪽에 고사리형의 돌기물이 부착되었던 것으로 보이나한쪽만 남아있다. 그리고 각배의 좌우측면에 수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