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부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 반봉건‧반외세 운동이 전봉준을 비롯한 호남의 동학 지방 접주들에 의해 뚜렷한 목표 아래 계획된 것이었다. 근래 발견된 「사발통문(沙鉢通文)」이 이를 구체적으로 증명해 준다. [의의와 평가] 은 동학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 김문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자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에서 전라도관찰사로 임명되었다. 1894년 2월 ()이 일어나자 군수 조병갑(趙秉甲)을 체포하는 한편, 고부에 속리를 보내 사건의 주동자인 전봉준(全琫準)을 회유 내지 붙잡도록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 뒤 동학농민...
    이칭별칭 원부(元敷)
  • 최경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1893년 11월 고부 인근의 동학접주들이 중심이 되어 농민봉기를 준비했던 사발통문(沙鉢通文) 거사계획에 참여하였다. 1894년 정월 전봉준(全琫準) 등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에도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즉, 동학교도...
    이칭별칭 경선(卿宣), 경선(敬善), 경선(慶善)|영창(永昌)
  • 조병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워 억울한 사정을 진정하였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894년 2월 농민들이 동학접주 전봉준을 영도자로 추대하고 고부관아를 습격하자, 전주로 도망가 관찰사 김문현(金文鉉)에게 사태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여러 탐학행위가 밝혀져...
  • 심상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2년 6월 홍문관부수찬을 시작으로 갑오동학농민운동이 한창이던 1894년에는 사헌부장령이 되어 그 해 3월 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일어난 농민봉기의 원인은 1차적으로 지방수령의 가렴주구와 탐학에 있음을 밝히는 상소를 삼사 합계(合啓)로 여러 차례 올렸다. ...
    이칭별칭 위보(渭甫)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1894년 1월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이 농민들을 규합하여 일으킨 농민 봉기. 은 당시 고부 군수의 수탈로 농민의 경제생활이 파탄 지경에 달하였는데, 이에 대한 농민들의 전면전이었다. 은 동학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 동학운동 / 東學運動 [역사/근대사]

    1894년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은 전라도 고부군에서 일어난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으로부터 1년여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은 결국 실패하였으나, 여기에 참가한 동학농민군은 뒤에 항일

  • 김개남 / 金開南 [종교·철학]

    1853년(철종 4)∼1895년(고종 32). 동학의 태인대접주. 1891년 두령, 즉 접주가 되었다. 이해 처음으로 이곳에 순회 온 동학의 제2세교조 최시형을 만나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1894년에 때마침 전봉준이 선봉에 나서서 을 일으키자, 손화중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