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병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고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0∼1964. 독립운동가. [개설] 제주도 출신. [생애] 1920년 제주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1922년 동경의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에 재학중 일본거주 한국인고학생의 비밀결사인 ...
- 강기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1955. 독립운동가. [개설] 제주도 출신. [생애] 1927년 4월 무정부주의를 표방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제주 삼덕리에서 고병희(高秉禧) 등과 함께 독서회를 조직, 문고(文庫...
- 조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6∼1948. 독립운동가‧사회운동가. [내용] 제주도 한림 출신. 1927년 4월 제주에서 고병희(高秉禧) 등 많은 동지들과 함께 무정부주의 계열의 항일독립운동 비밀결사로서 독서회(讀書會)를 조직, 각 지역에 문고를 설...
- 우리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7년 제주도에서 조직되었던 계(契)조직을 통한 무정부주의운동단체. [개설] 1927년 3∼4월 고병희(高秉禧)가 조대수(趙大秀)ㆍ강기찬(康基贊)ㆍ김형수(金炯洙) 등을 찾아가 제주도에서는 공산주의사회보다는 무정부주의사회를 건설하는 것...
- 무정부주의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월 고병희(高秉禧)는 조대수(趙大秀)‧강기찬(康箕贊)‧김형수(金炯洙) 등과 우리계(宇利稧)를 조직하였다. 제주도의 젊은 무정부주의자들은 일제 식민지라는 제약의 범위 내에서나마 우리 나라 전통의 습속을 살려 최대한의 상호부조적 자유사회를 실현해보겠다...
신문·잡지(1)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泰安南面外潜里 賈秉식 賈秉규 賈佑永 高澤秀 安在輪 高應秀 高綵秀 賈秉슈 賈秉舜 賈培永 各一圓식 賈淑永 賈鳳永 各八十젼식 賈秉九 賈壽永 賈化一 趙斗顯 賈秉희 各六十젼식 賈道永 賈大永 賈信永 賈秉셜 賈秉正 賈秉億 賈秉政 賈秉珍 各五十 젼식 高雲秀 賈天永 賈聖永 賈秉祿 賈...게재일1907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
- 고병희;高丙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426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93면 1. 3. 각 과별 졸업생;22) 제22회 졸업생 (1940년 3월 졸업);(2) 상과 고병희;高丙熙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고병희 / 高秉禧 [역사/근대사]
1900-1964. 독립운동가. 제주도 출신. 1920년 제주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1922년 동경의 세이소쿠(正則) 영어학교에 재학중 일본거주 한국인고학생의 비밀결사인 형설회(螢雪會) 및 흑우회(黑友會)에 가입, 활동하였다. 그뒤 흑도회가 박렬(朴烈
-
강기찬 / 康箕贊 [역사/근대사]
1903-1955. 독립운동가. 제주도 출신. 1927년 4월 무정부주의를 표방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제주 삼덕리에서 고병희(高秉禧) 등과 함께 독서회를 조직, 문고(文庫)를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계몽운동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그해 10월에 일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