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몽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월봉집
연구성과물(5)
사전(1)
- 금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고몽찬(高夢贊)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서문은 없고, 그의 아들 문겸(文謙)이 1892년(고종 29)에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고서·고문서(4)
- 금주선생문집(錦洲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월운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지난날 함께 했던 시간들을 회상하니 마음이 슬프다는 말 을 전하고 있다. 祭再從大父北坡公(文謙)文 9 再從大父 北坡 高文謙의 덕행을 기리는 제 문이다. 아버지인 錦洲 高夢贊(1793~1858, 字理叟)의유풍을형인甪里高聖謙(1810~ 1886, 字 穉希)이 祖述하...분야문학 | 유형문헌
- 노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答朴亨之(夏休) 9 작년 여름에 방문하여 주고, 올 봄에 다시 편지를 보내 안부를 물어 줘서 감사하다는 간단한 답서이다. 答高理叜(夢贊)10 저자의 문인인 高夢贊(1793~1858)에게 답한 글이다. 성현의 글을 공부하면 문장이 절로 진보하게 된다는 말을 하였다....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월봉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에게 교정과 발문을 부탁하고, 홍상민과 채헌징에게 서문과 발문을 받았다. 또 族弟인 高補 및 종손 高翼疇와 함께 한 본을 필사했다고 하였다. 後識 2 저자의 7세손 錦洲 高夢贊(1793~1858)이 高宅龍과 함께 문집 간행을 준비하면서 1858년에 쓴 後識이다. 1...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고몽찬 / 高夢贊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58년(철종 9). 정필규의 문인으로 과거가 공정하지 못함을 알고 학문에만 힘썼다. 성리학 이외에도 성문, 지지, 음양, 복서, 율력, 산수 등에 통달하였다. 그리고 군제, 전부, 공거 등 당시의 시무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남겼다. 아들은
-
월봉집 / 月峯集 [종교·철학/유학]
고인계의 문집. 목판본, 서: 홍상민, 5권 2책. 7세손 고몽찬이 1856년에 후손 고택룡과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구본의 시 2책과 문 2책을 다시 교정하여 각각 1책으로 줄이고 부록까지 포함하여 5권 2책으로 재편하였다. 권수에는 홍상민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
-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고몽찬의 시·서(書)·설·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서문은 없고, 그의 아들 문겸(文謙)이 1892년(고종 29)에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서(書), 권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