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목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28)
- 고목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장편소설. [내용]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장편소설. 1907년 6월 5일부터 10월 4일까지 ≪제국신문≫에 연재되었다. 1900년대 초의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이야기는 충청북도 황간에 사는 권진사...
- 근대신어 : 돋보기(돗보기)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1334 돋보기 다항 돗보기 령감 돗보기나 쓰고 당기오 영감 돋보기나 쓰고 다니시오 이해조 고목화 1907 83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25면 생활용품 몸계통분류 [사회생활] 생활용품 [예술감각] 몸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노정기(노정긔)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8488 노정기 나항 노정긔 갑동의 편지를 노졍긔로 삼아 갑동의 편지를 노정기로 삼아 이해조 고목화 1907 116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192면 문학계통분류 [예술감각] 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오후(하오)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1271 오후 아항 하오 하오 네시지 과졍을 정셔요 오후 4시까지 과정을 정했어요. 이해조 고목화 1907 96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41면 시간계통분류 [과학지식] 시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붓주머니(필낭)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4537 붓주머니 바항 필낭 이 갑동아 필낭 글으로 벼루 여 먹 갈아라 얘. 갑동아. 붓주머니에서 벼루 꺼내어 먹 갈아라 이해조 고목화 상 1907 1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계통분류 [사회생활] 생활용품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
- 한인사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낫치도 다바치고피땀흘어 농사지어 배곱흔졍 허다하고목화마져 심어다가 내몸하나 못가루고초근목피 다캐여서 군수에 골몰하고 공출갑사 소한돈 허다히도 달나하네공출리야 공출리야 인간공출 공출히야지원병에 공출하고 증병에도 공출하네젊은쳥년 공출하네 늙은 어른 공출하네시악시도 공출하네...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후
신문·잡지(89)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박부장」이 아가 건넌말 김죤위 누러 가다가 뒷 쳠아예걸녀 관이 버셔졋개가물고 댕기다가 다이에 씨워졋다더라 「마누라」에그 우스워라 개가랑반되얏네 「보」,,,,,,,, 「박부장」아가 리약이 아랴 뒤집 녀복은 를 낫귀다고 입을 에다걸 불기...게재일1907년 6월 20일 | 기사분류기타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괴산집)얼마 죳소 령감은죠도 됴화 어셔뎌럿케 무던 마누라를 려왓누 처음보아도 눈섯톨으지 안은걸 나이아마 나보다 녓엇 손위가 될듯 십소 갓가이가셔 셰좀보아야 면셔 쳥쥬집 안즌압으로조춈 안즈며 말름 보더니 무슨졍이 그리두터온지 스러져 가소로 에그 가엽...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기타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놈들날쥭이고가거라 아모리도젹놈이기로 물가져 갓스면 고만이지 사지 흠쳐가나냐 여보 동리사들 닐어오 도젹 들엇소 도젹이야 뎌놈들 잡아쥬오 나죰 글너쥬오 몃놈잡아먹소 소를 목이터지도록 질으나 리웃사은 겁이나셔 내다보지도 안코 도젹놈은 발셔간곳이 업지라 박부...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기타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것은 권진의 거취를 분명이 알고차 가것이 안이라 박부장마에 권진가 젹당이되야한곳에셔살냐고가속을려간것이안이면 필경그곳셔 버셔져 나와 화를면랴고 이지경을것인그의이의관도못고아도리에 이슬을휘말앗더라니 만일 도젹이되얏스면 남보기에슈상시럽게 그 모양...게재일1907년 7월 4일 | 기사분류기타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갑동」진님이 그후로 어린 아기보고 툭면 화가나셔셔 면으로구경만 댕기시 으로 속리에도 들어가셧다가그모양이 되셧지오 (마누라)너의 진님 나이 얼마나 되셧나냐 「갑동」올에 셜은몃치신지 셰 몰나도 마흔은 못되셧고신슈가 됴흐시지오 얼골은 길음고 눈은어...게재일1907년 6월 28일 | 기사분류기타
주제어사전(1)
-
고목화 / 枯木花 [문학/현대문학]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장편소설. 907년 6월 5일부터 10월 4일까지 『제국신문』에 연재되었다. 1900년대 초의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907년 6월 5일부터 10월 4일까지 『제국신문』에 연재되었다. 1900년대 초의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