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령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신증동국여지승람
- 경상도
- 고령 장기리 암각화
- 고령안화리암각화
연구성과물(798)
사전(93)
- 고령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이고, 인구는 3만 4,770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7개 면, 151개 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에 있다. [자연환경] 소백산맥의 일맥인 가야산이 군의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나와 문수산(文壽山,...
- 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합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신라의 적화현(赤火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야로현(冶爐縣)으로 고쳐 고령군의 영현으로 하였다가 고려 현종 때합천군으로 이속시켰다. 조선시대에는 합천군 현내면(縣內面)이...이칭별칭적화현(赤火縣)
- 고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년 이두훈(李斗勳)이 편찬한 경상북도 고령군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사찬읍지(私撰邑誌)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편찬 동기와 과정을 기록한 서문에서 이 책의 편찬은 옛 지지를 바탕으로 하고 김택영(金澤榮)의 『한...
- 고령현(高靈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원하여 오늘날까지 현재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역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던 조선시대의 관청이자 행정구역. [개설] 고령(高靈)은 원래 대가야국(大伽倻國)의 도읍이었으나, 신라가 대가야를 정복하고 고을을 신설하였다. 고령이라는 명칭은 신라 경덕왕 때부터 사용하였...관련어대가야(大伽倻國), 고양(高陽), 영천(靈川)
- 도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칠등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66년(현종 7)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면(金沔)과 이기춘(李起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월등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0년에 칠등리로 이건하였으며,...
고서·고문서(578)
- 고령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령군 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寿县) 양하공사 동명3대 2 1 고령군, 개진면, 부동, 주소, 컨집, 5...대표표제어고령군 | 성씨최
- 고령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령군 리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신성자구(新城子区) 맹가공사 립신대대 2 2 고령군, 성산면, 박곡동...대표표제어고령군 | 성씨리
- 고령군읍지(高靈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 읍지 상송령에 의해 편찬된 경상북도 고령군의 필사본 고령군읍지이다. 고령군은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쌍림면, 우곡면・개진면 서쪽, 성산면・운수면・덕곡면 일부에 해당한다. 고령은 옛 대가야국(大伽倻國)이었다. 신라 진흥왕이 대가야를 멸망시킨 후 이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고령군읍지(高靈郡邑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풍속) 청도 고령군 풍속조사의 건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에서 청도와 고령군의 풍속을 조사하여 작성한 보고서이다. 1925년(대정 14) 4월 15일에 작성하였다. 총 4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한문혼용체로 작성하였다.분류민속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기초학문(2)
- 사례를 통해 본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 고령군, 경산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지애, 게재일 : 201459616 박지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문화학회 2014 사례를 통해 본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 고령군, 경산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대도시 인근 농촌경계지역의 민요 소통과 전승 -경북 칠곡군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지애, 게재일 : 2015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40978&local_id=10061864 대도시 인근 농촌지역의 민요전승과 소통-'고령군', '경산시', '칠곡군'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4)
- 拜乞高靈郡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오젼 구시경에 엇더 단발인 일명이 부 디방국 마루아에와셔 아모말도업시 다만무슈히 졀거 디방국원이 하인으로야금 그을 힐문즉 져를고령군슈로 셔임야달나 난지라 디방국하인이 그 말을듯고 미친사이라 소질너 츅츌얏다더라게재일1907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高倅遭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고령군슈 윤하영씨는 부임지 불과몃달에 치젹이현져야 일경이 칭송더니 불이 당고야 집으로 도라갓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星州歛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쥬군슈 김흥긔씨 군에셔 고령군으로 이속아홉면을 도로셩쥬군에 환부케다고 군향교에 셜치학교장으로 야금 운동려비로 일경팔구쳔호에 엽젼두둔륙푼식 렴며 유명 리인희 윤죵식씨등 오인을 경셩으로긔송야 복구을 운동 고령군으로 이속된 구면셩들은 그...게재일1906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高靈開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고령군슈 윤하영씨 도임쵸에 졔반졍이 인민을 명식히고 졍치를션기로 쥬장 그장뎡을거즉 비록소송 나이라도의례이인민의방쳥을허야모다가타후에결쳐기로얏스니 참뎨일등 명쥬의 윤하영씨라고 만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開墾挾雜者拿審의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고령군슈 윤하영 셩쥬군슈 김흥긔씨 등이 모다 진황 디간 일에 협잡 일이 잇다야 농상공부에셔 법부로 죠회고 량씨를 라치심판을 쳥 얏더니 법부에셔 상관바 안이라야 즉시 농부로 답죠고 량씨의 소 디방 판소로 직졉 문야 구라 심사케라 ...게재일1907년 7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1)
- 고령군의 온마을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령군의 온마을 교육 고령군의 온마을 교육 교육 문헌 현대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 잡지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지호 | 사료철명문교경북
-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5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5호)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5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법규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령군수 신명균 | 사료철명조례폐지철(1962년~1972년)
-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령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공포 원부(1963년~1971년)
-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고령군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131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 고령군교육청 | 사료철명조례대상
- 고령군유아교육진흥협의회설치조례중개정조례(110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령군유아교육진흥협의회설치조례중개정조례(1109호) 고령군유아교육진흥협의회설치조례중개정조례(1109호) 교육 문헌 취학전ㆍ특수교육 취학전교육 교육법령...범주1취학전ㆍ특수교육 | 형식문서 | 한글저자고령군수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연구과제(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7)
-
고령군 / 高靈郡 [지리/인문지리]
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7개 면, 151개 행정리(96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에 있다.
-
신복 / 新復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고령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가시혜현(加尸兮縣)이었는데, 경덕왕 때신복현으로 고쳐 고령군(高靈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그 뒤의 변화는 자세하지 않고, 현의 서쪽 10리 되는 곳에 가서곡(加西谷)이 있는데 시혜(尸兮)가 변하여 서(西)가 된 것으로 추측
-
고령탄 / 高靈歎 [문학/한문학]
고 있다.「고령탄」은 세조에 의해 고령군(高靈君)에 봉해졌던 신숙주(申叔舟)가 자신의 과거에 대한 후회와 한(恨)을 스스로 탄식하는 작품이다. 이 시는 “인생이 결국 여기서 그치는구나(人生會止此).”라는 자탄사로 시작하여 몇 차례 내용전환마다 이 구절을 반복하면서 전개
-
매림서원 / 梅林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매촌리에 있는 서원. 1707년(숙종 3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곽수강(郭壽岡)과 오선기(吳善基)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
-
야로 / 冶爐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합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적화현(赤火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야로현(冶爐縣)으로 고쳐 고령군의 영현으로 하였다가 고려 현종 때 합천군으로 이속시켰다. 조선시대에는 합천군 현내면(縣內面)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상북면(上北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