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등학교” 에 대한 검색결과 12,6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566)

사전(1,6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학제로 채택함으로써 후기 중등교육은 고등교육을 받기 직전 3년 간, 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단일화되었다. 그러나 후기 중등교육을 담당하는 의 종류가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화되어 있었다는 측면에서 보면 완전한 단선형 학제였다고 규정하기는 어렵다. 현...
  • 제물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인천광역시 중구 전동에 있는 공립 . [연원 및 변천] 1945년 11월 27일 인천중학교가 개교하였다. 1935년에 설립된 5년제 일본인 학교 인천부립중학교를 광복 후 인수해서 수업연한 4년에 4학급 60명으로 편성...
    이칭별칭제물포고
  • 산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옥산리에 있는 공립전문계. [연원 및 변천] 1927년 10월 2년제 산청공립농업보습학교로 설립되었다. 1937년 4월 산청공립농업실습학교로, 1942년 4월 산청공립농업전수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안계종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계리에 있는 공립. [연원 및 변천] 1946년 9월에 3년제 6학급의 초급중학교인 안계중학교로 설립되었다. 초대교장에 이정섭이 취임하였고 남학생 140명, 여학생 47명 총 187명이 입학하...
    이칭별칭안계고등학교
  • 안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있는 공립 전문계 . [연원 및 변천] 이명섭을 비롯한 지역 유지들의 사재 출연으로 1947년 10월 설립인가를 받아서 1948년 3월 15일 안양공업중학교로 개교하였다. 수업연한 6년에...
    이칭별칭안양공고

단행본(1)

  • 무한경쟁의 수레바퀴-1960~1970년대 학교와 학생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 서울대학교]
    저자 : 이기훈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80705
    유형단행본
    1960~1970년대 급변하는 한국사회 속에서도 학교는 가장 크게 바뀐 사회적 공간이었다. 특히 고등학교는 소수의 엘리트를 위한 교육기관 또는 완결된 직업교육기관에서 보편적인 대중 교육기관으로,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기관으로 완전히 변화했다. 가히 폭발적이라고 해야...

논문(3)

고서·고문서(48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망강현(望江) 확인 필요 2 2 , 학생, 집, 주소, 학교당국, 환영, 량...
    대표표제어고등학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최 여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동릉구 혼하참향 금선촌 1 1 , 입학시험, 필, 선생님, 일조...
    대표표제어고등학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현(海林县) 알수없음 2 2 , 사왕, 일본어독본, 보내, 영어, 영어입문, 영한...
    대표표제어고등학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강원도 강릉시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평안여제품장 4 3 , 졸업, 해방전후...
    대표표제어고등학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송 남자 경상북도 의성군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연안대가 서일호동51-1 5 3 , 다니...
    대표표제어고등학교 | 성씨

구술자료(252)

  • 어려서부터 할머니에게서 아버지에 대해 많이 듣고 자란다. 화자의 아버지는 전쟁 당시 고등학생이었다. 장항농업의 회장을 했을 만큼 무엇으로나 뛰어난 존재였다고 한다. 9.28 수복 전후에 장항 앞 바다에서 서천으로 함포 사격이 시작되었는데 함포 사격의 시작을 알리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4년 4월 21일
  • 임요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직업 3. 한국전쟁 당시 고초를 당한 부모 4. 1.4 후퇴로 인한 피난 생활 5. 아버지의 사망 6. 야간 중‧ 생활 7. 군대 생활과 제대 후 하우스키퍼 근무 8. 캐나다 이민 과정, 정착 생활 9. 미국 재 이민 10. 뉴저지와 뉴욕에서의 목회자 생활 11
    구술자임요한 | 직업목회자 | 지역황해도
  • 김종기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족관계, 초등학교시절, 아버지의 사업 실패 고교, 대학생활, 취업, 결혼 시절, 5.16, 박정희, 광주항쟁 평가 올림픽, 월드컵 평가 FTA에 관한 의견, 지하철 공사 건설 환경, 지하철 공사의 난관, 1호선 개통 지하철과 교통난, 보람있었던 지하철 공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김정두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족관계, 공업 진학 결혼, 부모의 생활, 한국기계 입사 한국기계의 근무, 지방 기능경기대회 점가 국내 기능경기대회 수상, 국제 기능올림픽 출전 국제기능올림픽 수상, 한국기계 퇴사 대학, 정교사 자격 취득, 교사생활, 대학원 공부 창원기능대학 교수, 박사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유재충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족, 고향, 가정 형편 핸드볼 입문, 중시절 고교, 대학생활, 핸드볼 선수 활동 대표팀 감독 활동 대표팀의 경기, 교사생활, 결혼 처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우생순)에 대한 생각 대학시절, 대표팀 코치, 아시안게임, 올림픽 올림픽, 핸드볼 관련 서적 출판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기초학문(153)

  • 日本語讀本』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중선, 게재일 : 2013
    57615 한중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학회 2013 『 日本語讀本』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교육기획력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두환, 게재일 : 2015
    15990 황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교육기획력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영어시험 출제상의 문제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병빈, 게재일 : 1995
    12865 임병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영어교육학회 1995 영어시험 출제상의 문제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1995
  • 0교시 체육활동 참여경험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인, 게재일 : 2014
    51948 이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0교시 체육활동 참여경험 탐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에 적합한 편서풍 파동 실험장치의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순환, 게재일 : 2006
    03138 이순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구과학회 2006 에 적합한 편서풍 파동 실험장치의 개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218)

  • 卒業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관립 한셩에셔 금일오후 일시에 뎨회 졸업식을  각대관과 각샤회의 유지지와 각 신문긔쟈를 다슈히 쳥요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대학설립기 조선완성후수년내설립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2) 대학설립관련 조선대학설립기 조선완성후수년내설립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1년 5월 1일 매일신보사 매일신보 기사/사설 1 이 글은 조선 대학 설립과 설립에 대해 논의하는 조선교육조사위원회에 참석한 삼토(三...
    대표표제어조선대학설립기 조선고등학교완성후수년내설립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매일신보사 | 출처매일신보 | 키워드조선 대학 설립, 조선 고등학교 설립, 조선교육조사위원회
  • 兩氏移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장리원용씨난 학부참셔관으로 젼임고 학부참셔관 홍셕현씨 장으로 체임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新聘敎師視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로 고빙한 일인교 고등흠이씨 한셩에 부임시무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종합연구보고지_1967_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종합의 합리적 운영-적성에 맞는 과정치지도에 관한 연구 청량종합 16 통파일 24-25쪽 삭제요망. 중복페이지 34-35쪽 결락. 여성교육을 위한 가정관리실시설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멀티미디어(40)

  • 부산 덕문 강당 신축부지내 유적(가덕진성내) 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부산 덕문 강당 신축부지내 유적(가덕진성내) 시굴조사 보고서 ll5-0052_#1 유구 부산덕문강당신축부지내유적_도면3.시굴조사 트렌치 배치도 2015-03-27_0.1532099_부산덕문강당신축부지내유적_도면3.시굴조사 트렌
    제목부산 덕문고등학교 강당 신축부지내 유적(가덕진성내)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울산 유곡동유적-함월 건립부지 시굴조사- (울산 나사리유적 부록)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울산 유곡동유적-함월 건립부지 시굴조사- (울산 나사리유적 부록) ll5-0232_#1 유구 울산 유곡동유적_도면4.a발굴조사구역 내 유구 배치도 2015-01-27_0.9387628_울산 유곡동유적_도면4.a발굴조사구역 내 유구 배치도.j
    제목울산 유곡동유적-함월고등학교 건립부지 시굴조사- (울산 나사리유적 부록)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대구 욱수동 생활유적-덕원 중∙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구 욱수동 생활유적-덕원 중∙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유적 bb6-0117_#1 유구 도판53. 가지구 18호 수혈 전경(1), 출토유물(2~6) 2015-03-19_0.28677_도판53. 가지구 18호 수혈 전경(1), 출토유물(2
    제목대구 욱수동 생활유적-덕원 중∙고등학교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함안 명덕∙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정리)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함안 명덕∙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정리) ss1-0299_#1 유구 도면 1. 조사구역 위치도 2014-10-03_0.8814203_도면 1. 조사구역 위
    제목함안 명덕고등학교∙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합천 해인사 부도 및 석장비 주변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정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영양 소계지구 경지정리 예정지역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대구 욱수동 생활유적 –덕원 중‧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 유적- 부록2)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영양 소계지구 경지정리 예정지역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대구 욱수동 생활유적 –덕원 중‧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 유적- 부록2) bb6-0164_#1 유구 도면4. 석렬 평면도(150분의 1) 2015-03-19_0.140300
    제목영양 소계지구 경지정리 예정지역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대구 욱수동 생활유적 –덕원 중‧고등학교 이전부지 및 진입로 공사구간 유적- 부록2)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9,815)

  • 과학학습 평가 -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과학학습 평가 - 과학학습 평가 -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문교부
  • 새 교육과정 개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새 교육과정 개요- 새 교육과정 개요-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 중등교육 학교교육과정
    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문교부
  • 에 대한 기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에 대한 기대 에 대한 기대 에 對한 期待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 중등교육 실업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윤식 | 사료철명정경
  • 과학과 과정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과 과정안 과학과 과정안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교부 | 사료철명문교월보
  • 미국의 평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미국의 평가 미국의 평가 美國의 評價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협력 국제교류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실 | 사료철명교육평론

연구과제(19)

주제어사전(105)

  • / [교육/교육]

    1906년에 「령」이 공포되어 종래의 중학교를 로 개편하고 본과 4년에 1년제의 예과와 보습과를 두도록 하였다. 이어 1908년에는 「고등여학교령」을 공포하여 본과 수업연한은 3년, 그리고 예과와 기예과를 2년 이내로 실시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 강경 / 江景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남교리에 있는 공립. 1936년 4월 11일 3년제 강경공립실과여학교로 개교하였다. 설립 당시 일본 여학생만 9명으로 일본인에게만 입학자격을 주었으나 1939년 이후 한국인 여학생도 입학하게 되었다. 교과는 수신(修身)·일어·역사·지리·

  • 경기 / 京畿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공립 . 1899년 4월에 공포된 「중학교관제」에 의거해 실업에 나아가려는 사람에게 정덕(正德)ㆍ이용(利用)ㆍ후생(厚生)의 길을 가르치고 중등교육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광복 후 1946년 6년제 경기중학교로 개편

  • 경남 / 慶南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 있는 공립. 1942년 4월 부산광역시 서대신동에서 부산제2공립중학교(釜山第二公立中學校)로 설립되었다. 개교 당시에는 5년제의 한국인과 일본인 공학이었으며, 구 부산소학교(釜山小學校) 건물에서 학급을 모집하였다.1951년에 부산서중학

  • 경동 / 京東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에 있는 공립 . 1940년 4월 16일 한국인과 일본인 공학의 욱구공립중학교(旭丘公立中學校)로 개교하였다. 1941년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고, 1945년 3월 제1회(5년제) 및 제2회(4년제) 졸업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