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대국어”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는 몇 개의 인명‧지명‧관직명을 한자로 적은 것이 전할 뿐이다. 고구려‧백제‧신라의 자료도 지금까지 전하는 것이 많지 않아서 그 언어들의 참모습을 밝히기 어렵다. 자료는 적지만 기간이 너무 길어서 한마디로 라고 하기에는 무리한 점이 없지 않다. 여기에는...
  • 박병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연구와 의 음운연구에서 뛰어난 이론을 남겼다. 후자의 연구는 의 지명연구를 통하여 고구려어를 비롯한 삼국시대의 언어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그리고 전자의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에 소장된 『홍무정운역훈』의 판본에...
    이칭별칭 우운(于雲)
  • 사서질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설을 달았다. 특히, 한자의 음을 올바로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한 음 읽기에는 반절법을 사용하거나 직접 한글로 음을 달아놓았다. 또한, 한글로 전부 토를 달고 애매한 구절에는 직접 우리말로 해석을 덧붙여 놓았으므로 의미파악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연구에도 도...
  • 조선어문경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가운데서도 제56과 ‘구두(句讀)와 이두(吏讀)’는 의 관심을 보인 과목으로, 그 길이는 짧아도 구결(口訣)과 이두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관한 최초의 언급이라는 점에 있어 매우 높은 가치와 의의가 있는 연구라 하겠다. 『신강국어학사(新講...
  • 국어사개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자체계, , 전기중세국어,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등의 9장으로 짜여졌다. 초판의 제2장이 ‘국어의 계통’과 ‘국어의 형성’으로 나뉘었고, ’문자체계‘가 새로 추가되었으며, 중세국어를 전기와 후기로 장을 달리하였다. 부록으로 참고문헌의 해설을 중심으...

고서·고문서(2)

  • 〈(비교언어학적) 어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고 설명하였다. ■주제어 한국어학, 한국문학, 국어사전, 중세국어, ■참고문헌 1. 김무림, 「국어 어원사전의 연구 성과」, 󰡔국어사연구󰡕 28, 국어사학회, 2019, 67-91쪽. 2. 정유남‧도원영‧김숙정, 「국어어원사전에 대한 사전학적 검토」...
    대표표제어〈(비교언어학적) 어원사전〉 해제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 전임강사로 부임한 뒤 와 차자표기를 연구하다 1998년에 정년퇴임하였다. 공저인 〈이두사전〉(1976) 외에 주요 저서로는 『고대 차자 복수인명 표기연구』(1990), 『이두자료 읽기 사전』(2001), 『한국 고대 인명사전』(2007)이 있다. ■편찬...
    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기초학문(3)

  • 의 음운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43696 한국연구재단 태학사 外 2002 의 음운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의 파생 접미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윤희, 게재일 : 2006
    21276 장윤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06 의 파생 접미사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의 文法 形態素 ‘-긔’의 再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재형, 게재일 : 2014
    46182 조재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의 文法 形態素 ‘-긔’의 再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4)

  • / [언어/언어/문자]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중세에 앞서는 가장 이른 시대의 국어. 첫째, 가장 넓게 보아 는 위에 든 여러 나라의 언어를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둘째,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언어를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셋째, 좁게 보아 신라의 언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 박병채 / 朴炳采 [언어/언어/문자]

    많은 업적이 있으며 특히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운서인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연구와 의 음운연구에서 뛰어난 이론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 ­음운편­』·『국어발달사』·『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등이 있다.

  • 조선어문경위 / 朝鮮語文經緯 [언어/언어/문자]

    가운데서도 제56과 ‘구두(句讀)와 이두(吏讀)’는 의 관심을 보인 과목으로, 그 길이는 짧아도 구결(口訣)과 이두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관한 최초의 언급이다.

  • 중세국어 / 中世國語 [언어/언어/문자]

    와 근대국어의 중간 시기에 자리하는 국어. 고려시대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곧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국어로서 통일신라의 언어를 근간으로 하여 발달하였다. 통일신라의 언어가 현재의 동남 방언에 속하는 경주어를 중심으로 한 것이나, 중세국어는 중부 방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