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83)
사전(130)
- 고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누어 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원종 때 삼별초의 난을 평정한 뒤 이웃 고을을 합하여 주(州)를 만든 적이 있으나, 충렬왕이 다시 나누어 촌을 만듦으로써 폐현이 되었다. 지금의 애월읍 고내리로 추정된다. 『탐라지(耽羅志)』 ...
- 북제주고내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고내리 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제주도의 생활 유적. [개설] 주거지 없이 저장공, 가마터, 폐기장 등으로 추정되는 100여 기의 구덩이와 조개더미가 분포한다. 고내리
- 홍현궁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 관서. [내용] 내성(內省) 소속의 홍현궁을 관리하던 곳으로, 갈천궁(葛川宮)‧선평궁(善坪宮)‧이동궁(伊同宮)‧평립궁(平立宮)과 더불어 고나궁(古奈宮)이라고도 하였다. 소속관원으로는 대사(大舍) 2인, 사(史) 2인을 두었다. ...
- 근대신어 : 캅카스(高來蘇)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4942 캅카스 카항 高來蘇 地之東方惟有高山連互南北卽所謂烏拉與高來蘇兩山是也 오직 동쪽지방은 높은 산이 남북으로 걸쳐 있으니 이른바 烏拉산맥과 캅카스산맥이다. 俄國誌畧 漢城旬報 26 博文局 188...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크리스토팔(古來勃辣)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7255 크리스토팔 카항 古來勃辣 古來勃辣有一山★立相阻 크리스토팔에 한 산이 막혀 있는데 大功告成 漢城周報 23 博文局 1886 6 4 9 행정지명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307)
- 광고내용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광고내용 림 남자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칠리향(七里鄕) 1 1 광고내용, 다시, 정리, 큰고모, 림씨, 오매,...대표표제어광고내용 | 성씨림
- 광고내용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광고내용 임 남자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칠리공사 2 1 광고내용, 중국, 림씨, 오매, 삼춘, 삼춘댁, 김씨,...대표표제어광고내용 | 성씨임
- 고내리(高內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097 B025097 고내리 高內里 정치행정 濟州邑誌2 濟州 四界 坊里 ... p(西南距二十六里民戶二十七男四十九女九十四) 水山里(西距三十里民戶七十二男一百四十女二百二十五) 今勿德里(西南距三十八里民戶一百三男二百八十二女三百二十八) 牛路里(西南距三十里民戶三十三男一百十三...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내악(高內岳)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098 B025098 고내악 高內岳 산악 大東地誌 권6 전라도 濟州 烽燧 板浦 時里 道內岳 高內岳 道圓 往可紗羅 水山 笠山 西山 元堂岳以上皆有監官及望漢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내악(高內岳)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099 B025099 고내악 高內岳 산악 濟州邑誌1 濟州 建置沿革 山川 ... p(在州東二十里 峯頭有池 各龜池有藻蘋龜鰲 大旱不竭) 西山(在州東四十里) 笠山(在州東五十二里 峯頭有蓮池) 道圓岳(在州西十五里) 水山(在州西十八里) 高內岳(在州西三十八里) 郭支岳(在州西四...출처전거濟州邑誌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3)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소리 성주풀이 창부타령 시집살이노래 첩노래 망개소리 모심는소리 민요 1993-08-23 31:16 29:49 A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내마을) 1) 반지그릇 노래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필순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소리 성주풀이 창부타령 시집살이노래 첩노래 망개소리 모심는소리 민요 1993-08-23 31:16 29:49 A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내마을) 1) 반지그릇 노래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윤금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소리 성주풀이 창부타령 시집살이노래 첩노래 망개소리 모심는소리 민요 1993-08-23 31:16 29:49 A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내마을) 1) 반지그릇 노래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도순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소리 성주풀이 창부타령 시집살이노래 첩노래 망개소리 모심는소리 민요 1993-08-23 31:16 29:49 A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내마을) 1) 반지그릇 노래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순정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소리 성주풀이 창부타령 시집살이노래 첩노래 망개소리 모심는소리 민요 1993-08-23 31:16 29:49 A면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내마을) 1) 반지그릇 노래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수임
기초학문(1)
-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광고내용이 확장상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영석, 게재일 : 199600860 손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학회 1996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광고내용이 확장상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1996
신문·잡지(108)
- 解雇乃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 소관함흥금광을 한영미삼국인표자 리즁영씨에게인허건에야궁부고문관 가등씨가 그직권을 쥰슈치못일이이나야 통감부에셔 고기로 작뎡엿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平顧內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고문관을 일본언으법관이겸임한단말은이왕긔얏거니와 경무고문 환종쥰씨가겸임기로되엿다더라게재일1905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技手雇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도량형 졔죠 평식원을 남문밧게 견츅기를 시작야 이달 회초간이면 쥰공이 될터인 그무에 야 일본기 졍상의문씨 이하 기슈 이명이 도얏다더라게재일1903년 7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本會에셔 日語速成課 新設고來十八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會에셔 日語速成課 新設고來十八日月曜브터 開學터이오니 志願者 來臨시오 皇城基督敎靑年會게재일1905년 12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朝鮮古來の陶磁器の硏究に 文學士 奧田誠一氏 入城す (조선 고래의 도자기의 연구에 문학사 오쿠다 세이이치씨 입성)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奧田誠一(1883-1955)기사명_원문朝鮮古來の陶磁器の硏究に 文學士 奧田誠一氏 入城す | 기사명_한글조선 고래의 도자기의 연구에 문학사 오쿠다 세이이치씨 입성 | 게재일19210916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2-5
기타자료(124)
- 고내순;高來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277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12면 고내순;高來舜 청주군 청주면 서기 제6회 1918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내순;高來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704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16면 고내순;高來舜 청주읍 石橋町 제6회 1918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내순;高來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2413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10호 1930―03 102면 고내순;高來舜 청주연초元賣捌 제6회 1918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유엔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주말레시아대사 보고내용.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주유엔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주말레시아대사 보고내용.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1/??/??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유엔대사 | 수신자장관
- 주유엔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총회본회의의 각국 기조연설 중 참고내용을 요약보고한 문서.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주유엔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총회본회의의 각국 기조연설 중 참고내용을 요약보고한 문서.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3/09/04 국립외교원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유엔대사 | 수신자장관
주제어사전(4)
-
고내 / 高內 [지리/인문지리]
웃 고을을 합하여 주(州)를 만든 적이 있으나, 충렬왕이 다시 나누어 촌을 만듦으로써 폐현이 되었다. 지금의 애월읍 고내리로 추정된다.
-
송정 / 松汀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을 일컫는 지명.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이었는데, 조선시대까지 소지면(所旨面)·우산면(牛山面)·고내상면(古內廂面) 등의 3개면에 걸쳐 있었다. 조선 중기에 이곳에 병영(兵營)을 설치하였는데, 이 병영과 관련된 고내상성(古內廂城)의 둘레는 1
-
내장사지 / 內藏寺址 [예술·체육/건축]
1동을 세웠으나 1951년 전소되고 말았다. 서편에는 연대를 알 수 없는 탑의 형태를 지닌 부도가 남아 있으며, 후편의 암벽에는 몽련당(夢蓮堂)김진민(金鎭珉)이 쓴 ‘石蘭亭(석란정)’이라는 각자가 있다. 6·25로 고내장이 전소되자, 현재의 내장사에 건물이 새로 지어진
-
노인문제 / 老人問題 [사회/사회구조]
구분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옛부터 회갑(回甲)의 시기를 일반적으로 ‘노’에 들어서는 단계로 생각해 왔으며, 인생 70을 ‘고래희(古來稀)’라 하였다. ‘노’의 현상은 크게 인간의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함께 설명되고 있으나, 이들의 ‘노’에 대한 규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