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금도” 에 대한 검색결과 7,2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32)

사전(1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형성 및 변천] 고려시대 1384년(우왕 10)봉성리(독바위)에 천씨(千氏)가 최초로 거주하기 시작한 는 1589년(선조 22)덕동리에 고금진(古今鎭)이 설치되면서 강진군 관할구역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완도군 설치와...
  • 서집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5년 청(淸)나라 때 편찬된 백과사전.
    정의1725년 청(淸)나라 때 편찬된 백과사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ogeum doseo jipseong | MR표기Kogŭm tosŏ chip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서집성(書集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집성 서집성 書集成 유서(類書) 서휘편(書匯編) 백과전서(百科全書) 교육 출판출판/서책 문헌 중국, 대한민국 청, 조선 김선희 진몽뢰(陳夢雷) 1726년 10,0...
    상위어유서(類書) | 동의어고금도서휘편(古今圖書匯編) | 관련어백과전서(百科全書)
  • 유서 서집성(書集成)淸 『書集成』은 康熙 40년(1701)에 작성을 시작하여 康熙 45년(1706)에 초고가 완성되었고, 雍正 3년(1725)에 완성된 類書이다. 『書集成』은 모두 6編 32典 6109部 1만 卷으로, 淸代 이전의 많은 원문을
    서명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 간행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신여정(申汝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신여량과 함께 어가(御駕)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였는데, 도중에 임진(臨陣)에 이르렀을 때 갈증을 호소하는 왕에게 술을 구해 바쳐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풍이(馮異)에 비정되었다. 선전관이 되어 1597년 정유재란 때 신여량과 함께 전투(戰鬪)에...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093)

  • 23103 B023103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7年 1月 29日_050 幸一線言路之不泯, 而惟我慈聖之處分儒臣, 實緣闕禮一款, 非指斥裕一事也, 渠獨何心, 肆然以奸萌賊膽等說, 論斥言者。 夫以斥裕之疏, 謂之奸萌賊膽, 則渠之凶肚逆腸, 已不可掩, 又況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104 B023104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7年 10月 6日_027 尙幸一線言路之不泯, 而惟我慈聖之處分儒臣, 實緣闕禮一款, 非指斥裕一事也。 渠獨何心, 肆然以奸萌賊膽等說論斥言者? 夫以斥裕之疏, 謂之奸萌賊膽, 則渠之凶肚逆腸, 已不可掩。 又況甲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105 B023105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3年 6月 1日_026 師之相規, 闖呈一疏, 指意閃忽, 其所綢繆排布, 必欲血戰義理, 甘心於背馳, 讐視士類, 角勝於淸議, 與乙丙以來群不逞之徒, 一串貫來之心腸, 昭昭莫掩, 惟我先大王炳幾之明, 燭其奸狀,...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106 B023106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11年 6月 2日_039 逐, 心術鄙悖, 爲世唾罵, 不齒儕類者, 亦有年所, 而今於悖疏悖通, 其所爛漫排布, 締結和應之狀, 綻露無餘, 則渠當卽時款服, 自伏常憲, 而始於事發之日, 慌忙投疏, 欲爲掩匿欺蔽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107 B023107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17年 4月 14日_032 ○韓翼鎭, 以義禁府言啓曰, 全羅道放未放修啓冊子中, 本府所管定配罪人仍秩, 長興李寬基, 康津丁若鏞, 智島李晦祥, 楸子島洪在敏, 張錫胤, 楸子島徐瀅修, 益山李宗國, 珍島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기초학문(2)

  • 도설백과사전으로서의 『서집성(書集成)』- 청대 전기의 문자정책과 삽화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71515 한국연구재단 중앙대 외국학연구소 2014 도설백과사전으로서의 『서집성(書集成)』- 청대 전기의 문자정책과 삽화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6~17세기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옥, 게재일 : 2009
    24751 김경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9 16~17세기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7)

  • 민세안재홍전집 : 月黑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35 1934 9 16 15 6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六) 月黑夜 悽愴不堪의 當時少年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禿城山城, 日淸戰役, 忠武公, 壬辰倭亂 A193...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月黑夜(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36 1934 9 18 15 7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七) 月黑夜(再) 殘月弓刀도今焉己矣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忠武公, 白樂天, , 閑山島, 露梁決戰 ...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젼라도 로 졍갓던 김홍륙을 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라도 로 졍갓던 김홍륙을 경무청에셔 잡으러 려갓다 더니 어제즘 김홍륙을 잡아 가지고 입셩 엿스리라 나 셰치 안터라
    게재일1898년 9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젼라도 류 십오년죄인 민영긔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라도 류 십오년죄인 민영긔씨 특지로 가 되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젼라도 류죄인 죠동윤씨와 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라도 류죄인 죠동윤씨와 리회원씨가 작일 발졍엿대 량씨가 군부 쟝관인고로 군부 군법국록가 압송야 갓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교단 문원) 사람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 문원) 사람들 (교단 문원) 사람들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정삼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10)

  • /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섬. 고금면의 중심인 섬으로, 동경 126°45′, 북위 34°12′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강진만이 있고, 서쪽과 남쪽, 동남쪽에는 각각 완도, 신지도, 약산도(조약도)가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43.66㎢이고, 해안선 길이는 62.5㎞

  • 이우 / 李㙖 [종교·철학/유학]

    1739년(영조 15)∼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이태화, 부친은 이광정, 외조부는 이재이다. 영남유생 1만여 명이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해명하는 상소를 올릴 때 앞장섰다가 전라남도 완도군 로 유배되었다. 사면된 후에는 이상정의

  •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 康津─常綠樹林 [과학/식물]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마량리 까막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172호. 면적 14,479㎡. 까막섬은 남쪽에 있는 ()와 마량리와의 사이에 있는 작은 섬으로, 썰물 때는 걸어서도 접근할 수 있는 곳이다. 여기는 후박나무의 숲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 강진만 / 康津灣 [지리/자연지리]

    양식 바지락이 많이 생산된다. 동남쪽에 위치한 마량항(馬良港)은 수심이 깊고 전면에 위치한 ()가 방파제 구실을 하기 때문에, 해상교통의 요지이며 어항으로 발전하고 있다.

  • 김진형 / 金鎭衡 [문학/고전시가]

    시에 다시 급제하였다. 1864년(고종 1)에는 시정의 폐단을 상소하였는데, 조대비(趙大妃)의 비위에 거슬린 구절이 있어 전라도 ()에 유배되었다. 명천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방면되어 귀환하는 왕복의 기록을 담은 것으로 「북천록(北遷錄)」이라는 한문일기와 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