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구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6)
사전(367)
- 고구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메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감저(甘藷)‧조저(趙藷)‧남감저(南甘藷)라고도 한다. 학명은 Ipomoea batatas LAM.이다. 원산지는 열대아메리카로 우리 나라에는 일본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고구마라는 이름도 일본말 고귀위마(古貴爲麻)에서
- 고구마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마로 만든 엿. [내용] 전라도 향토음식의 하나이다. 고구마는 남부지방에서 많이 생산되므로 고구마엿도 주로 남부지방에서 해먹는 음식이라고 하겠다. 만드는 법은 고구마를 깨끗이 씻어서 껍질을 벗긴 뒤 솥에 넣고 잘 무르도록 삶...
- 종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4년(순조 34) 서유구(徐有榘)가 고구마 재배와 그 이용에 관하여 기술한 책. [서지적 사항] 인본(印本) 또는 필사본. 여러 책이 전하는데, 규장각 소장의 것으로 보면, 목활자본 1책으로 크기는 세로 29.6㎝, 가로 18.9㎝...
- 이응혁(李應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관으로 정하지 말 것을 명했다. 1763년 통신사행 때에 정사 조엄(趙曮)이 1763년에 일본의 첫 기착지인 쓰시마 북단의 사스나(佐須奈) 포구에서 고구마를 발견하고, 곧바로 고구마 종자를 얻어 쓰시마 비선(飛船)을 통해 부산진 첨사인 이응혁에게 보냈다. 이응혁은 이듬...유형분류인물
- 이광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게 그대로 전해져 신대우(申大羽)를 비롯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 한편, 그는 일본과 활발한 교류를 하던 당시의 시대 흐름 속에서 일찍부터 책을 통하여 고구마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했다. 1763년(영조 39)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조엄(趙曮)이 대마...이칭별칭 성재(聖載)| 월암(月巖), 칠탄(七灘)
고서·고문서(25)
- 인경뎅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719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인경뎅 〈ad〉平南岡郡多面東箭里英吉學院〈/ad〉 〈in〉金尙君報〈/in〉 〈#412〉 인경뎅 바라 삼정전에 고구마 다 〈d〉1930.10.19.〈/d〉구분창가
- 애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세, 짐작, 누님, 백부, 강씨, 생남, 못하섰고, 딸칠남매, 광복전, 대구시, 벤또밥공장, 취직, 백모, 시내, 고구마장사, 저, 42년, 태여나, 광복전, 부모님, 백부내집, 방문대표표제어애명 | 성씨강
- 조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답답, 어떤방법, 찾았으며, 좋을지, 백부, 30년대, 대구시, 역전벤또밥공장, 취직, 97세, 백모, 대구시, 고구마장사, 백부, 아들, 없으며, 딸, 칠형제대표표제어조선 | 성씨강
- 아버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어머님, 홀로, 5남매, 고생, 쌀장사, 고구마장사, 궁핍, 생활, 저, 8살, 일본인집, 아이보는일, 일본, 10년, 18살, 고향, 돌아와, 어머님, 저, 몰라보셨습니다, 언니, 일본, 출가, 형부, 일본, 오라, 부르셨지만대표표제어아버님 | 성씨김
- 얻었지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제, 7세, 세상, 뜨시고, 저, 병원, 공작, 아버지, 세상, 뜬후, 어머니, 5남매, 생활, 쌀장사, 고구마장사, 곤난, 막심, 8세, 저, 일본집, 보모질, 일본, 10년, 18세, 고향, 돌아오니대표표제어얻었지만 | 성씨김
구술자료(40)
- 고구마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일본 20180110_002_002_일본_01_이케다 마유미_L_고구마 유래 전설 고구마 유래 2018. 01. 10(수) 오후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이케다 마유미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22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한상효, 엄희수 〈아소산의 고국가일본 | 제보자이케다 마유미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2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소녀와 호랑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이 있었다. 하루는 엄마가 딸에게 숲에 가서 고구마를 캐오라고 했다. 딸은 숲에서 고구마를 캐다가 호미를 떨어뜨렸다. 걱정이 된 딸은 울면서 만약 누군가가 호미를 꺼내준다면 꼭 은혜를 갚겠다고 외쳤다. 그 때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나서 자기 머리에 난 상처를 치료해주면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썸마카라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경상남도 통영시_상사디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통영 07) 상사디여.mp3 * [통영 7]처럼 받음구 처음에 군말이 붙지않은 상사디여가 붙은 예에 비해 경남지방 논매기소리의 개성을 높인다. * 손덕마을은 65호가 농가이며 반농반어촌이다. 논은 350마지기, 밭은 200여마지기(고구마,콩,깨)된다. 논 20마지기녹음지역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덕포1리 손덕마을 | 녹음날짜1989.2.24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왕이 된 돼지 신랑과 열두 띠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고구마와 마를 캐는 것을 도와주어, 할머니 집에 가게 되었는데, 그곳엔 딸 둘이 있었다. 큰딸은 돼지와 결혼할 수 없다고 하고 막내딸은 어머니 말을 따른다며 돼지와 결혼하게 되었다. 옆 동네에 잔치가 벌어져서 막내딸이 잔치 집에 가고 싶어 하자 돼지는 혼자 가라고 했다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텡쏙레앙(박주희) [캄보디아,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뱀이 많이 생겨난 이유(낑껑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거 없이 그냥 산속이나 인제 어느 고구마 키우고 그런 거 있잖아요. 고구마 키우면서 인제 거기는 고구마 아니고 마 같은 거 이제 마 같은 거 캐러 다녔어요. 캐는데 대나무 앞에는 마도 엄청 많고 캐다가 인제 뭐 호미, 호미로 이제 구멍을 빠져 들었어요. 빠졌는데 아무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자색고구마를 활용한 노인식 죽의 개발 및 품질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민, 게재일 : 201353164 이승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3 자색고구마를 활용한 노인식 죽의 개발 및 품질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고구마의 이동을 통해 본 16-18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해양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71687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4 고구마의 이동을 통해 본 16-18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해양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78)
- 황해일보_1952_072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 김원선 문 고구마 넉줄을 뒤집어 주는 것이 좋은 방법인가? 장연군 룡연면 룡정리 현덕 답 고구마 넉줄을 뒤집는 것은 좋지 않다. 고구마 넉줄을 뒤집으면 넉줄을 뒤집는 동안 그 넉줄이 상하며 혹은 넉줄이 끊어지는 등 여러가지 관계로 고구마가 자...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723_03 | 책임주필김원선
- 황해일보_1952_072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 김원선 장연군, 룡연면, 룡정리, 정주 답 고구마 넉줄을 뒤집는 것은 좋지 않다. 고구가 넉줄을 뒤집으면 넉줄은 뒤집는 동안 그 넉줄이 상하며 혹은 넉줄이 끊어지는 등 여러 가지 관계로 고구마가 자라는데 적지 않은 지장을 주게 된다. 정주 농사시험...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723_03 | 책임주필김원선
- 조선신문_1948_021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드라므관에서 고구마를 굽고 있었다. 드라므관에서는 화기가 나왔고 구수한 고구마 냄새는 굶주린 어린 창자를 못견디게 하였다. 고구마 장수 하라버지는 고구마 굽기에 바뻐 돌아갔다. 완식은 침을 또 꼴닥꼴닥 삼키며 좋은 기회만 기다리고 있을 지음에 지나가던 어떤 처녀가 고구...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5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신문_1948_021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상점 문 어구에는 한 하라버지가 드라므관에서 고구마를 굽고 있었다. 드라므관에서는 화기가 나왔고 구수한 고구마 냄새는 굶주린 어린 창자를 못 견디게 하였다. 고구마 장수 하라버지는 고구마 굽기에 바삐 돌아갔다. 완식은 침을 또 꼴닥꼴닥 삼키며 좋은 기회만 기다리고 있을...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5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출판경찰월보 018호 조선소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소년 병에 걸린 어머니를 부양하기 위해 야시장 주변 골목에서 군고구마를 파는 소년이 있었다. 어느 날 밤, 순찰하는 교통순사에게 발견되어 고구마상자를 발로 차이고 뺨을 셀 수 없이 맞고 그 자리에서 기절했다. 이 소년의 고구마상자를 부순 것은 결국 소년 자신과 그 어...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8호 조선소년 | 출판물명조선소년(朝鮮少年) 제4권 제3호
기타자료(14)
- (문원) 찐 고구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원) 찐 고구마 (문원) 찐 고구마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혜경 | 사료철명교육제주
- (보고) 가마니 고구마 재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보고) 가마니 고구마 재배 (보고) 가마니 고구마 재배 (報告) 가마니 고구마 재배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교운영 교육기회확대 학교시설설...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응호 | 사료철명강원교육
- (특집 65년 도내교육연구의 결산) 식량증산을 위한 고구마 재배 육묘 저장 및 가공에 대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65년 도내교육연구의 결산) 식량증산을 위한 고구마 재배 육묘 저장 및 가공에 대하여 (특집 65년 도내교육연구의 결산) 식량증산을 위한 고구마 재배 육묘 저장 및 가공에 대하여 (特輯 65年 道內敎育硏究의 結算)食糧增産을 爲한 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춘천농업고등학교 | 사료철명강원교육
- A copy of the immediate problems in Korea from FAO's perspectiv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보관 시설, 쉼터, 쌀, 보리, 수수, 콩, 밀, 고구마, 시멘트 등의 부족한 정도와 지원 정도를 상세히 기록. Korea, FA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od supplies, scarcity, w...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안산읍성(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물관은 시흥시와의 용역계약으로 시흥시 수암동에 있는 고려시대 안산읍성으로 추정되는 유적과 주변지역의 문화유적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가 실시하였다. 읍성의 능선과 가파른 곳에는 잠초와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평탄한 곳은 밭으로 개간되어 고추, 고구마, 옥수수, 수수 등...발행연도1990 | 발굴기관한양대학교/시흥시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1)
-
1960~1970년대 권위주의 국가폭력과 한국사회: 구술사 접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제연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13)
-
고구마 / [과학/식물]
메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감저(甘藷)·조저(趙藷)·남감저(南甘藷)라고도 한다. 학명은 Ipomoea batatas LAM.이다. 원산지는 열대아메리카로 우리 나라에는 일본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고구마라는 이름도 일본말 고귀위마(古貴爲麻)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감저종식법 / 甘藷種植法 [경제·산업/산업]
고구마의 재배·이용·저장 등에 관한 기술서. 1책. 필사본. 저자를 강필리(姜必履)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으나, 이 책은 표지의 제목이 지워져 있어 원래의 책이름을 알 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서문과 발문도 없기 때문에 저자와 편찬연대는 분명하게 밝힐 수가 없다. 이
-
가파도 / 加波島 [지리/자연지리]
며, 구릉이나 단애가 없는 평탄한 섬으로 전체적 모양은 가오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고구마·보리이다. 겨울 농사로 보리를 재배하고, 여름 농사로 고구마 등을 재배한다. 고구마는 수익성이 높은 경제작물로 개경 초부터 재배해 왔다. 땅이 한정되어 있어 호당
-
감저보 / 甘藷譜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강필리가 고구마의 재배·이용에 관하여 1766년에 저술한 농업서. 우리 나라 최초로 고구마의 재배·이용법을 기술한 책이다. 조선 후기 문헌에 인용되고 있는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가리킨다.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권1 치농(
-
서유구 / 徐有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4∼1845).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흉년을 극복하기 위해 고구마를 실제보급하기도 하였고, 자신의 농학을 집대성하여 만년에 《임원경제지》를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