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구려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구려의 영역 및 그 시대에 제작된 토기. [내용] 는 백제나 신라토기에 비해 남아 있는 유품이 희소하여 그 발전과정을 구체적‧계통적으로 고찰하기 어렵다. 단지 고구려 고지(故地)의 고분이나 건물지 등 각 유적에서 반출된 토기들...
  • 골아가리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토기의 존재양상은 구순각목토기가 특정 토기문화 계통의 산물이 아님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구순각목 기법은 비단 무문토기에만 채택되는 것이 아니라, 신석기토기와 에도 채택되고 있다. 신석기시대에 구연각목기법이 나타나는 토기는 융기문계(隆起文系...
    이칭별칭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각선구연토기(刻線口緣土器)|각선(문)토기(刻線(文)土器)|주름진 무늬토기
  • 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긴 것, 다리에 구멍을 뚫은 것과 뚫지 않은 것 등 다양한 차이가 있다. 우리가 대가야토기, 소가야토기, 금관가야토기라고 부르는 것은 각각의 지역에서 출토되는 토기에 어떤 형태로든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백제토기‧가야토기‧신라토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 청동기시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자는 주로 신석기시대에, 후자는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무문토기는 약 1,000여년 동안 사용하다가 한대(漢代) 토기의 영향으로 형성된 낙랑토기(樂浪土器), , 신라토기 등의 경질토기(硬質土器)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무...

기초학문(1)

  • 중국 내 고구려유적에서 출토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시은, 게재일 : 2007
    31178 양시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7 중국 내 고구려유적에서 출토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기타자료(2)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13 - 갈머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의 암문(暗紋), 회백색의 태토에서 한강유역 흐름이 강하게 느껴졌고 호선문과 횡선문이 복합된 238번 토기도 아차산성 등의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며 또한 단경호의 회청색경질토기도 주변에서 출토되어 처음에는 고구려적 성격이 강한 삼국시대의 토기로 추...
    발행연도2003/0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 발굴지역전라북도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XIII 갈머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속고리문의 암문(暗紋), 회백색의 태토에서 한강유역 흐름이 강하게 느껴졌고, 호선문과 횡선문이 복합된 238번토기도 아차산성 등의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며, 또한 단경호의 회청색경질토기도 주변에서 출토되어 처음에는 고구려적 성격이 강한 삼국시대의...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1)

  • /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영역 및 그 시대에 제작된 토기. 는 백제나 신라토기에 비해 남아 있는 유품이 희소하여 그 발전과정을 구체적·계통적으로 고찰하기 어렵다. 단지 고구려 고지(故地)의 고분이나 건물지 등 각 유적에서 반출된 토기들을 통해 그 특징의 일부를 살펴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