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경흠”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0∼미상. 일제강점기 사회주의계열의 항일운동가. [개설] 제주도 출신. 김민우(金民友)‧차석동(車石東)‧남해명(南海明)‧김영두(金榮斗)‧진도(眞島)‧마키노 요시오(牧野啓夫) 등 많은 가명을 사용하였다. 아버지는 한학자 고...
    이칭별칭김민우|차석동|남해명|김영두|진도|마키노 요시오
  • 독립신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46년에 창간되었던 일간신문. [내용] 1946년 5월 1일 서울 을지로1가에서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창간되었다. 사장 장순각(張洵覺), 주필 (), 편집국장 서광재(徐光齋)였다. 이 신문의 논조는 시종일관 좌익계열만을 중...
  • 양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吉林)에서 열린 조공재조직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30년 3월 상해에 도착한 ()과 함께 조선공산당 선전물의 근거지를 동경(東京)에 만드는 문제를 협의했다.1931년 12월부터 1932년 8월 15일까지 동방노력자 공산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이칭별칭철악(鐵岳)|광우(光宇)|일기자(一記者)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에 소집하기로 예정을 잡았다가 다시 4일로 연기하는 곡절을 겪었다. 그러나 위원회는 9월 1일에 부위원장 안재홍이 결별을 선언하고 조선국민당을 결성하였고, 정백‧() 등 간부들이 위원회의 승인도 없이 경성지부를 결성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9월 4일...
    이칭별칭건국준비위원회
  • 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 2월 이종림, () 등이 당재건 준비조직으로 결성한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의 조직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그 해 4월 이종림ㆍ권대형(權大衡)ㆍ서인식(徐寅植)ㆍ김기선(金琪善), 등과 협의, 대중에 기초하지 않고 파벌적 성격이 짙은 위 조직을 해산...
    이칭별칭강(姜)나후렌치|권성만(權成萬)|김용칠(金龍七)|김(金)와시리|백인석(白仁錫)|술리모프

신문·잡지(11)

  • 154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리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3면에서 계속) 다음으로 리순 씨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이 그 중심 강령으로 미군 철퇴와 조국 통일을 내세운 것은 가장 정당한 것이며 이 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30_04 | 책임주필강길모
  • 947년 7월 27일 248 서창훈(徐昌勳) 강원도 원산시 □산리 24번지 강원인민보사 평양, 명륜정 여운형, , 박성복 근민당 (23일 평양발 북조선통신) 지난 19일 흉탄에 쓸어진 고 여운형 씨의 피습진상을 20일부 “우리신...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727_01 | 날짜1947년 7월 27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근민당 중앙위원 씨와 그의 경호인 박□복씨와 동승하여 자동차로 경성운동장에서 개최 중인 올림픽 경기대회에 출석하고자 옷을 갈아입을려고 자택으로 가는 도중 동소문로―타리 혜화동우편국 압을 통과하려 할 때 그곳에 대기하고 있던 괴한 2명 중 1명이 여씨가 탄 자동차가...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26_04 | 책임주필이영조
  • 154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한설야, 김세련, 리순, 박윤길, , 리금순, 오제영, 리승만, 김구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선중앙통신, 한국독립당, 남조선로동당, 북조선천도교청우당, 근로인민당, 북조선녀맹, 북...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30_03 | 책임주필강길모
  • 153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허헌, 김조규, 김일성, 김두봉, 한설야, 김세련, 리순, 박윤길, , 리금순, 오제영, 최창익, 최경덕, 진반수, 강문석, 김남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선중앙통신, 북조선문학예...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9_02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910-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출신지는 제주도이다. 부친은 고성집(高性輯)이다. 어려서 서울에 올라와 정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1926년 2월 경성중학교를 중퇴하고, 4월에 보성전문학교에 들어갔으나 1년 후에 그만두

  • 고순흠 / 高順欽 [역사/근대사]

    운동가 ()의 8촌 형이다. 1912년 제주농업학교를 졸업하고, 1914년 경성전수학교를 졸업한 뒤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한 비밀단체인 대동청년단에 가입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고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김규열(金圭烈: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