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경중마방”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편자의 오언시가 있어, 책의 제명이 선철(先哲)의 학문태도를 본받는 것에서 유래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책머리에는 1744년 김재로(金在魯)가 쓴 ‘어제편제(御製扁題)’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殷湯)의 반...
  • 과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윤득부(尹得孚)가 왕명에 의하여 이황(李滉)의 『()』 가운데서 요체를 발췌하여 편집한 잠언집. [내용] 1책. 필사본. 1797년(정조 21) 왕자의 일과 독송을 목적으로 엮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양서 한문 한국 조선 영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이황 정구 1744 1권 1책 목판본 () 규장각, 미국 버클리대학...
  • 해동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이황(李滉)은 수양서적으로 1571년(선조 4)에 ≪ ≫을 저술하였는데, 저자는 이를 모방하여 엮었으므로 속(續)자를 붙인 것이다. 내용은 현군명신(賢君名臣)의 잠명(箴銘)만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서두에 정조 및 주자(朱子)와 이황의 시를...
  • 해동속소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록하였다. 이 책은 영조‧정조 이후 활발히 전개된 민족의식에 기초를 두고 편찬된 교재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 재평가될 수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해동속(海東續)』 『도산지언(陶山至言)『

고서·고문서(9)

기초학문(1)

  • 進溪 朴在馨의 〈해동속〉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훈, 게재일 : 2015
    58109 김성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문화연구원 2015 進溪 朴在馨의 〈해동속〉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연구과제(1)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744년 김재로가 쓴 ‘어제편제’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의 반명과 주무왕의 석사단명 등으로부터 당송의 명현인 한유의 오잠, 정자의 사물잠 등 23명의 잠·명 76편을 수록하였다.

  • 노상직 / 盧相稷 [종교·철학/유학]

    》·《가락국사실고》·《역대국계고》·《여사수지》·《성리절요》·《자암일록》·《소눌문집》등이 있다.

  • 과송 / 課誦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득부가 왕명에 의하여 이황의 『』 중에서 요체를 발췌하여 1797년에 편찬한 수양서.잠언집. 1책. 필사본. 1797년(정조 21) 왕자의 일과 독송을 목적으로 엮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성탕(成湯)의 반명(盤銘), 무왕(武王)의 석사단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