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고경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1)
사전(198)
- 고경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군과 대적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고경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김덕령의 수하에 들어가 왜적과 싸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고경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최후를 마친 충신이다. 이순신과 함께 파담자의 몽중 잔치에 참석하여 전쟁 중의 무용담을 말한다. 군사가 돌아오지 못함은 슬프나, 죽음은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고경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양산숙과 김천일과 함께 왜군에 대항하여 싸운다. 초토사로 제수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고경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회계 첨사이다. 본래 의병장을 칭하고 행패를 부리다가 북병사정문부를 만나 지난 잘못을 뉘우치고 문부를 따라 배신자 국경인 등을 죽이고 왜적에 맞선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72)
-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전체 내용이 거의 시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고경명이 비록 임진란 때 의병장으로서 활약을 했지만, 그 이전에 그는 시인이요, 문필가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동안 한문학에서 그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한 것으로 안다. 그러나 이제는 연구 영역의 폭을 넓혀 다...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정기록(正氣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제봉집(霽峯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고제봉유서석록(高霽峯遊瑞石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정기록(正氣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16세기 호남 한시의 의상 연구-박상, 임억령, 고경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혁명, 게재일 : 201664658 권혁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6 16세기 호남 한시의 의상 연구-박상, 임억령, 고경명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16)
-
고경명 / 高敬命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고자검의 증손, 할아버지는 형조좌랑 고운, 아버지는 대사간 고맹영, 어머니는 진사 서걸의 딸이다. 1552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 공조좌랑, 형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제봉집(霽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
-
양대박 / 梁大樸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관으로서 아들 경우와 가동 50명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같은 해 6월 고경명이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고경명을 맹주로 추대하고 유학 유팽로와 함께 종사관으로 활
-
제봉집 / 霽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인·의병장 고경명의 시문집. 목판본. 1617년(광해군 9)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가 편집간행하였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 1권 1책, 합 7권 6책. 본집은 모두 시문집으로 이항복과 유근의 서문, 명나라 예부주객 장응회의 서문, 제봉
-
화산서원 / 花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괴정리에 있었던 서원. 1607년(선조 4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말주(申末舟)·김정(金淨)·김인후(金麟厚)·고경명(高敬命)·김천일(金千鎰) 등의 덕행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뒤 박상(朴祥)·유옥(柳沃)·신공제(申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