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고경리”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6)

  • 창랑실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857년(철종 8) 후손 정진(貞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9(명종 1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척(而?), 호는 창랑(滄浪). 아버지는 진사 계영(季英)이며, 어머니는 양응기(梁應箕)의 딸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
    이칭별칭 이척(而?)| 창랑(滄浪)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이현숙 이범직 2016 이척(而惕) 창랑(滄浪) 양반 남자 1560년(명종...
  • 근대신어 : 외무대신(外務大臣)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1841 외무대신 아항 外務大臣 其關係處辦은本來主權者及外務大臣의任이나 그 관계를 처리하고 경리함은 본래 주권자 및 외무대신의 임무이나 兪星濬 法學通論 普昌學校 1905 395
    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제직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정세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순명(趙順命)의 딸이다. [내용] 1606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2년 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도사가 되었다. 1608년 태학생(太學生)으로 있을 당시 호남의 유생 ()가 성혼(成渾)이 정여창(鄭汝昌)ㆍ김굉...
    이칭별칭 사원(士元)| 동와(東窩)

고서·고문서(8)

  • ()의 『창랑실적(滄浪實蹟)』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창랑실적』은 목활자본 3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1은 의 유고만을 모아놓은 것으로 부 1편, 시 1수, 소 2편, 서 2편, 잡저 2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2는 부록으로서 만시 13수, 제문 4수, 행장, 유사, 묘표, 묘지명, 운암사봉안문, 춘추향...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顏袁罵賊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祿山至藁城常山太守顔杲卿力不能拒與長史袁履謙往迎之祿山賜杲卿金紫杲卿途中指衣謂履謙曰何爲着此履謙悟其意謀討祿山起兵纔八日守備未完祿山將史思明蔡希德引兵至城下杲卿晝夜拒戰糧盡矢竭城遂陷賊執謙等送洛陽祿山數之曰我奏汝爲...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고운(高雲)의 『하천유집(霞川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遺稿』와 의『滄浪遺稿』가 수록되어 있고, 권6에는 증손자인 高從厚의『準峯遺稿』, 高成厚의『竹村遺稿』, 高因厚의『鶴峯遺稿』, 高循厚의『靜軒遺稿』의 詩와 서간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第一論 異字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日中見昧。上六,自戕也。 論云 篆隷之際,字體雲變,文,職此多矣。何必王弼之本,悉皆無謬?其義難通者,取此異文,以視卦象,或有通者。况損之‘徵忿’ㆍ鼎之‘刑屋’,其文旣正,其義隨明!此費氏以來,遺文之未泯者。豈可少之哉? 55 ~ 56쪽
    권차명易學緖言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타자료(2)

  • 이석면;李錫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01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8면 이석면;李錫冕 신흥군 永 152 192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석면;李錫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26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0면 이석면;李錫冕 신흥군 永 152 192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사 고계영, 어머니는 양응기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591년(선조 2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집권한 대북세력이 서인학통을 공격하자 최영경을 죽이고, 임진왜란 당시 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