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축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8)
- 계축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93년(성종 24)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활자. [내용] 중국 명조(明朝)의 신판(新板)인 ≪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하여 1493년 계축년에 주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책을 발간하기 위하여 계축자(癸丑字)를 주조하...
- 活板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6_I_0003 活板 출판 印刷術, 鉛銅活字, 書籍, 印刷, 銅字, 活字, 丁亥字, 鑄字, 庚子字, 壬子字, 乙亥字, 乙酉字, 辛卯字, 癸丑字, 散失, 木字, 印書, 校書舘銅字, 鑄奎章閣銅字, 生生字, 整理字, 韓搆字, 壬辰戰役, 我國活字, 取去,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4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 지리서 한문 한국 조선 성종 성낙수 박종국 2015 노사신ㆍ양성지ㆍ강희맹 1481 1책 계축자본(癸丑字本) 규장각 등 ...
- 주자소(鑄字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축자(癸丑字), 병자자(丙子字), 경진자(庚辰字), 책방(冊房), 춘추강자(春秋綱字)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옥영정 1403년(태종 3) 승정원, 교서관 [정의] 조선시대 궁궐 안에서 활자를 만들어...상위어승정원(承政院), 교서관(校書館) | 관련어주자(鑄字), 병진자(丙辰字),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계미자(癸未字), 경오자(庚午字), 을해자(乙亥字), 정축자(丁丑字), 을유자(乙酉字), 갑진자(甲辰字), 계축자(癸丑字), 병자자(丙子字), 경진자(庚辰字), 책방(冊房), 춘추강자(春秋綱字)
- 교서관(校書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경오자, ⑧1455년(세조 1)의 을해자, ⑨1461년(세조 3)의 을해자병용한글자, ⑩1457년(세조 3)의 정축자, ⑪1458년(세조 4)의 무인자, ⑫1465년(세조 11)의 을유자, ⑬1484년(성종 15)의 갑진자, ⑭1493년(성종 24)의 계축자 등 1...상위어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 하위어향실(香室) | 동의어교서감(校書監), 예각(藝閣), 운각(芸閣), 운관(芸館) | 관련어삼관(三館), 사관(四館), 겸교리(兼校理), 공작(工作), 공조(工造), 교리(校理), 교서관목활자(校書館木活字), 교서관왜언자(校書館倭諺字), 교서관인서체자(校書館印書體字), 교서관필서체자(校書館筆書體字), 규장자수(奎章字藪)
고서·고문서(36)
- 樊巖 蔡相公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0030_010_1290_2014_001_XML 001 風雪牢騷己酉冬,黑貂裘袂冷蒙茸。入門正有尊嚴氣,命席初開碨磊胸。三賊未誅吾已老,九泉雖暗彼難容。【時因顯隆園改葬,有此言】 忠肝義膽知何處?【癸丑上疏後,筵說許之以忠肝義膽】 紗燭煒煌照古...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 第三統統首劉福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卯侄物 膳軍尙龍年拾捌癸丑子牧子軍正月金年拾陸乙卯侄牧子軍日體年拾玖壬 子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新 海夫鰥夫鄭石乙巖外年肆拾柒甲申本東萊父致德祖守仁曾祖太山 外祖不知女年伍丙寅女年參戊辰等丁卯戶口相准 第三戶 水軍金天興年伍拾壹庚辰本金海父九石祖一富二祖不知率人女嚴召史 年肆拾陸乙酉女年拾壹庚申...연도_면이름1810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二福星浦
- 1 第一統統首徐成得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子戶口相准 第二戶 校奴李正大年柒拾庚午本慶州父貴福祖承道曾祖嘉善忠殷外祖김得先 本김海妻李召史年伍拾柒癸未本慶州父聖具祖壽萬曾祖呂章外祖김進永本慶 州率子殿直加八里年貳拾柒癸丑子殿直介年貳拾庚申女年拾陸甲子等丙子戶 口相准 第三戶 府司書員김舜伯年陸拾陸甲戌本김海父時東祖逸尙曾祖益금外祖김起 ...연도_면이름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六新校里
- 11 第十一統統首權得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庚午等丙子戶口相 准 第二戶 府軍官鰥夫김宗泳年伍拾貳戊子本김海父澤麗祖殷富曾祖俊白外 祖宋興耈本恩津率女年拾伍乙丑等丙子戶口相准 第三戶 寡白姓年陸拾貳戊寅本大邱父守點祖萬杰曾祖通政玉立外祖林萬祿 本羅州率子藥汗孫大遜年貳拾柒癸丑子藥汗大守年拾柒癸亥等丙 子戶口相准 第四戶 餘丁鰥夫김今...연도_면이름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上里
- 7 第七統統首(私婢)劉斗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隱山年拾貳戊辰水營生物軍等丙子戶口准 第五陞戶 兵營生物軍私奴石哲年拾玖辛酉上典京居黃輝父私奴岳立祖私奴銀汗曾祖亂奉外祖私奴石乙山本蔚山妻私 婢順代年貳拾柒癸丑上典京居鄭談父私奴順三祖不知等丙子戶口准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二十長生浦里
주제어사전(1)
-
계축자 / 癸丑字 [역사/조선시대사]
1493년(성종 24) 주자소(鑄字所)에서 만든 동활자. 중국 명조(明朝)의 신판(新板)인 《자치통감강목 資治通鑑綱目》을 자본으로 하여 1493년 계축년에 주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책을 발간하기 위하여 계축자(癸丑字)를 주조하였는가에는 실록에 밝혀져 있지 않다. 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