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계천기원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계천기원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선포 및 광무황제(光武皇帝)의 즉위기념일. [내용] 1897년 9월 17일 조선조 제26대왕인 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갑오경장 폐치 후 채택한 조선 독자의 연호인 건양(建陽)과 중국연호 광서(...
- 개국기원경절(開國紀元慶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개국기원경절 개국기원경절 開國紀元慶節 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국경일(國慶日),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 왕실 개념용어 대한민국 대한제국 고종 이왕무 [정의] 대한제국이 서양 열강과 대등한 국가...동의어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 관련어국경일(國慶日),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
- 독립경일(獨立慶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8일) 등을 독립경일로 지정한 것 같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서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고종황제(광무황제)로 즉위한 날인 음력 9월 17일을 기념하는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과 황태자 탄신일인 천추경절(千秋慶節)(음력 2월 8일)이 국경일로 추가되었다. 1907...관련어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자주독립(自主獨立), 태극기(太極旗)
- 건원절(乾元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910년(융희 4)까지 근대기에는 경절이 총 9개가 개설되었는데, 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은 조선 태조의 건국, 만수성절(萬壽聖節)은 고종의 탄신,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은 고종의 황제 즉위, 천추경절(千秋慶節)은 황태자의 탄신, 흥경절(興慶節)은 고종의 등극을 기념한...상위어기념일(記念日), 경절(慶節) | 관련어곤원절(坤元節), 만수성절(萬壽聖節), 천추경절(千秋慶節), 탄신경절(誕辰慶節)
- 외국어학교(外國語學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수성절, 천추경절, 개국기원절, 흥경절, 계천기원절 등의 기념일과, 매 일요일, 12월 30일부터 1월 3일까지의 동계 방학, 음력 12월 25일부터 정월 15일까지의 음력 명절, 한식 전일부터 한식 당일까지, 추석 전일부터 추석 당일까지는 휴일로 하였다. 학도는...관련어덕어학교(德語學校), 법어학교(法語學校), 아어학교(俄語學校), 영어학교(英語學校), 일어학교(日語學校), 육영공원(育英公園), 한어학교(漢語學校), 한성외국어학교(漢城外國語學校), 관립외국어학교(官立外國語學校)
신문·잡지(1)
- 學界喜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學界喜聞 1909년 10월15일 삼화 삼화 삼화항 상업회의소에서 계천기원절 경축회와 추계연합운동회를 거행 ht...대표표제어學界喜聞 | 연월일1909년 10월15일 | 지역삼화
주제어사전(1)
-
계천기원절 / 繼天紀元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선포 및 광무황제의 즉위기념일. 1897년 9월 17일 조선조 제26대왕인 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갑오경장 폐치 후 채택한 조선 독자의 연호인 건양과 중국연호 광서 등의 연호사용을 지양, 새 연호로 광무를 채택하여 스스로 광무황제로 즉